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화엄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12)
사전(486)
- 화엄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우리 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이며, 한국불교의 소의경전(所依經典) 가운데 하나로 불교전문강원의 대교과(大敎科) 과정에서 학습되어 왔던 불교 최고의 경전. [내용] 원명은 ≪대방광불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이며, 현재 한역본(漢譯本)...
- 화엄경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원효(元曉)가 ≪화엄경≫을 주석한 책. [내용] ≪신편제종교장총록 新編諸宗敎藏總錄≫ 제1권에 “원래 8권이었으나 그 5권과 종요(宗要)를 합하여 10권으로 만들었다.”는 주기(註記)가 있다. 또 ≪불전소초목록 佛典疏鈔目...
- 화엄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93년에 제작된 장선우(張善宇, 1952- ) 감독의 종교 드라마 영화.정의1993년에 제작된 장선우(張善宇, 1952- ) 감독의 종교 드라마 영화.[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waeomgyeong | MR표기Hwaŏmg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화엄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독립된 경전으로 유통되다가 중앙 아시아에서 4세기경 집대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정의독립된 경전으로 유통되다가 중앙 아시아에서 4세기경 집대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waeomgyeong | MR표기Hwaŏmg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방광불화엄경진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에 간행된 동진(東晉)의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가 번역한 『화엄경』. [내용] 진본이라고 불림. 우리나라에 전해지는 진본의 판본은 아래와 같다. (1) 국보 제202호(卷三十七) 1권 1축. 권말에는 1098년(숙종 3)이칭별칭진본 | 연계항목대방광불화엄경진본(大方廣佛華嚴經晋本)
고서·고문서(392)
- 화엄경소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화엄경소사전 인문학 불교학 화엄학 화엄경소사전 無比 편찬 민족사 서울 1994 불교; 화엄경; [국중]보존용자료 [...대표표제어화엄경소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불교학 | 소분류화엄학
- 755년 화엄경(華嚴經) 사경(寫經) 발문(跋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755년에 화엄경을 사경(寫經)하면서 쓴 발문(跋文)이다. 원래 80권 8축으로 추정되는 이 화엄경은 현재 제1축(1~10권)과 제5축(권41~50) 만이 남아 있다. 처음에는 제5축의 말미에 붙어 있는 발문이 소개되었으나, 1989년에 제1축이 복원되면서 제1축에도...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중창불사기록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발 | 현소장처서울 삼성문화재단
- 사사문서_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抄 12上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597 일본 고문서 사사문서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抄 510 숙종(肅宗) 8 1103 2 11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抄 12上 壽昌元年乙亥歲高麗國 大興王寺 奉 宣雕造 一校初校ハ大衆也 [別筆] 康和五年二月十一日未於剋成許於成海寺書了...국가일본 | 서명사사문서 | 왕대숙종(肅宗) 8
- 사사문서_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抄 13下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598 일본 고문서 사사문서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抄 511 숙종(肅宗) 8 1103 2 11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抄 13下 壽昌元年乙亥歲高麗國 大興王寺 奉寅[宣]雕造 康和五年二月十一日於成海寺書了 占孫 일본, 기타, 불교경...국가일본 | 서명사사문서 | 왕대숙종(肅宗) 8
