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현보” 에 대한 검색결과 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0(숙종 6)∼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군거(君擧), 호는 수재(守齋). 영안위(永安尉) 주원(柱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경연사 만용(萬容)이고, 아버지는 중기(重箕)이며, ...
    이칭별칭 군거(君擧)| 수재(守齋)| 정헌(貞獻)
  • 홍용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4(영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명여(明汝). 영안위(永安尉) 주원(柱元)의 5세손이며, 만용(萬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중기(重箕)이고, 아버지는 수재(守齋) 현보(鉉輔)이며, 어머니는...
    이칭별칭 명여(明汝)
  • 홍인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2(경종 2)∼1776(영조 5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정여(定汝). 만용(萬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중기(重箕)이고, 아버지는 판서 현보(鉉輔)이며, 어머니는 이세한(李世漢)의 딸이다. 봉한...
    이칭별칭 정여(定汝)
  • 이언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평숙(平叔). 할아버지는 중번(重蕃)이고, 아버지는 청릉군(靑陵君) 모(模)이며, 어머니는 조정의(趙正誼)의 딸이다. 부인은 예조판서 ()의 딸이...
    이칭별칭 평숙(平叔)
  • 이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삭탈관직하여 문외출송(門外黜送: 죄인의 관직을 빼앗고 4대문 밖으로 추방함) 할 것을 청하여 허락을 받았다. 같은 해에는 정언이 되어 대왕대비의 치료에 소홀한 의관들을 다스릴 것을 청하였다. 이어 형작(刑爵: 죄인을 처벌하는 것과 벼슬을 주...
    이칭별칭 중현(仲玄)

고서·고문서(47)

  • 76633 B076633 동래 東萊 정치행정 英祖實錄 十四年(1738) 七月 영조실록_11407025_003 ○以爲吏曹參判, 李聖龍爲大司諫, 宋徵啓爲司諫, 李鼎輔爲獻納, 金尙重爲正言, 擢鄭亨復爲東萊府使。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森以下睦天任·沈廷玉·廷紳等, 酌處之命。 措辭見上 請礪山府使李遇新削去仕版。 措辭見上 新啓新除授司諫院司諫鄭宅河, 以接慰官時, 在慶尙道東萊府, 請斯速乘馹上來事, 下諭, 執義引嫌而退, 嫌難參啓, 已有近例, 不可以此輕遞言官, 請執義出仕。 答曰, 不允。 鄭宅河竣事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森以下睦天任·沈廷玉·廷紳等, 酌處之命。 措辭見上 請礪山府使李遇新削去仕版。 措辭見上 新啓新除授司諫院司諫鄭宅河, 以接慰官時, 在慶尙道東萊府, 請斯速乘馹上來事, 下諭, 執義引嫌而退, 嫌難參啓, 已有近例, 不可以此輕遞言官, 請執義出仕。 答曰, 不允。 鄭宅河竣事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447 B01644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年 12月 13日_010 廳來言, 今日爲政事, 命下, 而判書李宜顯, 參議, 俱以病不來, 參判金有慶, 情勢難安, 不得開政云。 判書·參判·參議竝卽牌招開政, 何如? 傳曰, 允。 傳于朴聖輅曰, 違牌坐罷翰...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651 B038651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14年 8月 23日_016 ... , 朴師洙爲知經筵, 爲戶曹參判, 李普赫爲兵曹參判, 洪廷命爲長鬐縣監, 金有慶爲知事, 李世煥·金始㷜爲同知, 鄭道泰爲僉知, 元潔爲忠壯將, 朴奎文爲忠翊衛將, 吳爲訓鍊判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주원 증손, 할아버지는 만용, 아버지는 중기, 어머니는 이민서의 딸이다. 1718년(숙종 44) 정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저작에 임명되었다. 1725년(영조 1) 수찬으로 있을 때 탕평책을 상소하여 왕으로부터

  • 환구음초 / 環璆唫艸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김득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7년에 간행한 시문집. 신활자본. 1책(33장). 1897년 일본 경도(京都)에서 간행되었다. 『환구음초』의 권두에 김득련의 친필서와 ()·김석준(金奭準)·최성학(崔性學)의 서가 앞에 붙어 있다. 김득련이 1

  • 교정시집 / 皎亭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현일의 만관수초·추사잡영·기북유초 등 350여 수를 수록하여 1906년에 간행한 시집. 5권 2책. 목활자본. 1906년 그의 손자 은(隱)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강위(姜瑋)와 ()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은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

  • 소재집 /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변종운(卞鍾運)의 시문집. 7권 3책. 연활자본. 1950년 손자 춘식(春植)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유원(李裕元)·()·이재원(李載元)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한경중(韓敬重)·춘식의 발문이 있다. 이 책은 시초(詩鈔)와 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