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순목” 에 대한 검색결과 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1)

사전(27)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왕후봉영사. 왕의 명으로 명성황후 환궁 시 종로에서 모셔 한성에 들어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6(순조 16)∼1884(고종 21).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희세(熙世), 호는 분계(汾溪). 서울 출신. 현규(顯圭)의 손자로, 승지 종원(鍾遠)의 아들이며, 갑신정변을 일으킨 영식(英植)의 아버지...
    이칭별칭 희세(熙世)| 분계(汾溪)| 문익(文翼)
  • 협축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간절히 기원함. 謹審漸熱 政體候萬晏 仰慰區區.祝, (), 31-9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조경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소식이 막혀서 궁금함. 歲暮雪深 阻.正勞, (), 41-186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삼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인삼과 창출(蒼朮: 당삽주). 雖服蔘朮之屬 此何以扶得已削之眞元耶, (), 31-9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63)

  • 1853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53년 9월 국왕이 이원조를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일성록』에 의하면 9월 27일 이 승지에서 체직되었다. 국왕은 정사를 열지 않고 이전에 후보에 올랐던 인물 가운데 이원조를 그 자리에 임명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33293 B033293 남도포 南桃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哲宗 11年 3月 15日_030 ○, 以備邊司言啓曰, 全羅道珍島郡南桃浦漂到大國人十二名, 入接弘濟院後, 使本司郞廳及譯官詳細問情, 別單書入, 而今此漂人, 皆願速歸, 留一宿卽爲發送,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578 B07557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12年 8月 10日_017 ○乙亥八月初十日午時, 上御萬慶殿。 藥房入診, 東萊府使, 慶尙道京試官同爲入侍時, 都提調, 提調金輔鉉, 副提調鄭範朝, 假注書韓哲東, 記事官李命宰·金羽均, 東萊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6240 B236240 황해 黃海 바다 承政院日記 高宗 2年 8月 20日_025 ○以黃海監司狀啓, 甕津府昌麟島來到異樣船, 所投冊子, 封上與燒火事, 令廟堂稟處事, 傳曰, 異船之又此過境, 雖因去來閃忽, 未及詳探, 事係邊情, 殊涉驚駭, 瞭望之節, 另加操飭, 所留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太王實錄資料 17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의복 제도를 변통하라는 교지를 거두고 옛 제도를 보존할 것을 청하는 영중추부사 에게 내린 비답의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285)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이 고종의 의복 제도 변경에 부당성을 상소하는 내용과 고종의 비답이 실려 있다. 정욱재 ...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1)

  • 증산제일목표의 경상남도 이계순 51 이장들은 말한다-어떻게 하면 잘 살 수 있나 이원조, 권태식, 최준협, 황해도, 이태수, , 김문준, 이명구, 김종갑, 김달수, 이위홍, 이선...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6∼1884). 갑신정변을 일으킨 영식의 아버지이다. 1844년(헌종 10) 증광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지평·수찬을 지내고, 1846년 초계문신에 뽑혔다. 1863년 대사헌이 되었으며, 1872년 영의정을 거쳐 영돈령부사가 되었다. 1876년

  • 관란재유고 / 觀瀾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고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2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2책. 활자본. 1862년(철종 13) 후손 명린(命麟)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신석우(申錫愚)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에 서(書) 4

  • 대산집 / 對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강진의 시 608수를 수록하여 1868년에 간행한 시집. 4권 2책. 활자본. 아들 구수(龜秀)·홍수(鴻秀)의 편집을 거쳐, 1868년(고종 5) 조영하(趙寧夏)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두순(趙斗淳)·윤정현(尹定鉉)·김학성(金學性)·()·박

  • 이용희 / 李容熙 [역사/근대사]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함대를 물리쳤고, 이후에도 프랑스함대가 퇴각하는 데 결정적인 공을 세워 특별히 형조판서에 발탁되었다. 주사대장(舟師大將)‧진무사(鎭撫使)‧어영대장‧훈련대장‧한성부판윤을 지냈다. 강화도조약 체결 당시에는 김병학(金炳學)‧()‧양헌수 등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