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황재영” 에 대한 검색결과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5)

  • 대계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7권 4책. 목판본. 저자의 조카 병흠(炳欽)이 흩어진 유고를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신헌구(申獻求)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ㆍ국립중앙도서관ㆍ고려대학교 도서관ㆍ충...
  • 치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배상익(裵尙益)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71년(고종 8) 후손 한규(漢奎)ㆍ영협(永協)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이, 권말에 성종진(成鍾震)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 안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배응경(裵應褧)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84년(고종 21) ()이 편집, 8세손 한식(漢植)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문, 권말에 의 발문과 한식의 후지가 있다...
  • 극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와 『논어』에 대해 문답한 것이다. 「상대계족형(上大溪族兄)」의 별지는 먼 친척형인 ()에게 보낸 편지이다. 『대학』의 삼강령 팔조목을 강론하면서 지선(至善)에 머무는 것은 격물(格物)‧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의 공부가 충분해 융회(融會), 관통...
  • 박주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4년 복제 개혁의 영이 내리자, 권경하(權經夏)ㆍ() 등과 문산사(文山社)에서 향음주례(鄕飮酒禮)를 행하고 고례(古禮)의 수호에 앞장섰다. 또 향시의 시관이 되기도 하고, 향교의 교수직을 맡아 학자와 인재를 많이 배출하였다. 향중의 중요한 일은 대부분...
    이칭별칭계우|나암|침천

고서·고문서(19)

  • 1866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66년 12월 13일에 이 근황을 전하고 부국강병 등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 위해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이다. 처음 상대와 오래 만나지 못한 상황에 그리운 마음을 전했다. 그리고 상대와 상대의 숙부들 및 집안의 안부를 물었다. 이어서 자신의 경우는, 조부와 부친...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70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70년 2월 9일에 이 자신 쓴 ‘隨錄’을 평가해 준 상대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이다. 지난번 상대가 문상하러 와 준 것에 대해 언급하며 감사해 하고 또 그때 정성이 부족하여 오래 머물게 하지 못한 점, 이후 상대의 편지를 받고 답...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구분잡가
  • 생각이 간절코나 얼화 말아라 나는 못 닛겟네 능지를 하여도 난 못 닛겟다 에헤이에 알살틀 원수하고 간장 썩어 눈물이로다 얼화 말아라 나는 못 닛겟네 능지를 하여도 난 못 닛겟다 〈mc〉 【上】 朝鮮江山(조선강산) 어데를 가던지 아리랑고개 업는 데가 업스며...
    구분잡가

기타자료(5)

  • 황재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0377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2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3) 제13회(1924년) 황재경; 安邊郡 鶴城面 外石橋...
    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재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4776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59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13)송도고보 제6회(대정14년) 37명 황재경; ...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재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8964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80면 1. 3. 각 과별 졸업생;16) 제16회 졸업생 (1934년 3월 졸업);(1) 문과 황재경;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재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9882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83면 1. 3. 각 과별 졸업생;16) 제16회 졸업생 (1934년 3월 졸업);(1) 문과 황재경;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재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3192 남한 경기 송도고등보통학교 3-03 송우 제7호 1933―03―18 92면 1. 졸업생상황;13)사립송도고등보통학교 제6회(1925년) 37명 황재경;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송도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835년(헌종 1)∼1883년(고종 20). 이인하의 아들이다. 1883년(고종 20)에 선공감감역에 임명되었으나 이를 사퇴하였다. 영남의 학자 가운데 실천적 학자로는 만한 이가 드물었다고 한다. 저서로는《대계유고》 7권이 있다.

  • 대계집 / 大溪集 [종교·철학/유학]

    대계 의 문집. 목판본. 7권 4책. 조카 병흠이 유고를 모아 신헌구에게 서문을 부탁하여 짓게 했다. 발문은 없다. 권1은 사 1편, 시 157제 198수, 소 1편이 있다. 권2~4까지는 서 147편, 권5에는 서 9편, 기 9편, 발 14편, 잡저 6편이 있

  • 밀와집 / 密窩集 [종교·철학/유학]

    이 지은 유사 그리고 권영하, 이휘수, 김기헌등이 저자를 애도한 만사 26수, 김기헌, , 권종영등이 지은 제문 36편, 권미에 김승학과 현손 권태인이 1964년에 지은 후지가 있다.

  • 대계유고 / 大溪遺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의 시·서(書)·제문·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7권 4책. 목판본. 저자의 조카 병흠(炳欽)이 흩어진 유고를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신헌구(申獻求)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충남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