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
사전(47)
- 황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51(명종 6)∼1612(광해군 4).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회지(晦之), 호는 독석(獨石). 조지서별제 기준(起峻)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행호군 열(悅)이고, 아버지는 판서 정욱(廷彧)이며, 어머니...이칭별칭 회지(晦之)| 독석(獨石)|장천군(長川君)
- 황혁(黃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512 인물 황혁(黃赫) 황혁 黃赫 1551 161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회지(晦之), 호는 독석(獨石).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호군(護軍)으로 등용되어 아버지 정욱(廷彧)과 함...유형분류인물
- 황혁(黃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황혁 황혁 黃赫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선조~광해군 이현숙 이범직 2009 회지(晦之) 독석(獨石) 장천군(長川郡) ...
- 黃革履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N0_D_0036 黃革履 복식 기타 素皮帶 高勾麗 北史 D_09_04_78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7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7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태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진술하였다. 광해군은 당시에 순화군의 장인인 황혁(黃赫)이 신천(新川)에 유배되어 생활하고 있었기에 진릉군이 역모에 가담된 사실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보고 역모죄로 다스렸다. 그리하여 그는 절도에 위리안치되고 뒤에 사사(賜死)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이칭별칭진릉군(晋陵君)
고서·고문서(23)
- 英親王宮(1900)_전라도 여수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11065 18780_0600 奎18780 英親王宮(1900) 전라도 여수군 鳳樓洞 전라도 여수군 鳳樓洞 75 0 75결 0두락 황혁수(黃赫秀) 황혁수(黃赫秀)자료번호18780_0600 [奎1878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英親王宮(1900)_전라도 여수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11066 18780_0601 奎18780 英親王宮(1900) 전라도 여수군 鳳樓洞 전라도 여수군 鳳樓洞 57 4 57결 4두락 황혁수(黃赫秀) 황혁수(黃赫秀)자료번호18780_0601 [奎1878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英親王宮(1900)_전라도 여수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11067 18780_0602 奎18780 英親王宮(1900) 전라도 여수군 鳳樓洞 전라도 여수군 鳳樓洞 113 4 113결 4두락 황혁수(黃赫秀) 황혁수(黃赫秀)자료번호18780_0602 [奎1878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英親王宮(1900)_전라도 여수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11068 18780_0603 奎18780 英親王宮(1900) 전라도 여수군 鳳樓洞 전라도 여수군 鳳樓洞 63 2 63결 2두락 황혁수(黃赫秀) 황혁수(黃赫秀)자료번호18780_0603 [奎1878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노량(露梁)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7261 B037261 노량 露梁 군사교통 慶尙道邑誌 南海郡邑誌(1907) 南海郡 碑碣 ... 然一大石 高四五丈 上刻磨崖碑紀功蹟 其詞曰 皇赫怒兮定夷亂 壯士奮兮不遑宴 撗長戟兮箙勁箭 組甲耀兮星辰煥 蹴溟渤兮波濤晏 倚長劒兮扶桑岸 四極奠兮鰲足斷 皇靈震兮窮海外 征不庭兮靖殊類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3)
- 왜가 백제인에게 토지를 주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通倭國 侵爲殘暴 侵削新羅 剽邑屠城 略無寧歲 天子憫一物之失所 憐百姓之無辜 頻命行人 遣其和好 負嶮恃遠 侮慢天經 皇赫斯怒 龔行弔伐 旌旗所指 一戎大定 固可瀦宮汙宅 作誡來裔 塞源拔本 垂訓後昆 然懷柔伐叛 前王之令典 興亡繼絶 往哲之通規 事必師古 傳諸曩冊 故立前百濟大司稼正卿扶餘隆爲熊...대표표제어왜가 백제인에게 토지를 주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5년(乙丑/신라 문무왕 5/고구려 보장왕 24/唐 麟德 2/倭 天智 4)
- 백제, 신라, 당이 웅진에서 맹약을 맺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侵削新羅 剽邑屠城 略無寧歲 天子憫一物之失所 憐百姓之無辜 頻命行人 遣其和好 負嶮恃遠 侮慢天經 皇赫斯怒 龔行弔伐 旌旗所指 一戎大定 固可瀦宮汙宅 作誡來裔 塞源拔本 垂訓後昆 然懷柔伐叛 前王之令典 興亡繼絶 往哲之通規 事必師古 傳諸曩冊 故立前百濟大司稼正卿扶餘隆爲熊津都督 守其祭祀...대표표제어백제, 신라, 당이 웅진에서 맹약을 맺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5년(乙丑/신라 문무왕 5/고구려 보장왕 24/唐 高宗 麟德 2/倭 天智天皇 4)
- 당나라 勅使 劉仁願이 신라 문무왕과 熊津都督 扶餘隆과 함께 웅진의 就利山에서 맹세를 맺은 맹약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姓之無辜 無辜 : 삼국유사에는 被毒으로 나온다, 頻命行人 遣 遣 : 삼국유사에는 諭로 나온다. 其和好 負嶮 嶮 : 삼국유사·舊唐書』·册府元龜』·全唐文에는 險으로 나온다. 恃遠 侮慢天經 皇赫斯怒 龔 龔 : 삼국유사·舊唐書...대표표제어당나라 勅使 劉仁願이 신라 문무왕과 熊津都督 扶餘隆과 함께 웅진의 就利山에서 맹세를 맺은 맹약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2)
-
황혁 / 黃赫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612(광해군 4). 조선 중기의 문신. 황기준 증손, 할아버지는 황열, 아버지는 황정욱, 어머니는 조전의 딸이다. 기대승의 문인이다. 1580년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집의·사간을 역임한 뒤 우승지가 되어 1591년 정철이 건저문제로 위리안치
-
순화군 / 順和君 [역사/조선시대사]
?∼1607(선조 40). 조선 중기의 왕자. 선조의 여섯째 왕자, 어머니는 순빈김씨, 부인은 황혁의 딸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의 명을 받아 황정욱·황혁 등을 인솔하고 근왕병을 모병하기 위해서 강원도에 파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