- 사사문서_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抄 17上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599 일본 고문서 사사문서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抄 512 숙종(肅宗) 8 1103 4 26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抄 17上 壽昌二年丙子歲高麗國 大興王寺 奉 宣雕造 康和五年四月卄六日於成海寺僧書兼了心書了 重校了觀信 三校念尊 四...국가일본 | 서명사사문서 | 왕대숙종(肅宗) 8
구술자료(1)
- 화엄경 덕분으로 승천한 이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설화에 이어서 제보자가 자청하여 구술하였다. 이 이야기는 제보자가조사일시1984-07-24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온양면 | 제보자김원연
기초학문(15)
- 화엄경의 연화장세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19930 한국연구재단 한국정토학회 2010 화엄경의 연화장세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경도대본 화엄경문의요결문답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성주, 게재일 : 201136569 김성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서지학회/한국서지학회 2011 경도대본 화엄경문의요결문답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新譯大方廣佛華嚴經音義』言語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35232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05 『新譯大方廣佛華嚴經音義』言語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05
- 화엄경의 편집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3049 한국연구재단 인도철학회 2014 화엄경의 편집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일본화엄문헌에서의 화엄경문답 인용 경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62179 한국연구재단 한국선학회 2012 일본화엄문헌에서의 화엄경문답 인용 경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11)
- 화엄경강목(華嚴經綱目)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화엄경강목(華嚴經綱目) 華嚴經綱目 화엄경강목 유통서지 華嚴經綱目 元曉 釋敎諸師製作目錄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김영태 엮...대표표제어화엄경강목(華嚴經綱目) | 대표서명華嚴經綱目 | 한글서명화엄경강목 | 서지형태유통서지
- 화엄경고적(華嚴經古迹)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화엄경고적(華嚴經古迹) 華嚴經古迹 화엄경고적 유통서지 華嚴經古迹 10卷 太賢 佛典疏鈔目錄 卷上 大日本佛敎全書 p.195.대표표제어화엄경고적(華嚴經古迹) | 대표서명華嚴經古迹 | 한글서명화엄경고적 | 서지형태유통서지
- 화엄경고적기(華嚴經古迹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화엄경고적기(華嚴經古迹記) 華嚴經古迹記 화엄경고적기 유통서지 華嚴經古迹記 10 太賢述 或五卷 新編諸宗教藏總錄 T55, p...대표표제어화엄경고적기(華嚴經古迹記) | 대표서명華嚴經古迹記 | 한글서명화엄경고적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화엄경공목(華嚴經孔目)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화엄경공목(華嚴經孔目) 華嚴經孔目 화엄경공목 유통서지 華嚴經孔目 4 眞聖師撰 一百卄九紙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대표표제어화엄경공목(華嚴經孔目) | 대표서명華嚴經孔目 | 한글서명화엄경공목 | 서지형태유통서지
-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 1 華嚴經問答 화엄경문답 유통서지 華嚴經問答 3 五十紙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대표표제어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 1 | 대표서명華嚴經問答 | 한글서명화엄경문답 | 서지형태유통서지
멀티미디어(104)
- 의 초기 화엄사상 3주차. 신라 화엄사상의 흐름 4주차. 고려・조선 화엄사상의 전통 5주차. 《대방광불화엄경》의 개요 6주차. 불교와 화엄의 목표・방법・내용 7주차. 화엄의 ‘나’ 이해 8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1] 9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2]강좌제목화엄의 나라 | 강의자박보람
- 의 초기 화엄사상 3주차. 신라 화엄사상의 흐름 4주차. 고려・조선 화엄사상의 전통 5주차. 《대방광불화엄경》의 개요 6주차. 불교와 화엄의 목표・방법・내용 7주차. 화엄의 ‘나’ 이해 8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1] 9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2]강좌제목화엄의 나라 | 강의자박보람
