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황계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1)
- 심기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황계희(黃啓熙)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후손 찬주(贊周)와 정용묵(鄭容默)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후손 의각(義覺)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ㆍ2에 시 15수, 서(...
고서·고문서(1)
- 정와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임하였다. 제자들과 더불어 강학에 힘써 당세의 宗師로 일컬어졌다. 祭黃審幾堂(啓熙)文 3 黃啓熙(1727~1785)의 제사에 올린 글이다. 황계희는 본관이 長水, 자는 景初, 호는 審幾堂이다. 李象靖의 문인으로 1777년 사마 시에 합격하였다. 『대학』과『중용』에...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황계희 / 黃啓熙 [종교·철학/유학]
1727년(영조 3)∼1785년(정조 9). 조선 후기 학자. 부친 황도중과 모친 이만헌의 딸사이에서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황서희이다. 이상정의 문인이다. 17세에 부친상을 당하고 난 후부터는 더욱 학문에 정진하여 능통하지 않은 학문이 없었다. 특히《대학
-
황반로 / 黃磻老 [종교·철학/유학]
1766년(영조 42)∼1840년(헌종 6). 조선 후기 학자. 황희 후손, 부친 황계희의 3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황신로‧황암로가 있다. 정종로 문하에서 수학하여 정통 성리학의 연원을 이어받았으며, 시문과 필법에도 뛰어났다. 교유한 인물로 강세규‧강세륜‧강세백
-
심기당집 / 審幾堂集 [종교·철학/유학]
황계희의 문집. 석인본, 4권2책. 권1에는 시10제22수와 서23편, 잡저「만강자시측은지심」, 서기「소재선생문집속간돈사록서」, 「부환정이건사실기」, 그리고 제문 14편이 실려 있다. 권2에는 제문 17편, 뇌문 3편, 애사와 가장이 실려 있다. 권3,4는 부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