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언” 에 대한 검색결과 3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5)

사전(1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0(고종 17)∼1951. 미주지역 독립운동가. [내용] 서울 출신. 본명은 종표(宗杓). 1902년부터 중국에서 양지사무소(量地事務所)의 일을 보다가 1904년 귀국, 하와이로 이민을 갔다. 1906년 가와이섬 막가월리...
    이칭별칭종표(宗杓)
  • 우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충(忠)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720년(숙종 46) 종현손 상훈(相勛) 등이 중간하였다. 권두에 권두경(權斗經)의 서문이, 권말에 김우굉(金宇宏)의 발문과 종현손 상민(相民)의 발문이 있다....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통주의 산서(山西) 사람으로, 자는 의보(義甫)이며, 서몽상을 돕는 우림장군이다. 악주부 파릉현으로 귀양 가던 몽상을 만나 보필한다. 나중에 철목족의 우두머리 힐률이 쳐들어오자 황제에게 몽상을 천거하고 자신은 행군장사로 활약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09(충선왕 1)∼1363(공민왕 12).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중용(仲容), 호는 양파(陽坡). 고려의 명필인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관(灌)의 7세손이다.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규(奎)의 손자이며...
    이칭별칭 중용(仲容)| 양파(陽坡)| 문정(文正)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규(奎)의 손자로, 삼사사(三司使) 융(戎)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만호 황원길(黃元吉)의 딸이다. 공민왕 때의 문하시중 언박(彦博)과는 이복형제이다. ...

고서·고문서(175)

  • 영의정 필‧홍섬 묘 치제문(領議政弼洪暹墓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8 第八統統首良人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三達洞坊 8 第八統統首良人卜 統第一戶 良人卜年柒拾乙卯本彦陽父良人戒男祖-{曾祖}不知外祖良人石禮男本淸州母良女召史妻無辛酉戶口相准 第二戶 老際武學李胤高年陸拾柒戊午本蔚山父贈嘉--{夫}漢城府右尹得...
    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三達洞坊
  • 忠淸道庄土文績_제39책 : 忠淸南道平澤郡南面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26. 道光十四年-甲午-四月初十日朴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3598 奎 19300 忠淸道庄土文績 제39책 : 忠淸南道平澤郡南面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39-026 26. 道光十四年-甲午-四月初十日朴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41.1x42.2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41.1...
    자료명忠淸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全羅道庄土文績_제13책 : 全羅南道莞島郡所在庄土金俊炫提出圖書文績類 110. 大韓光武九年乙巳十一月日趙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7370 奎 19301 全羅道庄土文績 제13책 : 全羅南道莞島郡所在庄土金俊炫提出圖書文績類 13-110 110. 大韓光武九年乙巳十一月日趙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35.4x32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35.4x32c...
    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신문·잡지(11)

  • 구슈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군슈 신홍균 셥 졔씨와 경현슈 졍규회 졔씨가 음력 작년 십이월에 피슈 엿더니 일작에 다무죄 방송이 되고 범죄 쟝윤샹 리감찰 신홍균씨의 아 신모등 명만 지금지 갓쳣더라
    게재일1899년 4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성-독서수기 림 38 전통 극목을 정리, 개편하는 문제에 관하여 곽한성 43 판권지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62
  • 쟝례원경 셔샹우와 궁부 특진관 윤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건으로 임고 덕릉 봉 엄쥬붕 갈닌에 의릉 참봉 안셰쥰으로 임고 희릉참봉 홍슌 갈닌에 임유슌으로 임고 시종원 분시어 리뎡셰 리건호 강복원 갈닌에 리종셩 노관우 으로 임고 리즁오 시강원 시독관을 임고 비셔원승 리덕은 종이품을 승다
    게재일1899년 12월 9일 | 기사분류관보
  • 죵이품 륙군참쟝 셩긔로 륙군 법원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임고 경릉령 윤종구로 샤직령을 임고 쥬뎐쥬 셥으로 경릉령을임고 륙품 림병옥으로 쥬뎐쥬를 임고 죠경단 슈봉관 리강일 리병션에 리긔복 리교항으로 임고 륙품 황쥰셩으로 법부쥬를 임고 즁학교관 권졍규 갈니고 구품리하영 김병련으로 즁학교관을 임고 죵...
    게재일1900년 9월 25일 | 기사분류관보
  • 참령김원계로 죵셩진위 대쟝을 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참령김원계로 죵셩진위 대쟝을 보고 일등군 오갑션은 죵셩진위 향관을 보고 졍위 원세록 셩챵긔 김직 반돈식은 죵셩진위 즁쟝을 보고 부위 우남규 참위 최제강 죠홍련 라영훈 박용쥰 송슌진 김영 김샹묵 젼종현 오쳘영 안교영 표 홍슌효 강한필 변영두 졍민...
    게재일1900년 7월 28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6)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770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3면 김;金 제4회 1944-03-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2056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89면 7. 졸업;18) 同 제6회 졸업자 (1922년 3월 20일) 김;金 (출신)충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1274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85면 7. 졸업자;18) 同 제6회 졸업자 (1922년 3월 20일) 김;金 (출신)충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1967 남한 경북 대구공립상업학교 2-17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대장 1928(제1회)~1945(제19회) n.r. 17면 - 최;崔 경북 6 1933년 3월 7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금강헌중;金岡憲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808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9면 김;金;금강헌중;金岡憲重 충북 음성군 입극면 팔성리 제2회 1918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8)

  • / [역사/근대사]

    1880-195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명은 홍종표(洪宗杓)이다. 출신지는 서울이다. 1904년(광무 8) 중국에서 귀국한 후, 미국 하와이로 이민을 떠났다. 1906년(광무 10) 하와이 막가월리 농장에서 송건(宋建) 등과 함께 자강회(自强會)를 조직하였다.

  • 국 /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아버지는 홍귀달, 형은 충이다. 1495년(연산군 1) 을묘 증광시 생원 2등 20위로 합격하였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석방되어 고향에서 학문 연구와 후진의 양성에 전념하였다. 후에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임하였다. 명필로 이름이 있었으며, 작품으

  • 방 /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문신. 증조는 홍득우, 조부는 홍효손이다. 부친 홍귀달과 모친 김숙정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충이다. 1502년(연산군 8) 알성시 문과에서 3등 1위로 급제하였다. 홍문관박사, 언양현감을 역임하였다.

  • 충 / [종교·철학/유학]

    1473(성종 4)∼1508(중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득우의 증손, 할아버지는 효손, 아버지는 귀달, 어머니는 김숙정의 딸이다. 1495년(연산군 1) 사마시에 합격, 그 해에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부정자. 정자·저작·박사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 속무정보감 / 續武定寶鑑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필(弼) 등 수명편, 조선사편수회편, 영인본, 조선총독부, 1937, 5권 2책. 조선 성종대부터 중종대까지의 내란과 역모, 대외분쟁 들을 처리한 전말을 기로한 책이다.《조선사사료총서(朝鮮史史料叢刊) 第16》으로 영인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