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여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15)
- 해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황여일(黃汝一)의 시문집. [내용] 14권 7책. 목판본. 1776년(영조 52) 후손 상하(尙夏)와 이형복(李亨福) 등이 명계서원(明溪書院)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상정(李象靖)의 서문과 권말에 양사언(楊士彦)...
- 황여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황여일(1561-1622) 1556(명종 11)∼?. 조선 중기의 문신.이칭별칭 회원(會元)| 해월헌(海月軒), 매월헌(梅月軒)
- 황중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77(선조 10)∼?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도선(道先). 연(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응징(應澄)이고, 아버지는 공조참의 여일(汝一)이며, 어머니는 박황(朴惶)의 딸이다. [내용] 생...이칭별칭 도선(道先)
- 황여일(黃汝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489 인물 황여일(黃汝一) 황여일 黃汝一 1556 1622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회원(會元), 호는 해월헌(海月軒)・매월헌(梅月軒). 평해(平海) 출신. 1576년에 진사가 되고 158...유형분류인물
- 명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에 있는 서원. [내용] 1671년(현종 1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황응청(黃應淸)과 황여일(黃汝一)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
고서·고문서(14)
- 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734 B068734 동래 東萊 정치행정 仁祖實錄 七年(1629) 十二月 인조실록_10712009_001 ○己未 / 戶曹啓曰: “東萊前後府使, 公貿木欠縮甚多。 係干贓汚, 令攸司處置後, 按法追徵。 其中以文書不明懸錄者, 多至八百餘同, 各書於其時府使名下。 黃汝一八百四同...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769 B068769 동래 東萊 정치행정 光海君日記 十年(1618) 4월 광해군일기_11004018_017 ○禮曹啓目: “慶尙監司尹暄、東萊府使黃汝一上送倭書契,對三馬島主之子, 其父身死後, 陞爲島主, 則前受圖書, 似當還收, 仍執奉遣, 極爲奸狡。 今番接待後, 勿爲例事,...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該東萊鎭兵馬僉節制使黃汝一呈節該: 「對馬島倭橘 ...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自多彌縫。 方今之事, 異於前日, 貴國必須酌處, 免致後患。」 等因, 具啓。’ 據此竊照, 本倭憑藉家康之言, 辭意狡猾, 頗涉恐喝。 其間情節, 委屬叵測等因, 具咨鎭江遊府去訖。 又該慶尙道觀察使成晉善馳啓: ‘該東萊鎭兵馬僉節制使黃汝一將對馬島 ...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황여일 / 黃汝一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 조선 중기의 문신. 황세충의 증손, 할아버지는 황연, 아버지는 황응징이다. 1576년(선조 9)에 진사가 되고 1585년 개종계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88년 검열, 예천군수, 길주목사, 동래진병마첨절제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조천록
-
명계서원 / 明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에 있는 서원. 1671년(현종 1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황응청(黃應淸)과 황여일(黃汝一)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