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화암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4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서원. [내용] 1552년(명종 7)경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공수(李公遂)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1623년(인조 1) 소세량(蘇世良)‧소세양(蘇世...
    연계항목화암서원(化巖書院)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화양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53년(효종 4)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소(朴紹)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27년(영조 3) ‘화암(華巖)’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당곡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70년(현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장필무(張弼武)‧박인(朴忍)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1697년(숙종 23) 장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 충남 보령시 청라면 장산리에 있는 서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8호. 1610년(광해군 2)에 이지함, 이산보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고, 그 뒤에 이몽규, 이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山郡誌)』(괴산군지편찬위원회, 1969) 충북 괴산군 칠성면 송동리에 있는 서원. 1622년(광해군 14) 이황, 이문건, 노수신, 김제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고, 그 뒤...

고서·고문서(5)

  • 陜川華陽洞丙舍記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曰: “我亦外裔也, 安可使陜守專美哉.” 七代孫師誨, 時在營幕, 而族弟林川郡守知源, 亦各出鏹, 前後合三百三十兩. 祭田之轉賣者, 贖而還之; 祭器之陶而易缺者, 木而髹之, 又將以餘財, 新營丙舍, 有議於鄕者曰: “, 乃先生獨享之地, 而先朝賜額之祠也. 祧墓之祭, 不過歲一,...
    대표표제어陜川華陽洞丙舍記 | 목차煙湘閣選本○記
  • 은 본관이 안동, 자는 亨叔, 호는 山水軒이다. 권진응이 지은 雲溪祠奉安文에 대해 의 士林들이 원망을 품고 있다는 말을 듣고, 이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적어 보낸 것이다. 나이순으로 보면 洛涯 金安節(1564~1632)이 百源 申碩蕃(1596~1675)보다 먼저...
    분야문학 | 유형문헌
  • 春堂 宋浚吉(1606~1672)을 기리는 奉安文이다. 洛厓金公(安節)奉安文 24 의 洛厓 金安節(1542~1632)을 기리는 奉安文이다. 金安節의 본관은 尙州이고, 자는 子亨이다. 興巖書院告辭(丙戌) 25 興巖書院의 秋享之禮를 행해야 할 날이 國忌日과 겹...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633)의 춘추제를 지내며 올린 축문이다. 木川崇明祠春秋享祝文 (11) 木川의 崇明祠에서 춘추제를 지내며 올린 축문이다. 金堤龜巖祠春秋享祝文 (12) 金堤의 龜巖祠에서 鄭弘溟(1592∼1650)과 黃居中의 춘추제를 지내며 올린 축문이다. 永同追配兩賢...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가오고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를 청한 계문이다. 이몽규에 대해서는 그가 金克成의 문인으로 당시에 金正國이 진정한 학자라고 칭찬했으며, 李珥가 그 행장을 지었고, 金堉이 『東國名臣錄』에서 그 언행을 기록하여 이후 이 사액을 받게 되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유태에 대해서는 어릴 적부터 金長生의...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타자료(1)

  • (한국교육의 맥22) 토정 이지함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교육의 맥22) 토정 이지함과 (한국교육의 맥22) 토정 이지함과 (한국교육의 맥22) 土亭 李之菡과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완기,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4)

  • / [교육/교육]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서원. 1552년(명종 7)경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공수(李公遂)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1623년(인조 1) 소세량(蘇世良)·소세양(蘇世讓)·이약해(李若海)를, 1719년(숙종 45) 소동

  • / [교육/교육]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송동리에 있는 서원. 622년(광해군 14)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이문건(李文楗)·노수신(盧守愼)·김제갑(金悌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38년(영조 14)허후(許詡)·전유형(全有亨)·박세무(朴世茂)·

  • 박세무 / 朴世茂 [종교·철학/유학]

    1487(성종 18)∼1564(명종 19).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신동, 아버지는 중검, 어머니는 이관식의 딸이다. 153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내자시정, 내섬시정, 군자감정을 역임하였다. 괴산의 에 제향 되었다.

  • 낙애유고 / 洛涯遺稿 [종교·철학/유학]

    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부(賦) 5편, 시 64수, 권2에 서(序) 1편, 제문 4편, 행장 2편, 잡저 6편, 부록으로 사실(事實)·행장·묘표·사적(事蹟)·상량문·봉안문(奉安文)·상향축(常享祝)·환안문(還安文)·고유문(告由文)·합향축(合享祝)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