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효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7)
- 황효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96(연산군 2)∼1553(명종 8).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경보(敬甫), 호는 구암(龜巖). 영천(塋川 :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생. 아버지는 군자판관(軍資判官) 진(璡)이며, 어머니는 고성이씨(固...이칭별칭 경보(敬甫)| 구암(龜巖)
- 황효공(黃孝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515 인물 황효공(黃孝恭) 황효공 黃孝恭 ? ? 조선 후기의 일관(日官). 길일(吉日)을 잡는 사람으로, 천체의 변이(變異)로써 길흉을 판단하여 가리는 일을 맡은 관직명이다. 1643년에 정사(正使) 윤순지(尹順之...유형분류인물
- 관동일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53년(명종 8) 홍인우(洪仁祐)가 관동의 금강산을 비롯한 명승지를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내용] 1책. 목판본. 책머리에는 1553년에 이황과 황효공(黃孝恭)이 쓴 서문이 실려 있는데, 황효공의 서문은 권근(權近)의 『입학도...
- 사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720년(숙종 46) 지방유림의 공의(公議)로 황효공(黃孝恭)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경현사(景賢祠)‧흥경...
- 구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황효공(黃孝恭)의 시문집. [내용] 2책. 목판본. 1837년(헌종 3) 그의 10대 손인 인팔(鱗八) 등이 편집, 손자 언주(彦柱)의 유고인 『농고공일고(農皐公逸稿)』를 합간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유치명(柳致明...
고서·고문서(4)
- 1522년 병과급제출신(丙科及第出身) 황효공(黃孝恭) 홍패(紅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뜰이 젖는 바람에 서연청(書筵廳)의 습의(習儀)는 잠시 정지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3촌의 시신에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류직경(柳直卿)이 저물녘에 와서 말하기를, “황효공(黃孝恭)이 사간(司諫)이었을 때, 내가 라세찬(羅世纘)에게 형신(刑訊)을 가하라고 했다는 이유로 사간으로부터 ‘이 뜻이 아름다운 일인가’ 라고 논박(論駁)을 당했습니다. 이것이...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추안급국안 : 정사년(1617, 광해군 9) 흉악한 상소[凶疏](6)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呂祉吉李文 達副司正鄭興周奉事宋義龍前銜柳敬命黃孝恭前司果尹景霖崔岦尹湜宋倫元李士龜金胤輝金彦世崔苓黃夢 雲尹起生前司猛金天元金景龍宋誠立李益男奉事金貴 禮李大男姜仁▣進忠司猛黃德立等上疎伏以國步方艱 禍根猶存殿下▣私日罔顧 宗社此一國臣民所共悶欝者也近日草野儒生連呈血疎大論已發 遷延時月人情愈駭...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1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고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교유했으며, ‘敬直義方’을 신조로 왜적에게 대항하고 鄭仁弘의 晦退辨斥을 비난했다. 懼齋金公實紀跋 (15)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많은 공을 세운 懼齋 金得秋(1562∼1660)의 實紀 跋文. 龜巖黃公易範圖跋 (16) 龜巖 黃孝恭(1496∼1553)이 지은...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4)
-
황효공 / 黃孝恭 [종교·철학/유학]
1496(연산군 2)∼1553(명종 8).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황진, 어머니는 이평의 딸이다. 1521년(중종 16) 문과에 병과로 급제, 1522년 승문원부정자, 1525년 성균전적, 1526년 형조좌랑을 거쳐 형조정랑·황해도사·교리·지평 등을 지내고 서장관
-
사계서원 / 泗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에 있었던 서원. 1720년(숙종 46) 지방유림의 공의(公議)로 황효공(黃孝恭)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경현사(景賢祠)·흥경당(興敬堂)·동재(東齋)·서재(西齋)·신문(神門)·주소(廚所
-
관동일록 / 關東日錄 [지리/인문지리]
1553년(명종 8) 홍인우(洪仁祐)가 관동의 금강산을 비롯한 명승지를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1책. 목판본. 책머리에는 1553년에 이황과 황효공(黃孝恭)이 쓴 서문이 실려 있는데, 황효공의 서문은 권근(權近)의 『입학도설(入學圖說)』의 서문이므로 잘못 부록
-
구암집 / 龜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황효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7년에 간행한 시문집. 2책. 목판본. 1837년(헌종 3) 그의 10대 손인 인팔(鱗八) 등이 편집, 손자 언주(彦柱)의 유고인 『농고공일고(農皐公逸稿)』를 합간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유치명(柳致明)·이휘령(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