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치중” 에 대한 검색결과 5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8)

사전(39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67-1732) 1667(현종 8)∼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명가필보≫ 중 의 글씨.
    이칭별칭 사능(士能)| 북곡(北谷)| 충간(忠簡)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365 인물 () 1667 173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사능(士能), 호는 북곡(北谷). 민정중(閔鼎重)의 문인이다. 1699년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706년...
    유형분류인물
  • 해사일록(海槎日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093 문헌 해사일록(海槎日錄) 해사일록 海槎日錄 1719년 통신사행 때 정사 ()이 쓴 사행록. 필사본. 2권 2책. 겉표지는 ‘동사록(東槎錄) 악(樂)・사(射)’로, 속표지는 ‘홍북곡해사일록(洪北谷海槎日錄) 상・하로...
    유형분류문헌
  • 심택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었다. 1727년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노론이 대거 파직될 때 다시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2년 뒤에 서용되어 ()과 함께 이인좌(李麟佐)의 난 원인을 찾아 이를 완전히 수습하고, 신임사화 때 죽은 김창집(金昌集)ㆍ이건명(李健命)ㆍ이이명(李頤命)ㆍ조태...
    이칭별칭 여규(汝揆)| 청헌(淸獻)
  • 세이넨지(誓念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 ∙ 부사 황선(黃璿) ∙ 종사관 이명언(李明彦)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에도 방문을 마치고 귀국 길에 폭풍을 만나 다다노우미(忠海)에 머물면서 이 편액 ‘願海山’을 써주었...
    유형분류유적

단행본(1)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
    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고서·고문서(132)

  • 大明之初,未有社倉。,江西巡撫林俊請建社倉。嘉靖八年,乃令各撫ㆍ按設社倉,令民二ㆍ三十家爲一社。擇家殷實而有行義者一人,爲社首,處事公平者一人,爲社正,能書算者一人,爲社副。每朔望會集,別戶上ㆍ中ㆍ下,出米四斗至一斗有差,斗加耗五合,上戶主其事。年饑,上戶不足者量貸,稔歲還倉。中ㆍ下戶酌量振給,不還倉。有司造冊送撫ㆍ按,歲一察覈。倉虛,罰社首出一歲之米。其法頗善,然其後無力行者。【〈食貨志〉】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170 經世遺表 卷十二 ITKC_MP_0597A_1170_010_0080 大明之初,未有社倉。,江西巡撫林俊請建社倉。嘉靖八年,乃令各撫ㆍ按設社倉,令民二ㆍ三十家爲一社。擇家殷實而有行義者一人,爲社首,處事公平者一人,爲社正,能書算者一人,爲...
    권차명經世遺表 卷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2_100317 18741_0001 奎18741 毓祥宮(1803) 전라도 장흥부 南上面 靑禾里坪 전라도 장흥부 南上面 靑禾里坪 59 2 59결 2두락 ()
    자료번호18741_0001 [奎1874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27329 B027329 광진 廣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5年 4月 15日_016 ○金啓煥啓曰, 依傳敎, 今月朔祿俸, 更爲輸送于楊州廣津村領議政李光佐所住處及果川銅雀村左議政所住處, 則領議政李光佐以爲, 祿俸終不敢承受, 今方陳疏仰請嚴譴云, 左議政以爲, 不敢冒受...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7359 B027359 광진 廣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5年 4月 6日_011 ○權益淳, 以戶曹言啓曰, 依傳敎, 今四月朔祿俸, 更爲輸送于楊州廣津村領議政李光佐所住處及果川銅雀村左議政所住處。 則領議政李光佐以爲, 恩命五降, 承受無路, 蹇慢之罪, 實合萬殞, 惟願速受...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7362 B027362 광진 廣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5年 3月 25日_024 ○趙錫命, 以戶曹言啓曰, 卽接廣興倉所報, 則來四月朔頒料次, 倉官進去于楊州廣津村領議政李光佐所住處, 及果川銅雀村左議政所住處。 請受祿牌, 則領議政李光佐, 以爲所遭叵測, 席藁鄕寓, 受...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67(현종 8)∼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명구 증손, 할아버지는 중보, 아버지는 득우, 어머니는 김경여의 딸이다. 1706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검열이 되었다. 그 뒤 형조판서, 병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 신유한 / 申維翰 [종교·철학/유학]

    1681(숙종 7)∼? 조선 후기의 문신·문장가. 증조가 구년, 아버지는 태래, 어머니는 김석현의 딸이다. 태시에게 입양되었다. 1705년(숙종 31) 진사시에 합격하고, 17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9년 제술관으로서 통신사 을 따라 일본에

  • 조중우 / 趙重遇 [종교·철학/유학]

    미상~1720(경종 즉위년). 조선 후기 유생. 1720년(경종 즉위년) 조중우는 왕의 생모인 희빈장씨가 경종이 왕위를 계승한지 오래되었음에도 아직까지 서인의 지위에 있다며 작호를 더하기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러자 승지 ‧권엽‧한중희‧홍계적‧윤석래 등이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