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황준량” 에 대한 검색결과 2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8)

사전(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있다. 仁宗實錄 明宗實錄 國朝榜目 退溪集 錦溪集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淸選考 1517(중종12)-156...
    이칭별칭 중거(仲擧)| 금계(錦溪)
  • TD_L7_D_0110 남자 登第 中廟庚子 平海, 星州 仲擧, 錦溪, 退陶 D_06_03_16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중종~명종 이현숙 이범직 2009 중거(仲擧) 금계(錦溪) 양반 남자 ...
  • 녹봉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이 절이 조선시대에 폐허가 되어 내려오던 것을 1561년(명종 16)에 성주목사 ()과 교수(敎授) 오건(吳建) 등이 중심이 되어 개축하고 건물 몇 채를 새로 지어 녹봉정사라 하였다. 지금은 건물이 남아 있지 않지만 성정당(誠正堂)‧시습...
  • 김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는 조식을 사사하였고, 오건(吳健)에게서 『심경』ㆍ『근사록』을 배웠으며, ()에게서 『중용』과 『대학』을 강의받았는데, 모두 지극한 칭찬을 받았다.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와 도의로 사귀었고, 벗을 사귐에서는 어진 이를 가까이하고 선행을 즐겼으며, 모든...
    이칭별칭 태수(台?)| 서계(西溪)

고서·고문서(209)

  • 의 追贈을 요청하는 上疏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3266 1935_01 의 追贈을 요청하는 上疏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상소 한자 고문서 HJL030.JPG 의 追贈을 요청하는 上疏 上疏 李晩浩 등 國 同治 년간...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錦溪 선생의 사당 건립에 관한 通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3169 1874_01 錦溪 선생의 사당 건립에 관한 通文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사회관계, 문중생활, 서간통고류, 통문 한자 고문서 HJL259.JPG 錦溪 선생의 사당 건립에 관한 通文 通文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이 문과에 급제한 것을 증명하는 홍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3232 1916_01 이 문과에 급제한 것을 증명하는 홍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홍패 한자 고문서 HJL005.JPG 이 문과에 급제한 것을 증명하는 홍패 홍패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이 문과에 급제한 것을 증명하는 홍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3233 1916_02 이 문과에 급제한 것을 증명하는 홍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홍패 한자 고문서 HJL005.hwp 敎旨 生員文科乙科第二人 及第出身者 嘉靖十九年...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幼學 이 生員으로 入格한 것을 증명하는 백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3234 1917_01 幼學 이 生員으로 入格한 것을 증명하는 백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백패 한자 고문서 HJL006.JPG 幼學 이 生員으로 入格한 것을 증명하는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1517(중종 12)∼1563(명종 18). 조선 중기의 문신. 황영손의 증손, 할아버지는 황효동, 아버지는 황치, 어머니는 황한필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40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권지성균관학유로 임명되고, 이어 성주훈도로 차출되었다. 신녕

  • 욱양서원 / 郁陽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욱금리에 있었던 서원. 1662년(현종 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과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 금계변무록 / 錦溪辨誣錄 [종교·철학/유학]

    1865년 황범린이 선조 이 당한 무고를 변호하기 위하여 저술한 변증서. 변무록. 불분권 1책. 목활자본. 1865년(고종 2)에 간행되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죽은 뒤 풍기의 욱양서원(郁陽書院)과 신령의 백학서원(白鶴

  • 김기보 / 金基報 [종교·철학/유학]

    1531년(중종 26)∼1588년(선조 21). 조선 중기 문신‧유학자. 증조는 김영수, 조부는 승지 김영, 처부는 이문량이다. 금계 은 동서이다. 죽우당 성수침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향시에 합격하여 언양‧거창‧회인 등지의 현감을 역임하였다. 문집으로 1850

  • 단양향교 / 丹陽鄕校 [교육/교육]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상방리에 있는 향교. 1415년(태종 15)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명종 초기 이황(李滉)이 군수로 있을 때 현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명종 후기 군수 ()이 명륜당을 건립(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