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화성성역의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1)
사전(144)
- 화성성역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어서 사회경제사적으로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책은 규장각도서 중의 화성행궁본(華城行宮本) 속에 포함되어 있다. 國譯 華城城役儀軌(水原市, 1977) 國譯 華城城役儀軌(新丘文化社, 1984)
- 화성성역의궤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794년 1월부터 1796년 8월에 걸친 화성성곽(華城城郭)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의식 등을 기록한 책.정의1794년 1월부터 1796년 8월에 걸친 화성성곽(華城城郭)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의식 등을 기록한 책.[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waseong seongyeok uigwe | MR표기Hwasŏng sŏngyŏk ŭigw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는 동차를 응용한 여러 가지 공격용 수레의 그림이 실려져 있는데, 『무비지』는 조선시대에도 중요시된 병서였으므로 조선시대에 동차를 전쟁에 이용하였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 발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가로 방(枋)을 끼워 짐을 싣도록 하였다. 바퀴는 두껍고 둥근 판재(板材)를 양쪽에 하나씩 단 것이 일반적이지만, 혹은 바퀴 없이 바닥을 가지런히 해서 미끄러지기 쉽게 하여 끌고 가도록 하기도 한다.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에 실려 있는 발차의...이칭별칭발고(發高)
- 반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가 운반한다. 가벼운 것을 나르는 데에 쓰기 위하여 담기를 간략히 하여 두 사람이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단기이다.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에는 담기와 단기의 그림이 나오는데 『임원경제지』의 설명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으로 미루어 담기나 단기는...
고서·고문서(5)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794년(정조18) 1월부터 1796(정조20) 9월까지 진행된 화성 성곽‧문루 축조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의궤가 간행된 때는 1801년 9월이다. 화성 건설은 정조에게 자신의 정치 구상을 펼치는 동시에 정치적 위상을 과시하는 매우 중요한 사업이었다. 정조는 1...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경제-토목/건축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800]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조 18년(갑인, 1794)부터 21년까지 행해진 화성 건설의 시말을 정리한 의궤 중의 일부이다. 「행궁(行宮)」은 화성 행궁에 부속된 각 건물의 연혁과 위치, 규모, 구조 등을 자세히 정리해놓았다. 「공해(公廨)」는 화성에 소속된 공공기관 건물의 위치와 규모, 구조...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초학문(1)
- 『華城城役儀軌』의 한글자료에 관한 연구-한글본 ?뎡니의궤?에 수록된 ‘화셩셩역’의 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옥영정, 게재일 : 200928029 옥영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지학회 2009 『華城城役儀軌』의 한글자료에 관한 연구-한글본 ?뎡니의궤?에 수록된 ‘화셩셩역’의 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유형논문 | 게재일2009
기타자료(1)
- 밀양 추화산성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성역의궤에서 여장을 언급하면서 「성의 여첩(女堞, 여장女墻)을 “타(垜)”라고 하는데 … 옛날의 제도로서 타의 높이가 6척이고 넓이가 7척이지만 … 서울 이외 모든 여장은 높이가 중키쯤 되는 사람의 머리에도 미치지 못하고 …」라는 기록과 추화산성의 구조를 참고한다면...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동아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2)
-
화성성역의궤 / 華城城役儀軌 [예술·체육/건축]
조선시대 화성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의식 등을 기록한 책. 권수 1권, 본편 6권, 부편 3권의 10권 10책. 책머리에는 이 책의 편찬방법·경위·구성방침을 실은 범례, 권수에는 본편과 부편의 총목록을 실은 총목과 성곽축조에 관계되는 일지를 실은 시일, 성곽축조
-
동차 / 童車 [과학기술/과학기술]
작은 짐을 나르는 기구. 네모틀 각 구석에 네개의 바퀴를 달고 앞뒤의 가로대에 끈을 묶어 네 사람이 잡아당기게 되어 있다. 평지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돌이나 작은 석재, 기와 등을 운반하는 데 주로 쓰였다. ≪화성성역의궤≫에, 수원성곽공사를 위하여 동차 192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