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화음방언자의해”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음사, 1961) 『조선문자급어학사(朝鮮文字及語學史)』(김윤경,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38) 이재유교(권25) / 조선시대 언어학자 황윤석의 어원 연구에 관한 글. 규장각도서.
  • 황윤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 이를 소개한 공이 크고, 또 종래의 이학과 서구의 새 지식과의 조화를 시도한 점이 특색이다. 저서로는 『이재유고(頤齋遺稿)』‧『이재속고(頤齋續稿)』‧『이수신편(理藪新編)』‧『자지록(恣知錄)』이 있다. 이 중 『이재유고』에 「자모변(字母辨)」‧「(...
    이칭별칭 영수(永?)| 이재(?齋)|서명산인(西溟散人)|운포주인(雲浦主人)|월송외사(越松外史)
  • 이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권10‧11의 전 10편은 모두 장문으로, 전기문학 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권11‧12의 잡저에는 예학‧제도‧문물에 대한 학술적 논문이 많다. 특히 「()」와 「자모변(字母辨)」은 언어학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 논문으로 분량이 방대하며, 국어...
  • 어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의봉(李義鳳)의 ≪고금석림 古今釋林≫ 등을 비롯한 몇몇 책에서 어원에 관한 설명을 볼 수 있다. 이들의 일반적 특징으로는 국어 단어의 어원을 중국어에서 구한 점을 들 수 있다. ‘아비’의 어원을 ‘아부(阿父)’, ‘물’의 어원을...
  • 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는 종(鯼)자를 ‘조기 종’이라 하고, 석수어(石首魚)라고도 하였다. ≪송남잡지 松南雜識≫에 의하면 머리에 돌이 있으므로 석수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조기라는 이름에 대하여 ≪ ≫에는 우리말 석수어는 곧 중국어의 종어(鯼魚)인데...

기초학문(1)

  • 』에서 보이는 中國音韻論(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창주, 게재일 : 2012
    51760 김창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중국어문학연구회 2012 『』에서 보이는 中國音韻論(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주제어사전(1)

  • /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 언어학자 황윤석(黃胤錫)의 어원연구에 관한 글. 저자의 문집인 『이재유고(頤齋遺稿)』 권25 잡저 중의 한편이다. 상당한 분량에 걸쳐 약 150항목의 어원을 논증하였으며, 방법은 내외 사서(史書)에 실려 있는 지명·인명, 또는 방언 등에 나오는 어휘들을 한자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