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황형” 에 대한 검색결과 3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9)

사전(17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59(세조 5)∼1520(중종 15).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언평(彦平). 아버지는 선공감정(繕工監正) 예헌(禮軒)이며, 어머니는 사헌부감찰 남인보(南仁甫)의 딸이다. 1480년(성...
    이칭별칭 언평(彦平)| 장무(莊武)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형의 왕위를 계승한 임금이 형인 선왕을 부르는 존칭.
    정의조선시대에 형의 왕위를 계승한 임금이 형인 선왕을 부르는 존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wanghyeong | MR표기hwangh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L7_D_0348 남자 武勇, 三浦倭反, 鎭將, 討平, 素性貪酷, 判書 中廟庚午 昌原 檜山君石奇, 衡, 莊武 D_07_01_46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4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513 인물 () 1459 1520 조선 중기 무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언평(彦平). 1480년 무과에 급제하고 상서원판관이 되어 내승(內乘)을 겸직하였다. 1486년 무과중시에 장원...
    유형분류인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무신 인물 한국 조선 성종~중종 이현숙 이범직 2009 언평(彦平) 장무(莊武) 양반 남자 145...

논문(1)

고서·고문서(105)

  • 1893년 ()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93년 1월 21일에 이조가 왕의 명령을 받들어 유학 을 통사랑 행의금부도사에 임명하는 교첩이다. 교첩은 조선시대에 5품 이하의 문무관원을 임명할 때 발급하던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1872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전라도 남원부 서면 대곡리와 견소곡리에 살았던 장수 황씨 가문의 호적문서로 모두 15건이 전하고 있다. 준호구 1건을 제외하면 모두 호구단자들이며, 작성연대는 18세기 초부터 19세기말까지 걸쳐 있다. 그리고 15건 중 4건은 황진의 큰 아들 황정직의 가닥에서 작성된 ...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1872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전라도 남원부 서면 대곡리와 견소곡리에 살았던 장수 황씨 가문의 호적문서로 모두 15건이 전하고 있다. 준호구 1건을 제외하면 모두 호구단자들이며, 작성연대는 18세기 초부터 19세기말까지 걸쳐 있다. 그리고 15건 중 4건은 황진의 큰 아들 황정직의 가닥에서 작성된 ...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1875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전라도 남원부 서면 대곡리와 견소곡리에 살았던 장수 황씨 가문의 호적문서로 모두 15건이 전하고 있다. 준호구 1건을 제외하면 모두 호구단자들이며, 작성연대는 18세기 초부터 19세기말까지 걸쳐 있다. 그리고 15건 중 4건은 황진의 큰 아들 황정직의 가닥에서 작성된 ...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1890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전라도 남원부 서면 대곡리와 견소곡리에 살았던 장수 황씨 가문의 호적문서로 모두 15건이 전하고 있다. 준호구 1건을 제외하면 모두 호구단자들이며, 작성연대는 18세기 초부터 19세기말까지 걸쳐 있다. 그리고 15건 중 4건은 황진의 큰 아들 황정직의 가닥에서 작성된 ...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기초학문(4)

  • 梅泉 과 石亭 李定稷의 문학논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기태완, 게재일 : 2005
    33755 기태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05 梅泉 과 石亭 李定稷의 문학논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梅泉 의 〈和小川論詩六絶〉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70436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梅泉 의 〈和小川論詩六絶〉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지명형성의 풍수담론 : 봉국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천인호, 게재일 : 2011
    44728 천인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명학회 2011 지명형성의 풍수담론 : 봉국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梅泉 과 性理學 - 『 梅泉野錄』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8324 한국연구재단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0 梅泉 과 性理學 - 『 梅泉野錄』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7)

기타자료(11)

  • 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6411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66면 46. 졸업생;25) 1925년 졸업생 (61명) 로;老 (원적)강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7255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2 166면 9. 졸업생;25) 1925년 졸업생 (61명) 로;老 (원적)강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9632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6 117면 37. 졸업생;25) 1925년 졸업생 (61명) 로;老 (원적)강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8931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5 111면 37. 졸업생;25) 1925년 졸업생 (61명) 로;老 (원적)강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5575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0 163면 46. 졸업생;25) 1925년 졸업생 (61명) 로;老 (원적)강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0)

  • / [종교·철학/유학]

    1459(세조 5)∼1520(중종 15).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황예헌, 어머니는 남인보의 딸이다. 1480년(성종 11) 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도정, 의주목사, 회령부사, 함경도병마절도사, 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황현 /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순국지사·시인·문장가(1855∼1910). 갑신정변 때 성균관 생원으로서 무능·부패한 정부에 환멸을 느끼고 낙향하여 시 짓기에 전념하였다. 1910년 국권피탈을 당하자 통분하여 절명시 4수를 남기고 다량의 아편을 먹고 자결하였다. 저서로《매천야록》이 있다

  • 가정양계신편전 / 家庭養鷄新編(全) [경제·산업/산업]

    신규식(申圭植)이 역술한 양계지도서. 1권 1책. 인쇄본. 1908년 수(秀)가 편집간행한 국한문혼용체이다. 가정에서의 양계의 필요성, 계사(鷄舍)의 구조, 닭의 종류와 선택법, 사료, 관리, 짝짓기, 번식법, 병아리 키우는 법, 닭의 병과 치료방법, 양계

  • 황신 / 黃愼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증손, 할아버지는 황원, 아버지는 황대수, 어머니는 곽회영의 딸이다. 성혼과 이이의 문인이다. 1588년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진주부사, 공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

  • 상원잡영 / 上元雜詠 [문학/한문학]

    1906년황현()이 지은 한시. 정월 대보름의 여러 가지 풍속을 읊은 작품이다. 『매천집 梅泉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 병오고(丙午稿)가 첫머리에 있는 것으로 보면 1906년 정초에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제오 祭烏」·「사우 飼牛」·「치롱 治聾」·「매서 賣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