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황재현” 에 대한 검색결과 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48(헌종 14)∼1903. 조선 말기의 무인. [내용] 보령5의사 중의 한 명이다.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봉일(鳳一), 호는 만취(晩翠). 충청남도 보령출신. 1878년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선전관에 임명되어 관계에 진출하였다....
    이칭별칭 봉일(鳳一)| 만취(晩翠)
  • 이세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하였다. 1895년 을미사변에 격분하여 홍주에서 이설(李偰) 등과 함께 관찰사를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의병을 일으켰으나, 이승우(李勝宇)의 간계로 패퇴하여 홍산(鴻山)으로 피신하였는데 김복한(金福漢) 등 많은 동지가 붙잡혔다. 이듬해에 ()‧이...
    이칭별칭 좌현(佐顯)| 고광(古狂), 고광자(古狂子)|세영(世榮)|유흠(維欽)|천민(天民)
  • 홍재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1년 2월 이만손(李晩孫)을 소두로 하는 영남만인소(嶺南萬人疏)였다. 이 상소의 소두 이만손과 제소자 강진규(姜晉奎)가 귀양을 가자, 같은 해 3월 ()‧홍시중(洪時中)이 반대 소를 올렸다. 5월에는 경상 유생 김진순(金鎭淳), 경기 유생 유...
    이칭별칭 문숙(聞叔)
  • 영남만인소(嶺南萬人疏)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침투를 막아야 한다면서 위정척사의 태도를 분명히 하였다. 이 상소로 말미암아 이만손과 강진규는 유배되었으나, 척사 운동은 날이 갈수록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같은 해 4월의 홍시중(洪時中)·()의 상소를 비롯하여, 6월에는 경상도 유생 김진순(金鎭淳),...
    관련어사도세자(思悼世子), 체재공(蔡濟恭), 남인(南人), 위정척사(衛正斥邪), 이단(異端), 개화파(開化派), 조선책략(朝鮮策略)
  • 신사척사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으로 확산되었다. 같은 해 4월의 홍시중(洪時中)ㆍ()의 상소를 비롯하여, 6월에는 경상도 유생 대표 김진순(金鎭淳), 경기도유생대표 유기영(柳冀永), 충청도 유생 대표 한홍렬(韓洪烈) 등의 상소가 잇달아 있었다. 이와 같은 상소공세에 대처하여, 정...

고서·고문서(47)

  • ·孫永老·, 島配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4168 B024168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21年 10月 27日_009 ... 黑山島圍籬安置罪人朴遇賢, 圍籬安置勿揀赦前罪人尹相和, 智島安置罪人金平默, 珍島府金甲島圍籬安置罪人孫永老·, 安置罪人尹胄鉉, 康津縣薪智島圍籬安置罪人李晩孫, 安置罪...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4186 B024186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21年 10月 29日_015 ... 黑山島圍籬安置罪人朴遇賢, 圍籬安置勿揀赦前罪人尹相和, 智島安置罪人金平默, 珍島府金甲島圍籬安置罪人孫永老·, 安置罪人尹胄鉉, 康津縣薪智島圍籬安置罪人李晩孫, 安置罪...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4964 B024964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21年 10月 23日_029 ... 10317]黑山島圍籬安置罪人朴遇賢, 圍籬安置勿揀赦前罪人尹相和, 珍島府金甲島圍籬安置罪人孫永老·, 安置罪人尹胄鉉, 羅州牧智島安置罪人金平默, 康津縣 薪智島圍籬安置...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0753 B300750 이만손 李晩孫 인물 承政院日記 高宗 20年 6月 16日_011 ..., 薪智島遠惡島定配罪人洪時中, 令王府, 竝設鞠得情, 夬正典刑焉。 措辭見上 請薪智島圍籬安置罪人李晩孫, 鹿島圍籬安置罪人姜晉奎, 更令王府, 設鞠嚴覈, 明正典刑焉。 措辭見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848년(헌종 14)∼1903년. 조선 말기의 무인. 1878년 무과에 급제, 선전관에 임명되어 관계에 진출하였다. 1881년 김홍집이《조선책략》을 들여온 것이 발단이 되어 전국이 척사상소로 비등할 때, 영남유생 이만손의 만인소에 이어 충청도 대표로 홍시중과 함께

  • 신석호 / 申錫祜 [종교·철학/유학]

    1816년(순조 16)∼1881년(고종 18).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신면위이다. 1866년(고종 3) 유후조 낙파상공의 천거로 경상도연보전도유사를 지냈다. 1876년(고종 13) 일제에 의해 강제로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자 최익현··홍재학 등과 함께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