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홍승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5)
- 홍승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54(철종 5)∼?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문일(文一). 서울 출신. 우명(祐命)의 아들이다. 1875년(고종 12) 경과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수찬과 부교리를 거쳐, 가례도감도청(嘉禮都監都廳)과 ...이칭별칭 문일(文一)
- 쌍수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정(三架亭)을 창건한 것이 곧 쌍수정이다. 그 뒤 1788년(정조 12) 관찰사 홍억(洪檍)이 대지를 평탄하게 한 뒤 중건하였으며, 1903년 관찰사 홍승헌(洪承憲)이 수축한 것이 현재의 쌍수정이고 그 뒤에도 몇 차례 보수를 한 바 있다. 지금도 정자 앞에 느...
- 해경당수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傳)‧서독(書牘)‧잡저, 제3‧4책에 시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홍승헌(洪承憲)‧정원하(鄭元夏) 등과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910년 경술국치 때 만주로 망명을 떠난 풍운아답게 그의 시문은 나라를 망친 자에 대한 증오감과, 남의...
- 이건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찬가지로 당시의 정국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또 을사조약이 강압적으로 체결되자 홍승헌(洪承憲)‧정원하(鄭元夏)와 함께 자결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때에 황현에게 낸 편지에서 “자신은 어리석고 미련해 구차하게 살고 있다.”고 자조적인 말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칭별칭 보경(保卿)| 경재(耕齋)
- 강화학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옥사에 연좌되어 노(奴)가 되거나 유배를 당함으로써 그 형의 학문이 계승될 수 없었다. 다만 심육의 부친 심수현(沈壽賢)에게서 수학한 홍양호가 강화학파와 일정한 연관을 맺었고, 그 가학이 구한말의 홍승원(洪承憲)에게로 이어졌다. 또한, 심수현의 후손에 심대윤(...
고서·고문서(12)
- 홍승헌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卽又伏拜 惠狀 具審間來 體節萬穆 仰慰副忱 世下日昨遭長子婦喪 寄 館慘慟 無以按抑 而呱呱 乳孫 情狀尤不忍想到 只自哽塞而已 府務因數日之 停 一埤滾劇 良憐良憐 敎姜訟 又爲題送耳 餘 神擾 不備上謝 癸卯四月卄日 世下朞服人 洪承憲 拜手卽又伏拜 惠狀 具審間來분야문학 | 유형문헌
- 계묘년 제(弟) 홍승헌(洪承憲)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령 천궁 경주김씨
- 임인년 제(弟) 홍승헌(洪承憲)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령 천궁 경주김씨
- 홍승헌이 신관휴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來伻 暮抵促發、 不暇 作長語, 艸艸佈覆, 拜會未易 期、臨紙尤切馳神, 惟祝以時 保重, 不備上謝。 丙午閏月望日, 世下功服人, 洪承憲拜手。一自錦還、兩地迢迢、聲聞莫憑분야문학 | 유형문헌
- 충청남도관찰사 홍승헌의 재실보고에 따르면 “새로 재해를 입은 재결에 대해 따로 획하해달라”고 하는데, 비록 재해를 입었다고 하더라도 한 도의 모든 군이 동일할 리가 없으니, 재결 중 일부만을 다른 곳에 획하하라는 취지를 의정부회의에 제의했으며, 회의를 거쳐 상주하여 재가를 얻었다는 의정부 지령을 받았으니 해당 각군에 지령하여 군수가 직접 살펴 정확하게 집행하고, 표재소명성책을 법식대로 보고하라는 훈령 기안.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기초학문(1)
- 한말 일제하 충북 진천의 지사들과 경제배경 : 정인표ㆍ홍승헌을 중심으로_학술대회발표자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영우, 게재일 : 200504336 신영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충북대하교 2005 한말 일제하 충북 진천의 지사들과 경제배경 : 정인표ㆍ홍승헌을 중심으로_학술대회발표자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24)
- 公察辞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남도 관찰 홍승헌씨는 직상소엿다더라게재일1903년 4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洪氏又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남도 관찰 홍승헌씨가 직상소엿다더라게재일1902년 11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特爲分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쥬관찰 홍승헌씨가 부임치 아니고 직소만 는고로 보외가 된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홍승헌씨가 도임후에도 시무치아니는지라 부대신 리건하씨가 그 연은 샹 쥬엿더니 쳐분이 나리시기를 보외는 특별이 분간고 임칙야 시무케라 셧다더라게재일1902년 9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忠察再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남관찰 홍승헌씨가 적상소 하엿더니 비지가나리시기를 양말고 불일등도하라하셧더라게재일1902년 8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公察始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남도 관찰 홍승헌씨가 다셧번 직샹소되 비지에 불윤신고로 홍관찰이 작일부터 시무다고 부로 뎐보엿다더라게재일1903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연구과제(1)
-
하곡학파(霞谷學派)의 형성과 전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남옥 | 한국국학진흥원 | 2019 | 국내 | 경북
주제어사전(1)
-
홍승헌 / 洪承憲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54∼?). 1875년(고종 12) 경과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수찬과 부교리를 거쳐, 가례도감도청과 부승지를 지냈다. 1902년 궁내부특진관과 충청남도관찰사를 지냈으며, 정부에서 지계사업과 양전사업을 실시하자 충청남도에서 이 사업을 총괄하는 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