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자총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21)
- 황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中藥線) 5촌, 소연자(小鉛子) 20매로 명시되었다.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 ‘황자총통’조에는 중약선 반조(半條), 화약 3냥, 격목(檄木) 3촌으로 피령차중전(皮翎次中箭)을 발사하면 1,100보에 이르고, 혹 탄환에는 토격(土隔) 1촌5푼을 써서 철환 4...연계항목황자총통(黃字銃筒)
- 황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必備)』의 황자총통에 관한 설명과 같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이지만 현재는 충청남도 아산의 현충사전시관에 소장되어 있다. 『융원필비(戎垣必備)』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 『과학기술문화재조사보고서(科學技術文化財調査報告書)』(문화...
- 황자총통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전기에 사용하던 유통식(有筒式) 화포(火砲).정의조선 전기에 사용하던 유통식(有筒式) 화포(火砲).[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hwangjja chongtong | MR표기hwangtcha ch’ongt’o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별황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아 포운영에 편리하게 하였다. 이 총통은 천‧지‧현‧황 가운데 황자총통에 해당되는 화포이나, 원래의 황자총통보다 그 규모가 크고 제법상에 차이를 두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약실에는 종서로 ‘己西造上別黃字重二百四斤藥四兩(기유조상별황자중200근약4냥)’...
- 피령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때 황자총통(黃字銃筒)에 사용하던 화살. [내용] 화살의 전신(箭身)은 벌목한 지 2년 된 나무로, 총길이 6척 3촌, 둘레지름〔遠徑〕 1촌 7푼, 무게 3근 8냥에 이른다. 전신 위와 아래에는 모두 철로 장식하였다. 위...
주제어사전(1)
-
황자총통 / 黃字銃筒 [과학/과학기술]
1812년(순조 12)에 만들어진 화포(火砲). 보물 제886호. 정철(定鐵, 화포받침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모병(冒柄, 자루를 끼울 수 있는 부분)·손잡이가 완벽하게 붙어 있어서 당시의 제조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