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황택후”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7(숙종 13)∼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창원(昌原). 초명은 택중(宅中). 자는 자화(子和), 호는 화곡(華谷). 아버지는 첨중추(僉中樞) 상구(尙耉)이다. 최창대(崔昌大)‧이하곤(李夏坤)‧구택규(...
    이칭별칭 자화(子和)| 화곡(華谷)|택중(宅中)
  • 조선평민문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온 나라를 편력하면서 <심주록 沁州錄>‧<관서수창록 關西酬唱錄>을 지은 (), 박지원의 소설 <우상전 虞裳傳>의 주인공 이언진(李彦瑱) 등은 모두 낙사의 영향 아래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전반기 사이에 작품 활동을 한 시인들이었다. 18세기 후반기는...

고서·고문서(3)

  • 19033 B019033 검모포 黔毛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12年 5月 13日_018 ○兵批啓曰, 黔毛浦萬戶南泰完, 閑良·洪達海·李根垕·金振玉等, 或拯活人命, 或捉虎, 或賊人指捕之功, 俱有加資之命矣。 南泰完雖已資窮, 未經準職, ·洪達海·李根垕·金振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9057 B019057 검모포 黔毛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12年 5月 13日_018 ○兵批啓曰, 黔毛浦萬戶南泰完, 閑良·洪達海·李根垕·金振玉等, 或拯活人命, 或捉虎, 或賊人指捕之功, 俱有加資之命矣。 南泰完雖已資窮, 未經準職, ·洪達海·李根垕·金振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화곡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 어느 날 황덕순이 그 아버지의 글들을 가지고 와 서문을 부탁하여 살펴보니 그것은 바로 『소대풍요』에 실렸던 의 글이었다. 그는 평소 의 시에 능함을 좋아하고 있었는데, 그 아들이 이렇게 先考의 남은 글들을 수습하여 그 아름다움을 드러냄이 기특하여 이에 진...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87(숙종 13)∼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황상구이다. 최창대·이하곤·구택규 등의 문인이다. 금위영의 서리로 일하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을 토벌하는 도순무사 오명항의 막하에서 서기로 일

  • 화곡집 / 華谷集 [종교·철학/유학]

    의 문집. 4권 1책. <규 5113-6322> 1794년(정조 18) 간행하였다. 권1은 1703∼1730년 사이 저자가 지은 시 100 여수, 권2는 <심주록>으로 1716년 강화도에 머물면서 지은 시 10수, 권3에는 1731년에 지은 <관서수창록> 42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