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우원” 에 대한 검색결과 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

사전(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05(선조 38)∼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군징(君徵), 호는 남파(南坡). 온(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가신(可臣)이고, 아버지는 한성서윤 영(榮)이며, 어머니는 이조...
    이칭별칭 군징(君徵)| 남파(南坡)| 문간(文簡)
  • 여말충현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말 충현들의 전기ㆍ시ㆍ시조ㆍ찬 등을 수록하고 그에 대한 부수적인 사실들을 기록한 책. [내용] 1권 1책. 석판본. 윤희구(尹喜求)ㆍ()이 엮은 것을 1928년에 송헌석(宋憲奭)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저자의 서가 있고,
  • 이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열경(悅卿), 호는 동애(東厓). 아버지는 이조판서 관징(觀徵)이다. 허목(許穆)ㆍ()에게서 수학하였다. 일찍이 문예를 성취하였으며, 1689년(숙종...
    이칭별칭 열경(悅卿)| 동애(東厓)
  • 숭선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리안치되었다. 1656년 부수찬 ()의 소청으로 풀려 돌아온 뒤 관작이 복구되고, 제주에서 진상된 용종마(龍種馬)를 하사받기도 하였다. 시호는 효경(孝敬)이다. 『인조실록(仁祖實錄)』
    이칭별칭 효경(孝敬)|징(徵)
  • 삼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삼삼하게. 선하게. 분명하게. 細讀來書 窮邊絶塞 寒苦況味 森然如在眼中 令人悽. 更切傾向之懷, (), 44-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8)

  • 계묘년 () 소초(疏草)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901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전북대학교 박물관
  • 13898 B013898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 三年(1677) 九月 숙종실록_10309010_001 ○甲申 / 御晝講。 承旨金德遠言: “江華留守年老, 而江都非優閑之地, 差遣老臣, 有乖禮待之道。” 上問大臣, 大臣亦以爲然, 遂命遞留守。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8554 B008554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5年 3月 26日_005 ○行吏曹判書箚曰, 伏以, 朝家欲捕江都投書凶人, 分遣將卒, 設伏諸處, 苟有長髥而長身者, 則輒綁縛以來, 旋以非其眞而釋去者, 非止一二, 以此人心騷擾, 怨聲載路, 行路幾乎將廢, 此豈非大...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洪受疇爲刑曹佐郞, 金夏挻[金廈挻]爲江陵府使, 李藼爲仁同府使, 爲實錄知春秋, 左參贊金徽, 右參贊睦來善, 行海城副正元忠, 以年八十加正義, 內官金以章·石承緖加嘉義, 金致遠加嘉善, 朴斗卿·鄭希哲加通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3)

  • 십월 십구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쥬차 아법오 공관 셔긔 은 쳥원야 갈니고 그에 젼 쥬 오달영 으로 임고 아법오 공관 슈원 윤홍식은 쳥원야 갈니고 그에 리긔현으로 명다
    게재일1898년 10월 20일 | 기사분류관보
  • 郡守辞職片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 부에 각 군슈의 직쳥원이 답지 울진군슈 윤영 금뎨군슈 리시 온셩군슈 박기슈 북쳥군슈 안셩군슈 리호집 부평군슈 리창 곡셩군슈 김진현씨등이 모다 신병이 잇셔 시무슈 업다고 상쥬면관을 쳥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7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六倅先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대신리지용씨가삼작일졍부회의를것쳐군슈여셧과만먼져쥬하되고몃과아즉류안이되얏쥬하된여셧군슈의성명은황간에리원화림피에림운셥북쳥에홍쥬에윤시영삭쥬에김윤근명쳔에한남규 졔씨더라
    게재일1906년 5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즁츄원의관 박의진 렴인식 리쟝용 홍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즁츄원의관 박의진 렴인식 리쟝용 리응곤 김덕갈닌에 팔품윤샹호 구품김균흥 리원왕으로 임다(이샹 삼월칠일 죵일품 강건으로 칙임 이등의관을임고 농샹공부 쥬 리시우에 방긔풍으로 임고 즁학교관 김뎡은 갈니다(이샹삼월팔일
    게재일1901년 3월 12일 | 기사분류관보
  • 忠察請論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간군슈 씨 일젼통감부 원유회에 진참기위야 급급히 상노라고 도관찰부에 슈유를 기다리지안코 로이 인쟝을가지고 쳔히 상경얏다가 급기 환관후에도 고가업스니 심히공격에 위반얏다야 도관찰 윤쳘규씨가 부로보고고 즁히론을 쳥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4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605(선조 38)∼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온 증손, 할아버지는 가신, 아버지는 영, 어머니는 허성의 딸이다. 1645년(인조 2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조판서, 우참찬, 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남파집≫ 13권이 있다.

  • 이협 / 李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허목·의 문인이다. 1689년(숙종 15) 생원시 장원을 거쳐 진사시에 합격했다. 같은 해 유생으로 대사헌 이현일의 유임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벼슬은 사옹원봉사에 그쳤다.

  • 남파서원 / 南坡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안성군 안성읍 봉남동 비봉산(飛鳳山) 남쪽 기슭에 있었던 서원. 1692년(숙종 1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

  • 남파집 / 南坡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8년에 간행한 시문집. 1868년(고종 5) 장학의 8대손 장두현(張斗鉉)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인원(張仁遠)의 서문과 권말에 장두현의 발문이 있다. 4권 2책. 목판본.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

  • 남파문집 / 南坡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2년에 간행한 시문집. 12권 7책. 목활자본. 손자인 백항(白恒)이 원집(原集) 5책과 연보 1책, 모두 6책으로 만든 것을 4대손 복전(福全)이 새로 수집한 경연강의(經筵講義)·계사(啓辭)·장보(狀報)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