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초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3)
- 황초립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都監儀軌에서는 견마배(牽馬陪)가 청의를 입고 황초립을 썼다. 依例待令事分付爲旀仗馬鞍勒具二部‧牽馬夫所着黃草笠四立‧靑衣四件帶具依謄錄待令事捧甘何如手決內依甘, (상호1772/081ㄱ05~07)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청단령(靑團領), 대는 조아(條兒)이며, 상복은 관이 주황초립(朱黃草笠), 복이 직령(直領)으로 되어 있다. 이것이 『속대전』에 와서는 관은 그대로 자건이로되 교외(郊外)에 동가(動駕 : 어가가 대궐 밖으로 나감.)하면 황초립(黃草笠)을 착용하게 되어 있었고(세...이칭별칭홍직령
- 초립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치른 후 흑립을 쓰기 전까지 소년이 썼다하여 초립동(草笠童)이라고도하였다. 조선 시대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사족은 초립의 대가치 수를 50죽(竹), 서인은 30죽(竹)으로 제한하여 양반은 고운 것을 쓰라 규정하였다. 또한 별감의 초립은 주황초립으로 하라는 규정이 있었다...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상언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궐내에서는 청단령(靑團領)에 자주색 두건, 왕의 교외행차 때 홍직령(紅直領)에 황초립 차림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은 왕의 교외행차 때 백성들의 민원사항을 수합하여 올리기도 하였다. 『대전회통(大典會通)』 『육전조례(六典條例)』
- 초립(草笠)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만들어, 대나무의 곱고 거친 것으로 사대부와 서민을 구별하였다고 한다. 재료에 따라 죽사립(竹絲笠) ‧ 모립(毛笠) ‧ 죽립(竹笠)이라고도 하며, 색깔에 따라 황초립(黃草笠) ‧ 자초립(紫草笠) ‧ 흑초립(黑草笠)이 있다. 궁정의 세악수(細樂手)나 사복시(司僕寺)의 견...유형분류의복
고서·고문서(7)
- 黃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nk?DCI=ITKC_MP_0597A_0840_030_0190_2015_019_XML 019 《禮說》 寒岡曰:“居喪入廟,當用黑草笠。” 【謂黃艸笠之敝者】 ○尤菴曰:“本生父母之喪,平日當著黃草笠。” ○南溪曰:“居本生喪,入所後廟,又當著黃艸笠。” 【又曰:“黃艸笠太過,宜著蔽...권차명喪禮四箋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동하고 비단옷과 황초립 등을 착용한다는 내용으로 『京都雜誌』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 원본에 자료 제144호, 자료 제232호와 자료 제233호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亟施告身三等之典, 此等無賴之輩, 以雇立, 其敢充代, 伊後思之, 不可略棍而止, 欲爲下敎, 本事旣處分, 以私賤顔私, 充代太僕官, 機張縣徒三年定配。 上曰, 頃年太僕, 仰審受敎, 勉飭勤切, 尋常欽歎, 以海成君吳時亮觀之, 顧不重歟? 近者國綱解弛, 百隷怠慢, 着黃草笠, 着黃綿衣者...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亟施告身三等之典, 此等無賴之輩, 以雇立, 其敢充代, 伊後思之, 不可略棍而止, 欲爲下敎, 本事旣處分, 以私賤顔私, 充代太僕官, 機張縣徒三年定配。 上曰, 頃年太僕, 仰審受敎, 勉飭勤切, 尋常欽歎, 以海成君吳時亮觀之, 顧不重歟? 近者國綱解弛, 百隷怠慢, 着黃草笠, 着黃綿衣者...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賀正考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或耑此四事,或兼他諸事,若進賀ㆍ陳奏ㆍ奏請ㆍ謝恩等項,散見諸篇,其耑與兼,覽閱自明也。但此四事,旣是恒典,年年相同,都無變例,則不必逐年開列。故每於新皇初立,例一抄載,餘有事情,亦或採錄焉。臣竊惟藩國賀正,其來久矣。東九夷之來賓,在於夏ㆍ殷,高句驪之通貢,始於東漢,若濊貊ㆍ夫餘ㆍ沃沮ㆍ三韓之屬,或在...권차명文集 卷十五 | 문체序跋類|序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2)
-
황초립 / 黃草笠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전ㆍ궁의 별감과 사복내외시 거달, 내취 등이 행행 할 때 쓰는 갓. 누런 빛깔의 가는 대로 만들며, 위는 좁고 아래가 넓은 원통형의 모옥과 원형의 양태로 되어 있다. 모정이 평평하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에서는 견마배가 청의를 입고 황초립을 썼다.
-
상언별감 / 上言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홍직령(紅直領)에 황초립 차림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은 왕의 교외행차 때 백성들의 민원사항을 수합하여 올리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