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고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4)
- 황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글이다. 그밖에 여러 논의들도 당시 심설 논쟁이 활발히 전개되던 학계의 분위기를 이해하는 데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황고집 황고집
- 서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황고집(黃皐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여지도서(輿地圖書)』이칭별칭 청지(淸之)| 명암(銘巖)
- 이시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황고집(黃皐集)』이칭별칭 성흠(聖欽)| 죽재(竹齋)
- 남태량(南泰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학당유고(鶴塘遺稿)』 『학당전고(鶴塘銓攷)』 『홍재전서(弘齋全書)』 『황고집(黃臯集)』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8세기) 15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1.08.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活山集 黃皐集 黃坡集 晦窩詩稿 悔窩集 悔尤集 晦隱集 悔軒集 后溪集 後溪集
고서·고문서(2)
- 황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黃皐集序 曾係 必祐가 洪直弼(1776∼1852)에게 부탁하여 1845년(헌종 11)에 남긴 서문이다. 愼守彝는 학문을 하면서 글은 남기지 않고 검소한 생활을 하여 주변에 높은 칭송을 받고 있었다. 특히 글과 덕행은 주변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았다고 한다....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한수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다고 하였다. 정성을 다하여 어버이를 섬겼으며, 형제 간에는 화목을 다하였다. 평소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으며 스승의 道를 돈독히 믿고 사모하는 정성이 20년 동안 한결 같았다고 하였다. 아들 度遠이 墓文을 청했다고 하였다. 皇考執義府君-權格-墓碣追記 (29) 1...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2)
- 월간야담_1939_06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옥궁비화-장빈 양백화, 이경근 畵 8 포수신의 최승학, 경근 畵 20 p25~26 결락 확인. 재스캔할 것 경직지사 황고집 이백봉, 경...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9
- 야담_1965_01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낙향의 부자 김기웅, 전성보 화 326 거량위인 천치전 최종선, 송대현 화 338 지독한 황고집 34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주제어사전(1)
-
황고집 / 黃皐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신수이 시문집. 1845년(헌종 11) 후손들이 편집·간행. 권두에 홍직필의 서문이 있다. 8권 3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142수, 권3에 서 13편, 권4에 서 24편, 권5에 서 3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