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화담집”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지 않았다. ≪≫은 이 밖에도 만력을사각본 (萬曆乙巳刻本)‧건륭경인각개성판본(乾隆庚寅刻開城版本) 등 여러 이본이 있다.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2)
  • 서경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철학(氣哲學)의 학맥(學脈)을 형성하게 되었다. 저서로는 『』이 있으며, 그의 사상적인 면모를 밝혀 주는 「원이기(原理氣)」‧「이기설(理氣說)」‧「태허설」‧「귀신사생론(鬼神死生論)」 등의 대표적인 글을 수록하고 있다. [상훈과 추모]
    이칭별칭 가구(可久)| 복재(復齋), 화담(花潭)| 문강(文康)
  • 온천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의사과학적 철학적 해명을 담고 있는 짤막한 글이다. 『』에 수록되어 있다. 그에 의하면 음(陰)과 양(陽)은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교호착종의 복합체이므로 음 속에 양이 있고 양 속에 음이 있다. 예를 들어 가령 유황은 음인 흙이지만 불을 붙이면 폭발하는...
  • 이기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끌어내리고 있다. 『()』 (권2) / 이기설 ≪≫권2에 수록된 서경덕이 기의 영원성과 자체활동성을 논하면서 기에 선재하는 어떤 궁극자도...
  • 성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독변(讀辨)」‧「퇴계선생향립약조후지(退溪先生鄕立約條後識)」 등 잡저(雜著) 10편이 실려 있다. 「독변」을 통해 서경덕(徐敬德)의 「태허설(太虛說)」과 「사생귀신설(死生鬼神說)」을 비판하고, 이(理)의 주재성(主宰性)과 기(氣)의 소멸을...

고서·고문서(3)

  • 〈동양문학비평용어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우리의 고전시가 1·2〉(2002)가 있으며, 역서로 〈〉(공역, 1992)과 〈초의선집〉(1994), 〈몽구〉(2002), 〈명심보감〉(2002), 〈논어〉(2002), 〈천자문〉(2003) 등이 있다. ■편찬경위 동아시아를 구성하는 중국, 일본, 한국의 문...
    대표표제어〈동양문학비평용어사전〉 해제 | 편저자 임종욱 편저 | 권수 1책
  • 口外異聞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哈密, 漢時伊吾地, 唐時伊州地. 麗末偰遜者, 回鶻人也, 仕於元朝, 從公主東來, 因仕於麗朝. 其仕於本朝者, 偰長壽, 卽遜之子也. 徐 徐花潭先生敬德 敬德 : 저본에는 주석으로 처리되어 작은 글자로 되어 있으나 ‘충남’, ‘연세2’에 의거해 본문글자 크기로 수정함...
    대표표제어口外異聞 | 목차熱河日記
  • 후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법을 이룬 것을 소개하며 이를 통해 학문하는 사람들을 권면하는 내용이다. 題花潭先生集後 (16) 徐敬德(1489∼1546)의 문집인 『』을 읽고 쓴 발문이다. 主氣에 치우친 화담의 학설의 면면을 소개하고 그의 이론이 한편으로는 老莊과 佛家의 이론에 가까운 점을...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서경덕의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초간본은 제자 박민헌·허엽 등이 편집, 1605년(선조 38) 은산현감 홍방이 간행하였다. <원이기>를 비롯해 <이기설>·<태허설>·<귀신사생론>·<복기견천지지심>·<온천변>·<성음해>·<발성음해미진처>·<황극경

  • 서경덕 / 徐敬德 [종교·철학/유학]

    은 후에 이황과 이이에 의해 비판받았다. 그러나 율곡학파의 주기적인 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저서로는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