- 의 초기 화엄사상 3주차. 신라 화엄사상의 흐름 4주차. 고려・조선 화엄사상의 전통 5주차. 《대방광불화엄경》의 개요 6주차. 불교와 화엄의 목표・방법・내용 7주차. 화엄의 ‘나’ 이해 8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1] 9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2]강좌제목화엄의 나라 | 강의자박보람
- 의 초기 화엄사상 3주차. 신라 화엄사상의 흐름 4주차. 고려・조선 화엄사상의 전통 5주차. 《대방광불화엄경》의 개요 6주차. 불교와 화엄의 목표・방법・내용 7주차. 화엄의 ‘나’ 이해 8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1] 9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2]강좌제목화엄의 나라 | 강의자박보람
- 의 초기 화엄사상 3주차. 신라 화엄사상의 흐름 4주차. 고려・조선 화엄사상의 전통 5주차. 《대방광불화엄경》의 개요 6주차. 불교와 화엄의 목표・방법・내용 7주차. 화엄의 ‘나’ 이해 8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1] 9주차. 화엄의 ‘나’ 이해: 각론[2]강좌제목화엄의 나라 | 강의자박보람
기타자료(3)
- 29.화엄경논질(華嚴經論帙)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29.화엄경논질(華嚴經論帙) 정창원 고대물품 화엄경논질(華嚴經論帙) 경권(経巻) 꾸러미 중창(中倉) 59 1枚 세로 29.5cm, 가로 58....대표표제어29.화엄경논질(華嚴經論帙) | 주제분류정창원 고대물품
- 백제에서 석발정이 양으로 가서 불법을 구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오래 전 두 도인이 서로 맹세를 맺고 산으로 들어가 한 사람은 화엄경(華嚴經)을 외우고자 하고 한 사람은 법화경(法華經)을 외우고자 하여 각각 한 골짜기에 자리 잡고 토담집을 지었다. 화엄경을 외우던 이는 기약한 달에 마칠 수 있게 되자 마음속으...대표표제어백제에서 석발정이 양으로 가서 불법을 구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49년(己巳/신라 진흥왕 10 建元 14/고구려 양원왕 5/백제 성왕 27/梁 太淸 3/倭 欽明 10)
- 백제에서 석발정이 양으로 가서 불법을 구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남아있었다. 오래전 두 도인이 서로 맹세를 맺고 산으로 들어가 한 사람은 『화엄경(華嚴經)』을 외우고자 하고 한 사람은 『법화경(法華經)』을 외우고자 하여 각각 한 골짜기에 자리 잡고 토담집을 지었다. 『화엄경』을 외우던 이는 기약한 달에 마칠 수 있게 되자 마음속으로...대표표제어백제에서 석발정이 양으로 가서 불법을 구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549년(己巳/신라 진흥왕 10 建元 14/고구려 양원왕 5/백제 성왕 27/梁 武帝 太淸 3/倭 欽明天皇 10)
주제어사전(46)
-
화엄경 / 華嚴經 [종교·철학/불교]
불교 경전의 하나. 모든 대승계통 불경의 공통되는 명칭이다. 곧 바르고 광대한 법이라는 의미이다. 화엄은 바르고 큰 법을 체득한 부처의 화려하고 장엄한 모습을 비유한 것이다. <화엄경>은 동진의 불태발타라가 번역한 육십화엄, 당의 실차난타가 번역한 팔십화엄, 당의 반
-
대방광불화엄경 / 大方廣佛華嚴經 [종교·철학/불교]
고려·조선시대 에 간행한 화엄종의 기본이 되는 불교경전. 보물 제1017호. 4권 4첩. 목판본. 이 판본은 인쇄상태가 다르고 역자가 다른 『화엄경』 3본을 일괄 보물로 지정하고 세별목록에서 정원본(貞元本) 권2·권38, 진본(晉本) 권15, 주본(周本) 권38로
-
화엄경각필구결 / 華嚴經角筆口訣 [언어/언어/문자]
『화엄경』의 한문 원문을 우리말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각필(角筆)로 토를 단 책. 각필구결(角筆口訣)은 고려시대 이전에 한문 원문을 당시 한국어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특수하게 토를 단 석독구결(釋讀口訣)의 일종이다. 한자의 자형을 이용한 구결자 대신 각필이라는 필
-
화엄경교분기 / 華嚴經敎分記 [언어/언어/문자]
고려시대 유행한 당(唐)나라 승려 두순(杜順, 557∼640)이 찬(撰)했다고 전하는 불학서. 이 책은 본래 당나라 초기의 승려 두순이 찬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두순이 입적한 이후에 귀국한 현장(玄奘)이 사용하기 시작한 불경 역어(譯語)가 사용되고 있고, 측천무
-
화엄경석독구결 / 華嚴經釋讀口訣 [언어/언어/문자]
고려본 『화엄경』의 한문 원문을 우리말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토를 단 책. 석독구결은 한문을 한국어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특수하게 토를 단 것으로, 구결자(口訣字)로 토를 단 자토석독구결과 구결점(口訣點)으로 토를 단 점토석독구결의 두 가지가 있다. 자토석독구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