검색결과 필터

[전체] “황후적의” 에 대한 검색결과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심청색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동궁비 적의가 아니라 고종이 황제에 오른 뒤 황후의 적의로 입었던 것으로 확인되여 로 개칭되었다. 이 옷은 남색 바탕에 154쌍의 적문(翟紋)이 위에서 아랫단까지 12단으로 나뉘어 들어 있는 금직단(金織緞)으로 만들어져 있...
    연계항목황후적의(皇后翟衣)
  • 적의(翟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조선~대한제국 태조~순종 이은주 법복 가례, 길례, 흉례 [정의] 대비, 왕비, 왕세자빈, 황태자비 등이 국가의 대소 의례에 참여할 때 착용하는 법복(法服)....
    상위어대례복(大禮服) | 하위어하피(霞帔) | 동의어예복(禮服) | 관련어규(圭), 대대(大帶), 대삼(大衫), 대수(大首), 말(襪), 법복(法服), 상(裳), 석(舃), 수(綬), 수식(首飾), 옥대(玉帶), 적관(翟冠), 패(佩), 폐슬(蔽膝), 황후적의(皇后翟衣)
  • 복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례복.황후 적의조선 말기에 황후가 입었던 대례복. 중요민속자료 제54호. 처음에 동궁비 적의로 지정되었으나, 고종이 황제에 오른 뒤 황후의 적의로 입었던 것으로 확인되여 로 개칭되었다. 세종대학교 박물관 소장.구군복조선시대 무관들이 입던 군복. 세종대학교 박물...

주제어사전(1)

  • / [생활/의생활]

    비 적의가 아니라 고종이 황제에 오른 뒤 황후의 적의로 입었던 것으로 확인되여 로 개칭되었다. 이 옷은 우리 나라에 유일하게 보존되어 있는 적의로 복식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