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반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3)
- 백하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황반로(黃磻老)의 시문집. [내용] 10권 5책. 목활자본. 종질(從姪)인 난선(蘭善)이 편집하여, 1909년에 증손 찬주(贊周) 등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고성겸(高聖謙)과 찬주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연세대학교...
- 어주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전오륜(全五倫)의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1896년 6대손 병일(秉一)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황반로(黃磻老)의 서문과 전홍구(全洪九)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 노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황번로(黃磻老)가 지은 행장, 유치명(柳致明)이 지은 묘갈명, 이휘재(李彙載)가 지은 묘지명, 아들 광형(光馨)이 지은 유사가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이 한정(閒情)한 인간생활을 자연 속에 흡수시켜 표현한 것이 많은데, 벼슬살이를 하지 않은 학자로서 유...
고서·고문서(17)
- 황반로(黃磻老) 시(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병술년 황반로(黃磻老)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병술년 황반로(黃磻老)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병술년 황반로(黃磻老)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1826년 황번로(黃磻老) 등 상서(上書)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입재(立齋) 조대윤(趙大胤)은 일찍부터 효성이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근거한 학문이 순수하고 정밀하여 선비들과 유림들에게 칭송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정의 예우와 특전이 내려지지 않자 생원(生員) 황번로(黃磻老) 등이 병술년 9월에 어사[巡相]에게 호소문을 올려...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주제어사전(2)
-
황반로 / 黃磻老 [종교·철학/유학]
1766년(영조 42)∼1840년(헌종 6). 조선 후기 학자. 황희 후손, 부친 황계희의 3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황신로‧황암로가 있다. 정종로 문하에서 수학하여 정통 성리학의 연원을 이어받았으며, 시문과 필법에도 뛰어났다. 교유한 인물로 강세규‧강세륜‧강세백‧
-
노암문집 / 魯庵文集 [종교·철학/유학]
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00수, 권2∼4에 서(書) 120편, 권5에 잡저 2편, 서(序) 8편, 기 2편, 발 10편, 잠 2편, 축문 3편, 권6에 제문 15편, 묘갈명 4편, 묘지명 3편, 권7·8에 행장 16편, 부록으로 황번로(黃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