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화동정음통석운고”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정음통석’으로도 불린다. 이 두 책은 서로 순서가 약간 다르다. 1747년본은 책의 첫머리에 ‘세정묘남지후칠일밀양박성원서(歲丁卯南至後七日密陽朴性源序)’라고 결미한 <序>가 있고, 이어서 12조에 달하는 범례가 실린 다음, 본...
    이칭별칭정음통석
  • 화동협음통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박성원(朴性源)이 지은 운서의 하나. [내용] 1권. 필사본. 우리 나라 한자음과 중국의 한자음을 함께 나타낸 『()』(1747)를 간행한 뒤 체재를 달리하여 지은 책이다. 완성된 시기는 알 수 없다.
  • 규장전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성(平聲)‧상성(上聲)‧거성(去聲)을 한꺼번에 나열하고, 입성(入聲)을 따로 책 끝에 나열해 오던 종래의 ≪삼운통고 三韻通考≫ 계열의 운서인 ≪ ≫‧≪삼운성휘 三韻聲彙≫ 등과는 그 체재를 달리 하여 평‧상‧거‧입성을 한꺼번에 표시한 4단식...
  • 연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7) 범례에서는 “……○는 ‘부우’의 중간소리이니 경순음은 입술을 불어 소리낸다(……○者부우之間音 輕脣音吹脣而呼).”라고 하였다. 이들을 현대음가로는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β](중국 한자음의 경우 [f]), ㅹ[v], ㆄ〔{{%...
  • 운학본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휘 것과 같음.)를 보인 뒤, 박성원(朴性源)의 『()』 범례에서 일부를 인용하여 한글에 관한 관심을 보였다. 권20 56장 이하의 잡록에서는 『계림유사(鷄林類事)』‧『훈몽자회(訓蒙字會)』‧『조선부(朝鮮賦)』(董越) 등 내외 서적에...

고서·고문서(1)

기초학문(1)

  • 』의 화음체계 연구 -通江宕曾梗攝의 입성운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수진, 게재일 : 2013
    45781 이수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의 화음체계 연구 -通江宕曾梗攝의 입성운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주제어사전(3)

  • / [언어/언어/문자]

    1747년(영조 23)에 박성원(朴性源)이 저술한 운서(韻書). 1747년본은 책의 첫머리에 ‘세정묘남지후칠일밀양박성원서(歲丁卯南至後七日密陽朴性源序)’라고 결미한 <序>가 있고, 이어서 12조에 달하는 범례가 실린 다음, 본문내용에 이

  • 언문지 / 諺文志 [언어/언어/문자]

    1824년(순조 24) 유희가 지은 한글 및 한자음 관계 연구서. 유희는 박성원이 『()』의 범례와 책 끝에서 언급한 ‘언문초중종삼성변(諺文初中終三聲辨)’ 등을 바탕으로 하여, 『언문지』 전반에 걸쳐 한자음을 제대로 표기할 수 있는 한글이

  • 화동협음통석 / 華東協音通釋 [언어/언어/문자]

    박성원(朴性源)이 지은 운서의 하나. 『』는 한 면을 3단으로 나누어서 위칸에 같은 운의 평성 소속자를, 가운데칸에 상성 소속자를, 아래칸에 거성 소속자를 배열하고, 맨 끝에 그 운에 속하는 입성자를 배열하였다. 반면에 이 책에서는 3단으로 나누지 않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