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종우” 에 대한 검색결과 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

사전(23)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남양 홍씨 남양군파 32세손으로 1850년(철종 원년) 11월 17일 경기도 안산에서 홍재원(洪在源, 1827-1898)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자는 성숙(聲肅), 호는 우정(羽亭)이다. 몰락사족의 가문에서 출생한 는 어린 시절 경제적으로 빈곤한 생활을 버티지 못...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獨立協會硏究(愼鏞廈, 一潮閣, 1976) 近代日鮮關係の硏究(田保橋潔, 朝鮮總督府, 1940) (1854-?) 1854(철종 5)∼?. 조선 말기의 정객
  • 박유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독립협회 공격에 앞장서서, 독립협회 회원들의 요구로 여러 차례 정부의 체포명령이 내려졌으나 고종 및 수구파 관리들의 도움으로 붙잡히지는 않았다. 이때 황국협회 간부인 ()‧길영수 등과 함께 유배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고종의 독립협회‧황국협회 친림(親臨...
  • 유기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옥균(金玉均)을 암살한 ()를 중국정부와 교섭, 귀국시켰다. 『고종실록(高宗實錄)』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음청사(陰晴史)』 ...
  • 이일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일본으로 건너온 그는 풍부한 자금을 쓰면서 일본정객을 통해 김옥균‧박영효 등에게 접근하였다. 그리고 권동수‧재수 형제 외에 프랑스유학생으로 당시 일본에 머물고 있던 ()를 포섭해, 에게 김옥균을 유인해 암살하도록 사주하였다. 1894년...

고서·고문서(17)

  • 韓国亡命者金玉均ノ動静関係雑件(京城訛傳) 第三巻 5.金玉均謀殺並ニ兇行者ニ関スル件/1 明治27年1月31日から明治27年4月4日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
    김옥균의 청국행과 암살 관련 보고와 신문 기사
    작성국가일본 | 원소장처外務省外交史料館 | 발신일1894.01.31-04.04
  • 홍종우의 [심청전] 불역본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러 고전소설을 모아 재창작한 작품에 가깝다. 머리말로 출판에 대한 헌사와 홍종우의 서문이 있다. 특히 홍종우의 서문은 [동국통감]을 바탕으로 한국의 역사를 소개한 중요한 한국고전학 논저이기도 하다.
    자료구분고소설 | 저자홍종우 | 발행년도1895
  • 김옥균 부친의 처형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보고 -피살된 김옥균 부친의 처형 -살인자 에게 조선의 박사학위 수여 김옥균암살, 김옥균, 김병태, 연좌제, No.33(1894.5.8) 7월 19일, 런던 550, 페테르부르크 283, 워싱턴 A 33, 드레스덴 518, 뮌헨 5...
    대표표제어김옥균 부친의 처형 | 발신자Krien | 수신자Caprivi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김옥균의 피살과 박영효의 암살 시도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A.5007 보고 살인범 와 김옥균의 시신 제물포에 도착. 김옥균 시신 능지처참됨. 조선 왕에게서 김옥균의 살해를 지시받았다는 의 해명. 조선 주재 외국 대표들이 시신 훼손을 저지하기 위해 조선 정부에 취한 공동 조치. 조선 대리공사 유기환(Yu...
    대표표제어김옥균의 피살과 박영효의 암살 시도 | 발신자Krien | 수신자Caprivi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 반란자의 피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207 보고 조선인 는 조선 왕으로부터 두 모반자 김옥균과 박영효를 살해하라는 명령을 서면으로 받았다고 함. 도쿄 주재 러시아 공사관과 김옥균의 관계. 청국 측에서 부당하게도 살해범 를 석방. 이와 관련해 상하이 주재 외국 영사단의 논의. 김옥균,...
    대표표제어조선 반란자의 피살 | 발신자Schenck | 수신자Caprivi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를린

기초학문(2)

  • ‘민족지’로서의 고소설 번역본과 시선의 문제 - 의 불역본 『심청전 Le Bois sec refleuri』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7
    71631 한국연구재단 한국불어불문학회 2017 ‘민족지’로서의 고소설 번역본과 시선의 문제 - 의 불역본 『심청전 Le Bois sec refleuri』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외국문학텍스트로서 고소설 번역본 연구(Ⅱ) : 의 불역본 『심청전』 Le Bois sec refleuri와 볼테르 그리고 19세기 말 프랑스문단의 문화생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72274 한국연구재단 한국프랑스학회 2016 외국문학텍스트로서 고소설 번역본 연구(Ⅱ) : 의 불역본 『심청전』 Le Bois sec refleuri와 볼테르 그리고 19세기 말 프랑스문단의 문화생태 https://www.k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10)

