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78)
사전(222)
- 황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황일호의 양부이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황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조선의 사신으로, 양방형과 함께 일본 대판[오사카]으로 가서 풍신수길과 화친을 의논하지만 조건이 맞지 않자 그만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황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다. 시호는 문민(文敏)이다.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誌狀輯略 宋子大全 月沙集 象村稿 明齋遺稿 典故大方 황신 영...이칭별칭 사숙(思叔)| 추포(秋浦)| 문민(文敏)
- 黃信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882 黃信 인물 抱母乞命, 至孝, 母病革, 氣絶, 抱持號天, 復穌 孝子 D_17_02_08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황신(黃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485 인물 황신(黃愼) 황신 黃愼 1560 161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사숙(思叔), 호는 추포(秋浦), 시호는 문민(文敏).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에게 수학했다. 1582년 진사...유형분류인물
단행본(1)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고서·고문서(438)
- 대행천황신필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5312 P-SDK-05312-P-B-03-01 P-SDK-05312-P-B-03-01-1 P-SDK-05312-P-B-03-01-2 대행천황신필 大王天皇宸筆 무쓰히토 봉투 없음. 3매 세트. 사제엽서 역사 메이지천황 근대 ...자료명대행천황신필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추포(秋浦) 황신(黃愼) 시(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1606년 황신(黃愼) 문(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문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1601년 황신(黃愼)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1601년 황신(黃愼)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구술자료(8)
- 용정리 성황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성황신에 대한 것은 없느냐고 묻자 다음 얘기를 구연하였다. *조사일시1980-11-09 | 조사장소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 제보자김일기
- 최명길과 죽령 성황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당태종 이야기를 마치고 계속해서 들려 준 이야기다.*조사일시1981-05-02 | 조사장소충청남도 아산군 송악면 | 제보자이용정
- 성황신이 된 물귀신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대만 20171223_033_001_대만_03_사의진_M_성황신이 된 물귀신 신화 성황신이 된 물귀신 2017. 12. 23(토) 오후 강원도 춘천시 효자동 강원대학교 스토리텔링 학과사무실 사의진 [대만, 여, 1989년생, 유학 3년차] 조사자 3인 박현숙, 김민수국가대만 | 제보자사의진 [대만, 여, 1989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순창의 성황신이 된 설공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역사적 인물들에 대한 설화를 예로 들자 제보자가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1월 13일(목) | 조사장소순창군 인계면 도룡리 산 206-3번지 도사마을 경로당 | 제보자양정욱
- 강원 20171223_강원도 춘천시 효자동 강원대학교 스토리텔링 학과사무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제보자는 〈성황신이 된 물귀신〉 구연을 시작으로 준비해 온 이야기를 차례대로 차분하게 구연하였다. 제보자는 60여 분 동안 쉼 없이 구연을 하였고, 준비한 이야기 구연이 끝나자 이야기판을 정리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조사자가 제보자에게 대만의 명절과 관련한 질문을 하자제보자사의진 [대만, 여, 1989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2)
- 성황신 김홍술과 의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변동명, 게재일 : 200637675 변동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학회 2006 성황신 김홍술과 의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성황신 소정방과 대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변동명, 게재일 : 200737676 변동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호남사학회 2007 성황신 소정방과 대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7
- 明淸時期 蘇州地域 城隍神 信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지현, 게재일 : 200510545 김지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사회생활학과 2005 明淸時期 蘇州地域 城隍神 信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유형논문 | 게재일2005
- 韓國과 中國의 城隍信仰 比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영대, 게재일 : 200110767 서영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01 韓國과 中國의 城隍信仰 比較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5유형논문 | 게재일2001
