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의장” 에 대한 검색결과 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

사전(4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에 이라고 하였다. 조선의 국왕의장도 홍색이 주조였으므로 황태자의 은 대체로 조선국왕과 같은 급이었다고 할 수 있다. 1897년 대한제국이 수립된 뒤에는 황태자의 의장이 중국 황태자의 의장과 같은 을 쓰게 되었다. 중국 황태자에 대한 정...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73년에 제작된 이두용(李斗鏞, 1941- ) 감독의 시대 영화.
    정의1973년에 제작된 이두용(李斗鏞, 1941- ) 감독의 시대 영화.[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ongui Janggun | MR표기Hongŭi Chang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심대승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선봉장. 왜적이 진주성을 침입하자, 곽재우의 명에 따라 진주의 북쪽 산에 올라 “군[곽재우]이 호남 의병과 함께 내일 왜적을 무찌를 것이다.”라고 외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곽재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경상도에서 의병을 일으킨 명장으로, 전장에 나갈 때 붉은 옷을입어 적군이 군이라 부른다. 적군이 전라도로 넘어가려 할 때 부하들에게 붉은 옷을입혀 적군을 혼란케 하여 대승을 거둔다. 그러나 적군 십여 만 명이 전주를 공격하매 수적열세로 패하고 만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강언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삼가(三嘉)ㆍ합천(陜川) 등을 수복하는 데 크게 공을 세웠으며, 이를 계기로 하여 정인홍(鄭仁弘)ㆍ김면(金沔) 등이 의병을 일으키게 되었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의령의 덕림사(德林祠)에 제향되었다. 『군곽망...
    이칭별칭 여문(汝文)| 초정(草亭)

고서·고문서(6)

  • 『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卷之十 天聰五年 十一月 十日 3번째기사 『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天聰五年 十一月 十日(1631) 1631 大凌河 大凌河 廣寧 군사 額駙佟養性·率舊漢兵.以軍礮·攻馬家湖臺明守臺人懼遂降.獲...
    출처전거『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砲丸鳴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r/inLink?DCI=ITKC_MP_0597A_1700_040_0520_2015_037_XML 037 李德懋〈軍傳〉曰:“賊砲如碗,落於水中,鳴沸移時。” 此未可曉。夫銃丸穿物,以火力,非以燒透。火之煅物,須有時刻,火發丸出,旣無時刻,安得燒熱?則鳴沸之說,於理未安。 ...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郭禎垕事由無識, 軍傍孫, 豈無參酌? 許璜·金泰雄飭亦行, 竝放送。 出傳敎 又命承旨書傳敎曰, 湖南該府放未放狀聞中, 池就大·姜謂說·安履·嚴球竝放送。 出傳敎 判義禁洪啓禧曰, 北道放未放啓本仍秩中, 亦有特敎被謫之當稟者矣。 鄭泰亨以科場事謫會寧府, 其時同罪者, 皆蒙放矣。 領議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경, 1943년, 조선, 친척집, 중국, 고향생각, 방송, 문제풀이, 답, 산이름, 제주도, 한라산, 항구이름, 부산항구, 목포항구, 인천항구, 직할시, 이름, 부산작할시, 대구직할시, 인천직할시, 책이름, 천자책, 군, 이름, 곽제운장군, 명년, 무슨띠, 소띠,...
    대표표제어우리 | 성씨
  • , 則甚於仁伯之竄矣。 鄙疏, 只明沈非小人, 西人非邪黨而已, 曷嘗讚沈爲君子可用者乎? 鄙疏筆端抑揚處, 容或過中則有之, 肅夫作箚, 以全然顚錯目之, 無乃已甚乎? 近日覽《朱子語類》, 得一段議論, 使人有省。 其言曰【在《論語․》】: “弘是寬廣耐事, 事事都著得, 道理也著得多,...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2)

  • 임란이 일어날 줄 안 군의 머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2-08-21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 제보자강삼수
  • 군을 가르친 불산댁의 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사명대사 일화’ 에 계속되는 전설인데 따로 떼어서 구술하였다. 이야기를 끝낸 후 불산댁의 딸은 임(任)마부라는 설도 있으나 이는 사실무근이라고 주장했다. *
    조사일시1982-01-31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 제보자한진식

신문·잡지(4)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국의 황후나 황태자에 관련된 의례 때 사용하던 의장. 황후나 황태자에게는 한 등급 격을 낮추어 홍색을 주로 하였기 때문에 이라고 하였다. 조선의 국왕의장도 홍색이 주조였으므로 황태자의 은 대체로 조선국왕과 같은 급이었다고 할 수 있다. 1897

  • 김사정 / 金士貞 [종교·철학/유학]

    1552(명종 7)∼1620(광해군 12). 조선 후기의 의병장·학자. 아버지는 김세우. 어머니는 김만겸의 딸이다. 이황을 사숙하였다. 1592년(선조 25) 왜적이 침략하자 의병을 일으켜 적을 무찌르고 군 곽재우의 휘하에 들어가 화왕산성에서 적과 싸워 여러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