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화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4)
사전(95)
- 화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열두 달을 상징하는 화초그림딱지를 가지고 노는 노름. [내용] 화투에 관한 명칭이나 발생‧전달 과정을 정확하게 고찰할 수는 없지만, 대체로 포르투갈에서 비롯된 ‘카르타(carta)놀이 딱지’가 포르투갈 상인들이 일본에 무역차 출입하였을...
- 화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열두 달을 상징하는 화초그림딱지를 가지고 노는 노름.정의열두 달을 상징하는 화초그림딱지를 가지고 노는 노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hwatu | MR표기hwat’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화투(靴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화투 화투 靴套 화(靴), 화(鞾) 마피화투혜구(馬皮靴套鞋具), 분투혜(分套鞋), 화투혜구(靴套鞋具) 생활 풍속의생활/이 의복 대한민국 조선 윤양노 [정의] 방한(防寒)·방습(防濕) 목적의...상위어화(靴), 화(鞾) | 관련어마피화투혜구(馬皮靴套鞋具), 분투혜(分套鞋), 화투혜구(靴套鞋具)
- 화투타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화투의 그림을 월별에 따라 해학적으로 풀이한 민요. [내용] 달거리식 혹은 달풀이식[月令體]노래로 어희요의 일종이다. 달거리식은 달마다의 특색을 일정한 형식에 맞게 읊는 민요의 전통적 형식의 하나인데, 「화투타령」은 달마다의 대표되는 꽃...
- 근대신어 : 양화투(양화투)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38044 양화투 아항 양화투 싀집가기 전에 제 방으로 쓰든 알에ㅅ방에 혼자 들어안젓지 안흐면 뎐화로 녜전 학교 동모들을 불러다 노코 창가를 하느니 양화투를 하느니 하며 노는 모양이나 대개는 무엇에 정신이 팔린 사람처럼 시름 업시 혼자출전동아일보 | 계통분류 [예술감각] 여가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논문(1)
- 从韩国巫俗神话透视朝鲜民族的生命价值观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彭少森 | 게재정보 : 东疆学刊유형논문
고서·고문서(59)
- 남조선 인민들과 청년학생들은 반파쑈민주화투쟁의 불길을 더욱 세차게 지피자! (의거입북한 전 남조선《국군》병사 리한술청년을 위한 평양시환영회가 있었다)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남조선 인민들과 청년학생들은 반파쑈민주화투쟁의 불길을 더욱 세차게 지피자! (의거입북한 전 남조선《국군》병사 리한술청년을 위한 평양시환영회가 있었다) 대한민국(남북한...대표표제어남조선 인민들과 청년학생들은 반파쑈민주화투쟁의 불길을 더욱 세차게 지피자! (의거입북한 전 남조선《국군》병사 리한술청년을 위한 평양시환영회가 있었다)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의거, 의거입북, 입북, 월북, 남조선, 국군
- 이남동포들은 원쑤가 누구인가를 똑똑히 알고 반미자주화투쟁에 떨쳐나서야 한다(의거하여온 전 남조선선원 조승현청년을 환영하는 평양시군중집회 진행)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이남동포들은 원쑤가 누구인가를 똑똑히 알고 반미자주화투쟁에 떨쳐나서야 한다(의거하여온 전 남조선선원 조승현청년을 환영하는 평양시군중집회 진행) 대한민국(남북한) ...대표표제어이남동포들은 원쑤가 누구인가를 똑똑히 알고 반미자주화투쟁에 떨쳐나서야 한다(의거하여온 전 남조선선원 조승현청년을 환영하는 평양시군중집회 진행)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의거, 의거입북, 월북, 남조선, 청년, 선원, 해외입북
- 대랑피(大浪皮)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靴套鞋具二雙, 金興請大浪皮裹鞍子一部、魚皮裹鞍子一部、靴套鞋具二雙、鉢大中小各一部、小鉦一口、樸頭箭一百五十、柳葉箭一百五十、大羽箭二十、角弓六張、刀子一百五十部。출처전거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인사, 올림니다, 저, 농사일, 겨울한철, 화투놀이, 밤, 방송, 애청, 몇번, 문제풀이, 해답, 적는바, 달, 이후, 계속, 방송, 애청, 문제풀이, 해답하렵니다, 맞는다면, 화투, 한목대표표제어선생님 | 성씨남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9446 B00944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8年 4月 13日_025 ○又啓曰, 江都內軍器, 箭簇及箭羽, 俱有傷損之處, 而甲則鐵縫或斷, 胄則起花渝色, 此非鄕匠之所可改造。 鍊磨匠及甲胄匠, 令軍器寺起送, 而雉羽·樺皮·礪石等物, 亦令優送, 何如? 上曰, 依爲...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51)
- 화투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이쾌남
- 화투 타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1-07-29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손영조
- 화투 타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심기 노래’에 이어 제보자가 자청하여 부른 것이다. 손을 들었다가 놓았다가 하며 장단을 맞춰서 불렀다. *조사일시1981-01-14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상남면 | 제보자조영빈
