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홍우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11)
- 홍우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09(순조 9)∼1890(고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성여(成汝), 호는 애사(靄士)‧춘산(春山)‧연탄(硏灘). 희택(羲宅)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필영(必榮)이고,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정주(...이칭별칭 성여(成汝)| 애사(靄士), 춘산(春山), 연탄(硏灘)| 효문(孝文)
- 쌍빈지설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양쪽 귀밑머리가 눈처럼 하얗다. 二載西州 博得雙鬢之雪 至於政令施措 都沒籌策, 홍우길(洪祐吉), 29-3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주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계책. 책략. 二載西州 博得雙.之雪 至於政令施措 都沒籌策, 홍우길(洪祐吉), 29-2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인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여전함. 弟客狀印昨 屢月離違 情私難耐之中 日前會事又居山外 侍下人事 尤難爲情, 홍우길(洪祐吉), 44-31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종매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행렬을 따라감. 從弟親節粗安 是幸是幸 而從邁在卽 憊眩强策 恐難免顚.之患也, 홍우길(洪祐吉), 44-17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5)
- 1759년 홍우길(洪羽吉)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기묘년 2월 11일에 우길이 객지에 있는 조주서에게 보낸 편지이다. 조주서에게 객지의 근황을 물어보고, 사촌상을 당한 일을 위로하고 있다. 또한 천연두가 유행하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말과 함께 천연두의 치료제인 자초즙(紫草葺)과 사탕(沙糖)을 구할 수 없어서 걱정이라는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60년 홍우길(洪羽吉)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조생원은 학질을 앓고 있고, 그의 백씨는 종기를 앓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서 우길이 경진년 10월 1일에 보낸 편지이다. 두 사람의 질환이 염려된다고 말하며, 종기를 치료를 잘한다는 풍산 김의원을 알려주었다. 자신은 넘어져서 다친 상처가 잘 낫지 않는다는 소식도 전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60년 홍우길(洪羽吉)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조도사의 백씨가 여전히 종기를 앓고 있다는 소식을 받고, 경진년 10월 1일에 우길이 조도사에게 보낸 편지이다. 풍산김수오(金壽五) 의원이 종기병을 잘 치료한다는 말을 전하고, 종기 치료 뒤에는 중풍을 조심하라고 일러주었다. 그리고 장인의 묘소 이장을 마치고 시사를 지...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855 B068855 동래 東萊 정치행정 哲宗實錄 十年(1859) 七月 철종실록_11007007_001 ○乙亥 / 慶尙監司洪祐吉狀啓: “東萊府誘引女子, 潛入倭館罪人金用玉, 初二日午時, 館門外彼人所見處梟示。”출처전거哲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낙제(絡蹄)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789 B032789 낙제 絡蹄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高宗 17年 2月 14日_016 ○洪永禹啓曰, 卽者奉常寺官員來言, 今日生絡蹄薦新時, 提調一員, 當爲監封, 而都提調金炳國有身病, 提調宋近洙在外, 不得監封云, 何以爲之? 敢稟。 傳曰, 提調宋近洙, 典設提調洪祐吉, 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홍우길 / 洪祐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9∼1890). 1850년(철종 1) 증광문과에 장원 급제, 정언·지평·사간을 거쳐 대사성이 되었다. 이후 이조참의·예방승지를 지내고, 경상도관찰사·이조참판·형조판서·대호군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었다. 저서로《연탄집》이 있다.
-
제가묵적 / 諸家墨蹟 [언론·출판]
편찬자 미상. 필사본. <제가묵적>은 절첩본 1책 1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별 간찰 및 문서를 수집하여 성첩하였기 때문에 역시 문서마다 행자수가 일정치 않다. 내용은 유경영 발신 시, 이휘재 발신 간찰, 권정침 발신 간찰, 이진상 발신 간찰, 홍우길 발신 간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