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황철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34)

  • 사덕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험준하나 웅대하고, 그 식물상도 풍부하며 이른바 한대침엽수림지대를 이루고 있다. 주로 낙엽송이 많으며 가문비나무‧전나무‧분비나무 등의 침엽수가 대부분이고, 달피나무‧‧자작나무 등의 활엽수가 있어 혼합림을 이룬다. 서쪽사면으로는 강계군 종남면에서 강계읍에...
  • 풍서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확장되었다. 호수에는 약수천(藥水川)‧서동천(西洞川)‧용문천‧속신천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개의 하천들이 흘러든다. 호수 주변에는 1,700m 정도의 산들이 있으며, 이깔나무‧참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 등이 자란다. 또한 이곳에는 빙...
  • 백사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혼합림 지대에 속하나 비교적 자작나무‧‧달피나무와 같은 활엽수가 많다. 내륙산간 지대에 속하므로 남쪽 사면에서는 계곡을 따라 산지의 아랫부분에 부령군 관해면에 속하는 상수상동‧하수상동 등의 산촌(山村)이 발달하고 있을 뿐이다. 한편 북쪽 사면 기슭에는 창...
  • 황주연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황주군 황주읍에 있는 연꽃.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68호. 연꽃은 황주읍 길 옆의 못에 퍼져 있다. 못의 주변은 ‧버드나무‧아까시나무들과 작은 꽃나무들로 꾸며져 있다. 못은 누에 고치모양으...
  • 대홍단산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양강도 대홍단군 유곡노동자지구에 서식하는 산양.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356호. 이 구역에는 분비나무‧가문비나무‧이깔나무‧자작나무(봇나무)‧사시나무 등이 혼성림을 이루고 있다. 골짜기에는 ‧버드나무 따위의 교목과...

신문·잡지(3)

주제어사전(4)

  • / Populus maximowiczii A.Henry [과학/식물]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교목. 는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큰키나무이다. 한국, 중국 동북부, 일본 혼슈 이북,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강원도와 평안남도 이북의 산지 하천 및 계곡부에 자생한다. 잘 자란 나무는 높이가 30m에 이른다. 학

  • 백사봉 / 白沙峯 [지리/자연지리]

    으로 둘려 있다. 산세를 살펴보면 북쪽 사면 기슭은 급사면으로 산세가 험하고, 남동쪽 사면은 멀리 동해의 이진만(梨津灣)으로 흘러들어가는 소청천(素淸川)의 상류에 의해 산지사면이 하각침식당하고 있다. 식물상은 혼합림 지대에 속하나 비교적 자작나무··달피나무와 같

  • 낭림산맥 / 狼林山脈 [지리/자연지리]

    ·사시나무··달피나무·고로쇠나무 등의 활엽수가 자라는데, 이는 우리 나라의 중요한 삼림 자원이다.

  • 사덕산 / 寺德山 [지리/자연지리]

    엽수림지대를 이루고 있다. 주로 낙엽송이 많으며 가문비나무·전나무·분비나무 등의 침엽수가 대부분이고, 달피나무··자작나무 등의 활엽수가 있어 혼합림을 이룬다. 서쪽사면으로는 강계군 종남면에서 강계읍에 이르는 깊고 넓게 개석된 곡저평야가 남쪽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