  • 근일 풍셜에 죠병식 민죵묵 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 풍셜에 죠병식 민죵묵 졔씨들이 엇던 외국 공관에 잇 죠병식씨 일간 의졍부 참졍을 다고 일젼에 황도 령도로 뎡간 유긔환 리긔동 량씨 인쳔항에 잇다 사들도 잇고 셔울노 도로 들어 왓다 사들도 잇스나 우리 각 기를 왕법이 지엄신...
    게재일1898년 12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평리원 판쟝 조윤승씨가  직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리원 판쟝 조윤승씨가  직소를 올녓다더니 작일에 쳬임이 되엿다대 그 아즉 나지 안엇스나 리국쟝 씨가 단말이 잇다더라
    게재일1900년 5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특진관 리유인으로 한셩부판윤을 임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특진관 리유인으로 한셩부판윤을 임고 졔쥬목 로 제쥬목 판소 판를 겸임고 법부참셔관 김뎡진에 뎡삼품 죠졍구로 임다 以上二月十三日 즁츄원의관 리졍규소톄 에 죵이품 리병규로 명고 례식원번역관 김승국으로 디계긔원을 임고 리용상으로 칭경례식무위원을
    게재일1903년 2월 18일 | 기사분류관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硏成學校繙譯官副尉權泰珩依願免本官 任硏成學校繙譯官前技師朴承憲以上四月卄七日 本川郡守朴正彬洪州徐公淳延安閔泳原免本官四月廿八日 免本官警務官李榕承 濟州牧使楚山郡守文鳳梧肅川甲泰俊高陽李周鉉高城閔亨基 德川李憲榮 泰陵叅奉尹滋興 懿寧園叅奉兪鎭八平壤府主事李完夏依願免本官 任高陽郡守前郡...
    게재일1905년 5월 4일 | 기사분류관보
  • 비셔원승 민봉식갈닌에 봉상부졔죠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임고 장례원경리긔호李起鎬로 궁부특진관을 명고 시죵원경 김학슈金學洙로 쟝례원경을명고 궁부특진관 리도李道宰로 시죵원경을 명다以上四月十二日 즁츄원의관 리탁 안쳘슈 함봉인 갈닌에 뎡삼품 홍죵우 젼오위장 김병金炳澤 젼과 졍엽鄭台燁 젼도 렴금녹廉今祿으로...
    게재일1902년 4월 16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6)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7105 남한 충남 예산농업학교 2-35 교우회보 제4호 1925―12―21 45면 ; 제5회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예산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대원홍우;大原弘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2138 일본 京都 京都高等蠶絲學校 京都高等蠶絲學校一覽 1943―10 217면 2. 졸업생;5) 蠶業實科;(8) 1935년(64명) ;;대원홍우;大原弘祐 조선
    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京都高等蠶絲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18. 대한제국의 상황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898년 4월 26일 서울 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스페에르, 박정양, 심상훈, 민영기, 이도재, 마튜닌, 김홍륙, 이재순, 고종의 반러시아적 내각 개편 장관님, 저는 이달 16일의...
    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8년 | 작성월일4월 26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 17. 대한제국의 상황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보고서) 1898년 4월 16일 서울 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알렉시에프, 조병직, 브라운, 박정양, 김홍륙, 이재순, 김옥균, , 조던, 이형 폐하 외국인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는 상...
    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8년 | 작성월일4월 16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 42. 두 정치범의 처벌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08일 서울 A. 르페브르,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서리공사 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안경수, 하야시, 권형진, 고종, 김영준, 을미사변, 이용익, 강석호, , 신기선, 이준용, 조희윤, 유길준, 이두황, 조희문, 권동진, 이유인, 장봉환, 이인영...
    집필자A. 르페브르,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서리공사 | 작성연도1904년 | 작성월일6월 08일 | 발신자A. 르페브르,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서리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정치]

    1850-1913. 프랑스 유학파. 대한제국 시기 정치가. 김옥균 암살자. 1890년 12월 24일 는 파리에 도착했고 소르본대학 근처에 숙소를 정하고 프랑스 생활을 시작했다. 프랑스유학 후 2년동안 파리 기메 박물관에서 연구보조자로 활동하면서 <춘향전>, <

  • 유기환 / 兪箕煥 [정치·법제/외교]

    조선 후기의 문신(?∼?). 1881년(고종 18) 신사유람단으로 일본을 시찰하였다. 1898년 군부대신서리로 개화세력을 탄압하였다. 1902년 7월 조선전권대신으로 한정수호통상조약 및 부속 통상장정을 조인하였다. 그 후 김옥균(金玉均)을 암살한 ()를

  • 김옥균암살사건 / 金玉均暗殺事件 [역사/근대사]

    1894년 3월 28일 김옥균이 상해에서 에 의해 저격되어 피살된 사건. 갑신정변의 실패로 일본에 망명한 김옥균, 박영효 등을 대역 죄인으로 규정. 동경에서 김옥균은 이일직의 계략에 빠져 와 함께 상해로 건너갔다가 미국 조계(租界) 안의 일본 여관 동화양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