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홍패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무과총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록하였다. 이어서 병전무과(兵典武科)는 제과‧시취(試取)‧규구(規矩)‧잡령(雜令)‧계획(計劃)‧정시(停試)‧홍패식(紅牌式)‧회방(回榜)‧삭과(削科)‧잡식(雜式)‧차비관(差備官)‧홀기(笏記)‧사목(事目)‧초시절목(初試節目)‧복시절목(覆試節目)‧전시절목(殿試節目)...
- 인동장씨선세홍백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5년의 진사급제증서는 보기 드문 희귀한 자료이다. 장말손의 홍패와 백패는 『경국대전』 반포 이전의 것이나 그 홍패식ㆍ백패식과 부합된다. 경상북도 영주시에 거주하는 장덕필(張悳必)이 소장하고 있다. 『국보(國寶) 12-서예(書藝...연계항목인동장씨선세홍백패(仁同張氏先世紅白牌)
- 홍패(紅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과거 합격증서에 해당되는 문서의 작성 규식은 홍패식·백패식·잡과백패식 세 가지로 확정되었다. 1592년(선조 25)에 발발한 임진왜란 이후 무과 급제자를 대거 선발하면서 기존에는 국가에서 마련해 주던 홍패지(紅牌紙)를 급제자들이 각자 마련하게 하기도 하였다...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교지(敎旨), 문무과방방의(文武科放榜儀), 백패(白牌), 왕명준사(王命准賜), 왕지(王旨), 홍패안(紅牌案)
- 예전(禮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외관상견(京外官相見)’, ‘경외관회좌(京外官會坐)’, ‘청대(請臺)’, ‘잡령(雜令)’, ‘용문자식(用文字式)’이다. 특히 ‘용문자식’에는 문무관사품이상고신식, 문무관오품이하고신식, 당상관처고신식, 삼품이하처고신식, 홍패식, 백패식, 잡과백패식, 녹패식,...관련어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대전통편(大典通編), 대전회통(大典會通)
- 대전회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용문자식(用文字式)‧문무관4품이상고신식(文武官四品以上告身式)‧문무관5품이하고신식(文武官五品以下告身式)‧당상관처고신식(堂上官妻告身式)‧3품이하처고신식(三品以下妻告身式)‧홍패식(紅牌式)‧백패식(白牌式)‧잡과백패식(雜科白牌式)‧녹패식(祿牌式)‧추증식(追贈式)‧향리면역사패식(...
주제어사전(1)
-
홍패식 / 紅牌式 [역사/조선시대사]
문·무대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내려 주는 합격증서. 홍색용지에 구관·성명과 문·무과, 갑·을·병과의 구분, 성적 순위를 기입하며 교지의 형식을 따랐다. ‘과거지보(科擧之寶)’를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