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인한” 에 대한 검색결과 1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0)

사전(6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2(경종 2)∼1776(영조 5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정여(定汝). 만용(萬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중기(重箕)이고, 아버지는 판서 현보(鉉輔)이며, 어머니는 이세한(李世漢)의 딸이다. 봉한...
    이칭별칭 정여(定汝)
  • 서명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75년 일시 한직에 밀려났으나 세손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 일파를 탄핵, 세손의 대리청정을 시행할 수 있도록 크게 노력하였다. 이 때의 공으로 세손에 의해 발탁되어 예조판서ㆍ병조판서ㆍ이조판서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정조가 즉위하자 더욱 중용되...
    이칭별칭 계중(繼仲)| 귀천(歸泉), 동원(桐源)| 충헌(忠憲)
  • 홍상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자(加資)되어 승지가 되어 홍문관에서 지냈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가 외척의 권세로써 위세를 떨쳤던 ()과 결탁되어 동궁의 미움을 받다가 세자가 즉위하니, 1777년(정조 1) 이 정조를 시해하려다 주살(誅殺)된 역옥(逆獄)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
  • 어제윤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76년(정조 1) 정조가 즉위하여, ()ㆍ정후겸(鄭厚謙) 등 벽파(僻派)를 성토하여 죄를 주고, 그 사실을 국내에 널리 알린 윤음. [내용] 운각활자본(芸閣活字本 : 교서관활자본). 그 내용은 경종연간의 신임사화에서...
  • 홍술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租) 2,500석, 송목(松木) 260주(株)를 사취한 사실이 드러나 흑산도에 위리안치(圍籬安置 :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도록 가시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가두어 둠.)되었다. 이듬 해 아들 상범(相範)이 아버지의 치죄에 불만을 품고 ()‧정후겸...
    이칭별칭 중선(仲善)

고서·고문서(76)

  • 親鞫之命焉, 若淵下本府, 以待下敎。 上曰, 此輩之如是跳踉, 全由於之尙不嚴處故也, 不可不早卽處分矣。 命書傳敎曰, 尙置善地故, 如若淵輩, 視若尋常, 敢爲營護, 礪山府竄配罪人, 古今島荐棘。 上曰, 侍衛軍兵, 皆退出開陽門, 仍留其外, 各門皆下鑰。 命退, 承史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203 B01620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4年 5月 12日_029 ○以全羅監司狀達, 江華府北面山里浦等, 官居船人金之向等渰死事, 令于李奎采曰, 渰死人等處, 令本道恤典擧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437 B01643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4年 5月 12日_029 ○以全羅監司狀達, 江華府北面山里浦等, 官居船人金之向等渰死事, 令于李奎采曰, 渰死人等處, 令本道恤典擧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4620 B054620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正祖 卽位年 4月 4日_016 罪關宗社, 憤積神人, 此實聖明之所洞燭, 而其子之竄配邊地, 其母之出居私第, 豈可薄勘邦憲而止耶? 至於判府事, 以陰險之性, 兼猜暴之行, 背義趨利, 貪權樂勢, 固其伎倆, 而身爲相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527 B01652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0年 1月 15日_012 ○, 以禮曹言啓曰, 江華府, 遣重臣文武科試取吉日, 令日官推擇, 則來二月二十一日·二日俱吉云, 試官下去後, 以此兩日中推移定行, 而試官, 亦令該曹差出,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76). 예조판서·우의정·좌의정 등을 지냈다. 세손(정조)과 사이가 나빠 다른 풍산홍씨들이 세손을 보호하는 시파에 가담한 것과는 달리 세손 즉위를 반대하는 벽파에 가담했다. 정조 등극 후 유배, 위리안치 된 후 사사되었다.

  • 명의록 / 明義錄 [종교·철학/유학]

    1776년(정조 즉위년)에 세손(정조)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던 ·정후겸 등을 사사한 일을 기록한 책. 3책. 인본. 정조의 명에 의해 간행되었다. 1777년(정조 1)에 정조 자신이 찬집청을 설치하고 김치인 등에게 편집하게 하였다. 이 때 정조도 적극 참여해 수

  • 명의록언해 / 明義錄諺解 [언어/언어/문자]

    1777년(정조 1) 정조의 명에 의해 간행된 『명의록』 언해서. 3권 4책. 『명의록』은 정조가 왕세손으로 있을 때 그의 대리청정(代理聽政)을 반대한 ()·정후겸(鄭厚謙) 등의 역모사건의 시말을 공표하여 충도(忠道)를 밝히고자, 정조가 김치인(金致仁)

  • 의유당 / 意幽堂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유당유고』 등을 저술한 문인. 남편 신대손의 누이가 혜경궁(惠慶宮) 홍씨(洪氏)의 친정숙부인()에게 출가했으므로 혜경궁홍씨의 숙모에게는 친정올케가 되며, 형부인 김시묵(金時默)이 정조(正祖)의 비인 효의왕후(孝懿王后)의 친

  • 김상정 / 金相定 [종교·철학/유학]

    조가 즉위하자 과 가까웠던 이유로 파직되었으며 저서로《석당유고》6권 3책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