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응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8)
- 황응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18(중종 13)∼1598(선조 3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중문(仲文), 호는 송간(松澗). 봉예랑 귀경(貴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희성(希星)이고, 아버지는 우찬성 사우(士祐)이며, 어머니는 ...이칭별칭 중문(仲文)| 송간(松澗)
- 황응규(黃應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황응규 황응규 黃應奎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명종~선조 이현숙 이범직 2009 중문(仲文) 송간(松澗) 양반 남자 ...
- 황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44(중종 39)∼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경명(景明), 호는 식암(息庵)‧돈암(遯庵). 서울 출생. 희성(希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찬성 사우(士祐)이고,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이칭별칭 경명(景明)| 식암(息庵), 돈암(遯庵)| 정익(貞翼)
- 황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55(명종 10)∼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시지(是之), 호는 부훤당(負暄堂). 증좌찬성 희성(希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찬성 사우(士祐)이고, 아버지는 직장 응규(應奎)이며, ...이칭별칭 시지(是之)| 부훤당(負暄堂)
- 선암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서원. [내용] 당초 1568년에 매전면(梅田面) 동산동(東山洞) 운수정(雲樹亭)에 향현사(鄕賢祠)로 창건되었다가 1577년에 군수 황응규(黃應奎)가 현위치로 이건하고 서원으로 승격하고연계항목선암서원(仙巖書院)
고서·고문서(2)
- 송간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陳弊疏(1579) 1 1579년(선조 12) 황응규가 단양군수로 부임하여 목격한 단양군의 積弊와 이를 바로 잡을 方策을 올린 상소문이다. 당시 단양은 정부에서도 「棄邑」이라 할 정도로 피폐했으며, 이미 명종 때 단양군수를 지낸 黃俊良의 상소로 각종 役을 십년간 감면한...분야문학 | 유형문헌
- 동거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하고, 조부는 文科 正郞 垕文이고 아버지는 喜學이다. 어머니는 同樞府知事 黃應奎의 손녀이자 副護軍 黃有漢의 따님이다. 「先妣孺人安東金氏省墓記夢錄」 19 先妣는 안동김씨 用成과 능성구씨 具栢潭 선생의 五世 孫女의 사이에서 임술(1682)년에 태어나 임오년에 先府君께로 시...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5)
-
황응규 / 黃應奎 [종교·철학/유학]
1518(중종 18) - 1598(선조 31). 아버지는 황사우, 어머니는 연일오씨이다. 1543년(중종 38) 사마시에 급제하여 성균관에서 수업, 예조, 형조, 공조의 좌랑과 정랑을 지내고 사유로 선발되어 성균관 직강, 사성을 지내고, 사섬시, 예빈시, 종부시 정을
-
황유중 / 黃有中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황사우의 증손, 할아버지는 황응규, 아버지는 황섬, 어머니는 이전의 딸이다. 1606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으며, 이듬해 전적·병조좌랑을 지내고 홍문관에 들어갔다.
-
선암서원 / 仙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서원. 당초 1568년에 매전면(梅田面) 동산동(東山洞)운수정(雲樹亭)에 향현사(鄕賢祠)로 창건되었다가 1577년에 군수 황응규(黃應奎)가 현위치로 이건하고 서원으로 승격하고 개칭하였다. 1677년에 군수 서문중(徐文重)이 중창하
-
송간집 / 松澗集 [종교·철학/유학]
황응규의 시문집. 3권 2책. 목판본. 1927. 문집 3권 중 2권이 시로 구성되어 있다. 권1에는 시 253수, 권2에는 129수 등 모두 382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서문은 없다. 권3의 소는 2편으로, 단양군수로 재직 중일 때 올린 진폐소와 임진왜란 때 군
-
황섬 / 黃暹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황희성의 증손, 할아버지는 황사우, 아버지는 황응규, 어머니는 이수려의 딸이다. 정탁의 문인이다. 1564년(명종 19) 성균관유생이 되고, 1570년(선조 3)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한성부참군·해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