- 唐후반기 城隍神 신앙과 江南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순모, 게재일 : 200434651 정순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04 唐후반기 城隍神 신앙과 江南개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70)
- 黃新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黃新奉(-) 부산 黃新奉 - 瀛州町61 - - 육류 - 11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黃新奉(-)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육류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민세안재홍전집 : 議員의略歷 (1)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261 1946 2 15 1 1 議員의略歷 (1) 신문 동아일보 2면 7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黃信德, 金法麟, 金善, 張勉, 安在鴻, 李義植, 朴容義 A19460215동아02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지금감옥셔에 갓친 판소 죄인 즁에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지금감옥셔에 갓친 판소 죄인 즁에 결쳐 지 못 죄인의 슈효가 일 이십 오명인대 그즁에 경무쳥 죄인 최진한 황신호 졔인은 여러이 되도록 판소로 넘어가지 안은 사 이라더라게재일1899년 12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隨等敘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시찰 리극 민형식 엄쥬익 리샹텬 현운 황신태졔씨가 작일밤에 입셩하얏데 작일졍오에 리극씨 폐현하야 복명하얏다하며 일본졍부에셔 리극씨 욱일대수훈쟝을쥬고 그이하 례로셔 셔보장을 쥬엇다더라게재일1904년 12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구젼령를 가입야졔죠 익원산은근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구젼령를 가입야졔죠 익원산은근일 괴질 시초에 발 즁이오며 토시초에 위션 먹 오수 신효기가우황신약이니 토긔운이 잇듯만 거든 급히 집으로오시오 쟝동일본 령관 동편 뎨삼가리 호졍광고 문에도 광고엿소 李鎬正게재일1902년 9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7)
- 황신항;黃信恒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9100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35면 황신항;黃信恒 평북 용천군 용천면 신흥동 본과 제1회 192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신덕;黃申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강습과(舊사범과와 동일한 과정에 의한) 졸업자 황신덕;黃申德 (현주소)평북 선천군 東林普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신덕;黃信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2325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여자전문이화보육학교일람 1937 106면 1. 제7. 생도;1) 생도 성명, 원적 및 출신학교명;(9) 가사과 예과 황신덕;黃信德 (원적)평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신성;黃信性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3194 남한 충남 천안농업고등학교 천안농업고등학교 졸업대장(1932~1945) n.r. 18면 7. 1936년도 졸업생(1년제) 황신성;黃信性 1937.1.31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천안농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국교육을 좌우하는 교육인맥 7) 황신덕 추계학원 이사장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교육을 좌우하는 교육인맥 7) 황신덕 추계학원 이사장 (한국교육을 좌우하는 교육인맥 7) 황신덕 추계학원 이사장 (韓國敎育을 左右하는 敎育人脈 7) 黃信德 秋溪學園 理事長 교육 문헌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교육평론
주제어사전(12)
-
황신 / 黃愼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황형 증손, 할아버지는 황원, 아버지는 황대수, 어머니는 곽회영의 딸이다. 성혼과 이이의 문인이다. 1588년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진주부사, 공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일
-
천존각온황신주경 / 天尊却瘟㾮神呪經 [언어/언어/문자]
전염병을 퇴치하는 내용의 불경. 발문이 박선묵(朴銑默)의 것이고 같은 해에 함께 간행된 『관세음보살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觀世音菩薩六字大明王陀羅尼神呪經)』이 박선묵의 증집(增輯)에 의한 것이므로, 이 책도 박선묵이 번역하여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한문을 먼저 싣
-
고암서원 / 高巖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대곡리에 있던 서원. 1694년(숙종 20) 지방유림의 공의로 진극순(陳克純)·황신구(黃信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가, 후일 진준(陳遵)·한양오(韓養吾)·진위(陳偉)·한상기(韓尙箕)의 위패를 추가배향하였다. 선현
-
창강서원 / 滄江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에 있는 서원. 1629년(인조 7)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황신(黃愼)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2년(숙종 8)에 ‘창강(滄江)’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그 뒤 대원군의
-
김흥국 / 金興國 [종교·철학/유학]
1557(명종 12)∼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약평 증손, 할아버지는 희려, 아버지는 별제 난손, 어머니는 정랑 구숙간의 딸이다. 1589년(선조 22) 유학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정자·정언·주서 등을 역임하였다. 김장생·신흠·황신·서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