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화약감조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이종무
연구성과물(2)
사전(2)
- 화약감조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17년(태종 17)에 화약의 연구 및 제조 전문기관으로 설치되었던 군기감(軍器監) 산하의 관서. [내용] 이 화약감조청은 1417년 봄 최해산(崔海山: 崔茂宣의 아들)이 군기시제조(軍器寺提調) 이종무(李從茂)의 중간알선으로 옛 절인
- 화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3명이 군기감에서 화약을 제조하였다. 1415년에는 화약감조청이 완공되었으며, 국초의 화약보유량이 6근 4냥에 불과하던 것이 1417년경에는 6,900여 근으로 증가하였다. 세종 때에 이르러 서북변경의 개척이 적극화되면서 화약의 연소비량이 약 8,000근이나 되었...
주제어사전(1)
-
화약감조청 / 火藥監造廳 [정치·법제/법제·행정]
1417년(태종 17)에 화약 제조 전문기관으로 설치된 군기감 산하의 관서. 화약감조청은 1417년 봄 최해산이 군기시제조 이종무의 중간알선으로 옛 절인 예빈사의 헌 기와와 목재를 이용하여 지금의 서울 정동 근처에 건축하였다. 1435년(세종 17) 2월에 소격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