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11)
- 황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황설현의 이복동생으로, 황밀과 후처 안씨 사이에서 난 아들이다. 어머니안씨에게 구박당하는 누이 설현을 위로하고 감싸주며, 이복누이가 처녀의 몸으로 낙태하였다는 누명을 쓰자 적극 변호한다. 후에 양양태수 장진의 아내가 되어 찾아온 설현이 정체를 숨기고 집으로 와 편지 한...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황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44(중종 39)∼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경명(景明), 호는 식암(息庵)‧돈암(遯庵). 서울 출생. 희성(希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찬성 사우(士祐)이고,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이칭별칭 경명(景明)| 식암(息庵), 돈암(遯庵)| 정익(貞翼)
- 황섬(黃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480 인물 황섬(黃暹) 황섬 黃暹 1544 161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경명(景明), 호는 식암(息庵)‧돈암(遯庵). 1570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고, 서천군수(舒川郡守)‧사간(司諫...유형분류인물
- 황섬(黃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481 인물 황섬(黃暹) 황섬 黃暹 1544 161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경명(景明), 호는 식암(息庵)‧돈암(遯庵). 1570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고, 서천군수(舒川郡守)‧사간(司諫)...유형분류인물
- 황유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4(명종 19)∼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중정(仲正), 호는 조대(釣臺). 우찬성 사우(士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응규(應奎)이고, 아버지는 대사헌 섬(暹)이며,...이칭별칭 중정(仲正)| 조대(釣臺)
고서·고문서(37)
- 1610년 황섬(黃暹) 퇴계선생향약조발(退溪先生鄕約條跋)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속한 인근의 풍기(豊基)에서는 퇴계의 학통을 계승한 황섬(黃暹)과 황엽(黃曄) 주도로 향약 보급이 시도되었다. 본 자료는 황엽이 황섬에게 퇴계의 향약 실시를 의논하는 가운데, 1610년 황섬이 작성한 발문으로 풍기에서의 향약 보급 과정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424 B035424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9年 9月 26日_002 ○下直, 南海縣監黃暹, 永川郡守尹東涵, 碧沙察訪趙完玉。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원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강원도 황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용강현(龙江县) 화민향 황섬대대 2 2 강원도, 춘천군, 사북면, 지암리, 칠촌숙부...대표표제어강원도 | 성씨황
- 낙제(絡蹄)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745 B032745 낙제 絡蹄 경제산업 忠淸道邑誌 庇仁郡邑誌 舒川郡 物産 ... 11221 竹島 苧柿 蛤石花洪魚鯊魚秀魚烏賊魚青魚圡花絡蹄大鰕小螺蟹薄荷麥門冬天門冬防風半夏蔓荊子白芨胎水乾地黃蟾酥淡竹葉山藥金銀花木瓜蓮實川芎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하(大鰕)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944 B048944 대하 大鰕 수산물 忠淸道邑誌 庇仁郡邑誌 舒川郡 物産 ... 011516 竹島 苧柿 蛤石花洪魚鯊魚秀魚烏賊魚青魚圡花絡蹄大鰕小螺蟹薄荷麥門冬天門冬防風半夏蔓荊子白芨胎水乾地黃蟾酥淡竹葉山藥金銀花木瓜蓮實川芎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황섬 / 黃暹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황희성의 증손, 할아버지는 황사우, 아버지는 황응규, 어머니는 이수려의 딸이다. 정탁의 문인이다. 1564년(명종 19) 성균관유생이 되고, 1570년(선조 3)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한성부참군·해운판
-
황유중 / 黃有中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황사우의 증손, 할아버지는 황응규, 아버지는 황섬, 어머니는 이전의 딸이다. 1606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으며, 이듬해 전적·병조좌랑을 지내고 홍문관에 들어갔다.
-
식암집 / 息菴集 [종교·철학/유학]
황섬의 문집. 목판본, 서:신경준(1769), 5권 3책. 1769년(영조 45)에 간행. 권1.2에는 시 425수가 있다. 권3에는 비답 1편, 소 5편이 있고, 권4에는 서 15편, 잡저 2편, 기 1편, 발 2편, 명찬 3편, 전문과 책문이 각 1편, 제문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