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원식” 에 대한 검색결과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7(고종 14)∼1919. 독립운동가. [내용] 경기도 수원 출신. 한말 군인으로 1907년의 군대해산에 반대하여 일본군과 직접 대결하다가 부상하여, 고향인 제암리로 내려와 김성렬(金聖烈)‧안종후(安鍾厚) 등과 구국동지회...
  • 폭도사편집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편성되어 있는데, 경기도 정주원(鄭周源)‧임옥여(任玉汝)‧이동휘(李東輝)‧정용대(鄭容大) 외 29명, 충청남도 ()‧정주원(鄭周元) 외 10여 명, 충청북도 노병대(盧炳大)‧한봉용(韓奉用)‧조용근(趙用根) 외 16명, 전라북도 22명, 전라남도 19명, 경상...
  • 정건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예조참판, 1871년 1월에는 공조판서에 임명되었고, 이듬해에 사헌부대사헌을 거쳐 그 해 10월에는 재차 공조판서에 임명되었다. 1873년 7월에는 사은 겸 동지정사(謝恩兼冬至正使)에 임명되어 부사 (), 서장관 이호익(李鎬翼), 수행...
    이칭별칭 치중(致中)| 용산(蓉山)
  • 수소음심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황제내경영추해석(黃帝內經靈樞解釋)』(, 고문사, 1973)
  • 족소음신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곳에 있는 경혈로 신장염‧기관지염‧각기‧하복통‧월경불통‧하지관절염 등에 이용된다. 黃帝內經 靈樞解釋(, 高文社, 1973) 最新鍼灸學(金賢濟 外, 成輔社, 1979) 原色鍼灸穴位解剖圖譜(崔容泰‧金昌煥, 大星文...

고서·고문서(16)

  • 李太王實錄資料 16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勸講한 내용으로 『日省錄』(17)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좌의정 李裕元, 講官 洪鍾序, 승지 洪鍾華, 옥당 吳俊泳, 가주서 李容萬, 겸춘추 崔奭奎, 별겸춘추 등이 모여 소학을 講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정욱재 2016. 10. 13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3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7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正閣에서 召對를 행하였던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69)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승지 등 소대에 참석한 관원들의 명단과 통감을 講하면서 나눈 대화내용이 실려 있다. 정욱재 2016. 10. 17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9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使 鄭健朝, 副使 , 書狀官 李鎬翼)을 소견하고 復命을 받은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149)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11. 02 ‘假注書鄭寅協’이라 쓴 첨지가 상단에 붙어 있다.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11.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漢醫學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漢醫學辭典 의약학 한의학 한의학일반 漢醫學辭典 金賢濟; 共編譯 成輔社 서울 1983 한의학; 중국의학; 동양의학; ...
    대표표제어漢醫學辭典 | 대분류의약학 | 중분류한의학 | 소분류한의학일반
  • 平, 李敦相爲刑曹參判, 李明應爲工曹參判, 徐相翊爲禮曹參議, 閔泳穆爲刑曹參議, 嚴錫鼎爲弘文提學, 閔泳商爲宗簿正, 洪正厚爲兵曹正郞, 鄭顯英爲監察, 李熙甲爲坡州牧使, 趙秉益爲原州判官, 兼喬桐府使單吳晉泳。 再政。 以金聲根爲敦寧都正, 爲同春秋, 玄弼濟爲典籍,金寅輔爲禮賓參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5)

  • 愛國啓蒙運動의 哲學的 基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원식, 게재일 : 2000
    09181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0 愛國啓蒙運動의 哲學的 基盤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맹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조선유학의 전개 -‘心性論’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원식, 게재일 : 2011
    49199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인문학회 2011 맹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조선유학의 전개 -‘心性論’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동도(東道)'관의 변화와 한국 근대철학의 전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원식, 게재일 : 2009
    3100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인문학회 2009 '동도(東道)'관의 변화와 한국 근대철학의 전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퇴계학’, 그 존재를 다시 묻는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원식, 게재일 : 2004
    03681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4 ‘퇴계학’, 그 존재를 다시 묻는다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退溪 心學과 『心經府註』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원식, 게재일 : 2004
    14223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4 退溪 心學과 『心經府註』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

기타자료(6)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2509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7 45면 ㅁ6. 제6회(1936년 3월) 21명;ㅁ2) 특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2739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7 46면 ㅁ6. 제6회(1936년 3월) 21명;ㅁ2) 특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2281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6 45면 ㅁ6. 제6회(1936년 3월) 21명;ㅁ2) 특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5088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54면 ; 본과제4회 192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풍산영부;豊山榮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2366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58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6) 제34회 144명(1938년 3월 졸업) ;;풍산영부;豊山榮夫...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77-1919.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한말의 군인으로 군대해산령에 반발하며 일본군과 싸우다 부상당하자 고향에 가서 구국동지회를 조직하고 활약했다. 고향의 만세운동을 주도하다 체포, 제암리 교회 대학살 때 죽었다. 1968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