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구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5)
- 황구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72(현종 13)∼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성징(聖徵). 형(泂)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신구(藎耉)이고, 아버지는 건(鍵)이며, 어머니는 이문행(李文行)의 딸이다. ...이칭별칭 성징(聖徵)
- 황구하(黃龜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444 인물 황구하(黃龜河) 황구하 黃龜河 1672 1728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성징(聖徵). 1705년 34세 때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에 합격하였다. 이후 정언(正言) ‧ 수찬...유형분류인물
- 황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99(숙종 25)∼1771(영조 4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몽응(夢應). 진구(藎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건(鍵)이고, 아버지는 한성판윤 귀하(龜河)이며, 어머니는 최천서(崔天瑞)의 딸이다. ...이칭별칭 몽응(夢應)
- 채지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스승의 영향으로 과거 공부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위기지학(爲己之學: 자신의 수양을 위한 학문)에 전념하고 지행일치(知行一致)의 실천적 수행에 힘써 당시 많은 학자들로부터 추앙받았다. 1718년(숙종 44) 암행어사황구하(黃龜河)와 관찰사 등이 뛰어난 학행으...이칭별칭 군범(君範)| 봉암(鳳巖), 삼환재(三患齋), 봉계(鳳溪), 사장와(舍藏窩)
- 남구명(南九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監賑御使) 황구하(黃龜河)가 제주도에 비축한 진휼 곡식 이외에 60석을 더 전용하였다고 하여, 당시 제주목사와 통판과 수령들을 고발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남구명은 경주로 돌아와서, 경주 영호(影湖) 서쪽에 있는 ‘우암(寓庵)’에서 책을 읽고 시(詩)를 지어며 지냈다....
고서·고문서(33)
- 황구하(黃九夏)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257 B07325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年 5月 5日_008 ○備邊司薦望, 江華留守, 黃龜河·朴師益·鄭亨益, 東萊府使, 李重協·李聖龍·洪龍祚, 平安兵使, 具鳳昌·洪元益·鄭德徵。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905 B07190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5年 10月 16日_012 ○備邊司啓辭, 嶺南均田使黃龜河代, 今當差出, 而東萊府使沈壽賢, 雖是邊任, 未及辭朝, 使之差下, 數日內辭朝, 何如? 答曰, 允。 以上備謄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4432 B07443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年 5月 5日_008 ○備邊司薦望, 江華留守, 黃龜河·朴師益·鄭亨益, 東萊府使, 李重協·李聖龍·洪龍祚, 平安兵使, 具鳳昌·洪元益·鄭德徵。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666 B076666 동래 東萊 정치행정 英祖實錄 元年(1725) 五月 영조실록_10105006_006 ○以徐宗爕爲獻納, 李重協爲東萊府使, 李縡爲大提學, 黃龜河爲同義禁, 朴師益爲江華留守, 具鳳昌爲平安兵使。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2)
- (특집 도서 벽지 교육) 경남의 도서 벽지 학교를 떠나와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황구하 김용태 1975 5 10 교육경남 45호 경...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황구하 김용태 | 사료철명교육경남
- 경남의 도서벽지 학교를 떠나와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황구하, 김용태 1975 4 교육경남 45호 경상남도교육위원회 76-81 6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황구하, 김용태 | 사료철명교육경남
주제어사전(1)
-
황구하 / 黃龜河 [종교·철학/유학]
1672(현종 13)∼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형 증손, 할아버지는 신구, 아버지는 건, 어머니는 이문행의 딸이다. 1705년(숙종 31)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좌부빈객, 호조판서, 동지경연사, 한성부판윤, 예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