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홍여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9)
사전(37)
- 홍여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홍여하(1621-1678) 1621(광해군 13)∼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이칭별칭 백원(百源)| 목재(木齋), 산택재(山澤齋)
- 이영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다. 그는 우리 나라 성리학에서 영남학파계 특히 이황(李滉)ㆍ이덕홍(李德弘)으로 내려오는 학풍을 잇고, 또 청천와(聽天窩)라는 암자를 지어 그 곳에서 제자를 양성하였다. 그의 제자 중에는 홍여하(洪汝河)를 비롯하여 수백 명의 학자들이 있었다. 궁핍한...이칭별칭 원길(元吉)| 청천와(聽天窩)
- 권태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었다. 홍여하(洪汝河)ㆍ이현일(李玄逸) 등과 학문적인 교유가 깊었다. 그는 남인에 속했던 사람으로, 1694년 갑술옥사 후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가 여생을 보냈다. 저서로 『산택재문집』 4권이 있다. 『산택재문집(山澤齊文...이칭별칭 형숙(亨叔)| 산택재(山澤齋)
- 채헌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起宗)이며, 어머니는 순천김씨(順天金氏)로 경장(慶長)의 딸이다. [내용] 재종숙 지수(之洙)에게 입양되었으며, 홍여하(洪汝河)ㆍ이현일(李玄逸)의 문인이다. 1675년(숙종 1) 사마시에 합격하고, 1678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조ㆍ병조의 낭관(郎...이칭별칭 문수(文?)| 우헌(愚軒), 여물헌(與物軒)
- 휘찬여사목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세기 초에 새겨진 ≪휘찬여사≫의 책판. [내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51호. ≪휘찬여사≫는 조선 중기의 문신 홍여하(洪汝河)가 당시 우리 나라 지식인들이 중국 역사에는 해박하였으나 우리 역사를 모르는 것을 한탄하고, 또 정인지(...연계항목휘찬여사목판(彙纂麗史木板)
고서·고문서(122)
- 1660년 홍여하(洪汝河)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660년 4월 24일에 홍여하가 자신의 사면 소식을 들었음을 알리기 위해 金生員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를 알게 되어 위로되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고 있다. 이어서 자형의 대상과 질녀의 하관일이 정해졌으나 유배 와서 가지 못하는 자신의 안타까움을 적으며...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주역대전 : 해제_9. 홍여하(洪汝河)의 책제(策題):문역(問易)‧독서차기(讀書箚記)-주역(周易)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주역대전 58 해제 9. 홍여하(洪汝河)의 책제(策題):문역(問易)‧독서차기(讀書箚記)-주역(周易) 본관은 부계(缶溪)이고 자는 백원(百源)이며, 호는 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이다. 그의 증조는 홍경삼(洪景參)이고, 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며, 아버지...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목재선생문집(木齋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목재가숙휘찬려사(木齋家塾彙纂麗史)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목재가숙동국통감제강(木齋家塾東國通鑑提綱)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서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주제어사전(8)
-
홍여하 / 洪汝河 [종교·철학/유학]
1621(광해군 13)∼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경삼의 증손, 할아버지는 덕록,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고종후의 딸이다. 1654년(효종 5) 진사로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에 들어가 검열이 되고 이어 대교·봉교, 정언을 역임하였다. 1689년
-
근암서원 / 近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에 있는 서원. 665년(현종 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홍언충(洪彦忠)과 이덕형(李德馨)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다. 1693년에 김홍민(金弘敏)과 홍여하(洪汝河)를 추가 배향하였으며, 1786년에 이구(李榘)
-
백담문집 / 栢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구봉령의 시문집. 14권 6책. 목판본. 본집은 1645년(인조 23) 풍기군수 김계광이 편집·간행하였고, 속집은 1691년(숙종 17) 이유수와 김성구가 간행하였다. 본집에는 권두에 홍여하의 서문과 권말에 유동준의 발문이 있고, 속집에는 김
-
가암유고 / 可庵遺稿 [종교·철학/유학]
청가면성학소1편, 경성에 부임하는 홍여하를 송별하면서 지은 서, 창녕에 부임하는 정도응을 송별하면서 지은 서, 이원록에게 군자·소인을 가려내는 원칙을 논한 관인설서와 사우, 서 등 4편. 심대부·홍여하·정도응·노도립·노도일등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 5편, 부록으로 만사
-
김우태 / 金宇泰 [종교·철학/유학]
1647년(인조 25)∼1708년(숙종 34). 조선 후기 유생. 증조는 김경신, 조부는 김계미. 부친 장사랑 김상현과 모친 선무랑 홍호약의 딸 부림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이절의 딸 일선김씨이다. 자라서 목재 홍여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처음 학문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