- 화투 타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손영조
- 화투 타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김태영
기초학문(3)
- 리고베르타 멘추 논쟁에 나타난 '문화투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구병, 게재일 : 200927257 박구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09 리고베르타 멘추 논쟁에 나타난 '문화투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09
- 19세기 말 독일 프로테스탄트의 반(反)가톨릭 ‘문화투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희영, 게재일 : 201546038 김희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구사학회 2015 19세기 말 독일 프로테스탄트의 반(反)가톨릭 ‘문화투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하나후다(花札)와 화투(花闘)의 문화기호를 중심으로 한 시니피에(signifier)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현주, 게재일 : 201351762 권현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3 하나후다(花札)와 화투(花闘)의 문화기호를 중심으로 한 시니피에(signifier)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85)
- 花鬪守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슈유상경야 두류 각군슈에게 륜회훈령야 최쵹하송말은 이왕긔엿거니와 부령이 그훈령을 각 군슈에게돌니고 셩명밋헤 도쟝을밧데 즁셔동곡거는 안악군슈 윤쥬영씨 화투를 버렷데 령이 독쵹즉 윤군슈가 일쟝호령며 이 화투가 공보다 뎨일급니 도...게재일1906년 8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출판경찰보 046호 문화투쟁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046호 문화투쟁 문화투쟁(文化鬪爭) 제1호 미기재 미기재 지나(支那) 일본_1932년 6월 4일 금지 안녕 중국어 문화투쟁 본지는 유일(留日) 지나 학생에 대한 반제,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46호 문화투쟁 | 출판물명문화투쟁(文化鬪爭) 제1호
- 宜乎免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안악군슈 윤쥬영씨 화투에골몰야부의최쵹하송라훈령을 쥰치안이말은 이왕긔얏거니와 윤군슈가 일향완거난지라 부에셔 면관로 졍부에 쳥의엿다더라게재일1906년 9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별_1949_1005_02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思光 서울시 종로 별사 리승만 9월22일 오후7시경 전북 부안군 산내면(扶安郡山內面) 세제봉에서 리승만 도당을 반대하는 봉화투쟁이 치렬히 전개되었으며 23일3시부터 동군산서면(山西面) 청리부락 근처에서도 봉화투쟁이 전개되었다. 그리고 9월24일 경남합...대표표제어별_1949_1005_0203 | 책임주필李思光
- △賭曉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고등소학교학도 남복 리용소량인이 일작야에 학교 안에셔 려염소년들과 화투판을셜고 은근이도기을 그학교장 박치상씨가 발각야 려염소년은 즉시츅송고 그학도들은 별반효유신칙야 다시범과치안이도록 얏다고 학부에보고얏다더라게재일1906년 7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7)
-
화투 / 花鬪 [생활/민속]
열두 달을 상징하는 화초그림딱지를 가지고 노는 노름. 화투에 관한 명칭이나 발생·전달 과정을 정확하게 고찰할 수는 없지만, 대체로 포르투갈에서 비롯된 ‘카르타(carta)놀이 딱지’가 포르투갈 상인들이 일본에 무역차 출입하였을 때 전하여졌다. 일본인들이 그것을 본떠
-
화투타령 / 花鬪打令 [문학/구비문학]
화투의 그림을 월별에 따라 해학적으로 풀이한 민요. 달거리식 혹은 달풀이식[月令體]노래로 어희요의 일종이다. 달거리식은 달마다의 특색을 일정한 형식에 맞게 읊는 민요의 전통적 형식의 하나인데, 「화투타령」은 달마다의 대표되는 꽃을 소재로 읊고 있다. 최근까지 전국 곳
-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 白磁靑畵透刻牡丹唐草文立壺 [예술·체육/공예]
조선 후기의 백자 항아리. 보물 제240호. 직립된 입부분에 어깨에서부터 급히 벌어졌다가 서서히 좁아진 모습의 항아리로, 내외(內外)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안의 것은 문양이 없으며 밖의 것은 투각수법(透刻手法)으로 몸체 전면에 활짝 핀 모란과 그 줄기·잎을 표현하였으
-
말세풍운가 / 末世風雲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2음보 1구로 하여 모두 206구이다. 화투놀음에 정신이 빠진 남편네들을 깨우치고 당시의 퇴폐한 농촌생활상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부녀자들에게 역설하는 경세계몽적(警世啓蒙的)인 작품이다. ‘대한민국 민주세계’ 등의 어구가 나오는 것을 보아 제
-
달풀이 / [문학/구비문학]
등 음식을 노래하는 달풀이, 화투장이 정월부터 12월까지로 되어 있는 데 착안하여 화투놀이와 관련시켜 노래하는 달풀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