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수주” 에 대한 검색결과 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

사전(27)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가례 시 왕의 면복의 말(襪)의 안감, 중궁전의 겹장삼 및 겹저고리의 안감과 요에 사용되는 직물. 수주(水紬)는 품질이 좋은 비단의 일종으로 일명 수화주(水禾紬)라 한다. 삼팔주(三八紬)와 같이 평직의 견직물이다. 대는 가례 시 중궁전 의대의 안감에 주로 사용되...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붉은색 수주(水紬). 수주는 품질이 좋은 비단의 일종으로 평직의 견직물을 말한다. 일명 수화주(水禾紬, 秀花紬)라 한다. 는 죽책봉과식을 할때, 죽책을 싸는 보자기로 사용되었다. 靈座諸具高欄平牀一坐彩花二張付地衣一件彩花單席一件大褥一件紅氈一件龍紋單席一件蓮花...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포도도 / 조선 중기의 선비 화가 (1642∼1704)의 작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칭별칭 구언(九言)| 호은(壺隱), 호곡(壺谷)
  • 유명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 7)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정언(正言)을 거쳐 지평(持平)으로 재직중 남인 박태유(朴泰維)를 탄핵하고, 이어 남인인 장령 ()를 논핵하여 파면하게 하였다. 1685년 장령(掌令)으로 경기도암행어사가 되고, 이듬해 사간에 전직...
    이칭별칭 만초(萬初)
  • 엄정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유배 가는 길. 受.之日 忽承兄惠字 而嚴程忙劇 闕然脩謝 至今.恨, (), 21(禮)-19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36)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38593 B038593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26年 9月 8日_002 ○謝恩, 右承旨, 五衛將鄭碩賓, 兼司僕將李弘喆, 兼春秋呂必重, 監察權益震, 多大浦僉使高後玄, 訓鍊主夫[訓鍊主簿]李汝澤, 西平[西浦]萬戶金光遠, 草芝萬戶朴好問, 護軍崔昌業·李...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異, 爲其罪案, 南島西塞, 斥逐太遽, 聽聞俱駭, 氣象不佳, 臣恐人情由是益激, 朝論自此愈潰, 豈不大可慮哉? 請加三思, 還收校理柳鳳瑞大靜縣監, 司果李師尙, 陽德縣監特除之命。 左副承旨, 頃於儒臣陳達之時, 聖敎未畢之際, 乃擧李師尙久不擬望之事, 有所仰奏, 言雖率爾, 事出無...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異, 爲其罪案, 南島西塞, 斥逐太遽, 聽聞俱駭, 氣象不佳, 臣恐人情由是益激, 朝論自此愈潰, 豈不大可慮哉? 請加三思, 還收校理柳鳳瑞大靜縣監, 司果李師尙, 陽德縣監特除之命。 左副承旨, 頃於儒臣陳達之時, 聖敎未畢之際, 乃擧李師尙久不擬望之事, 有所仰奏, 言雖率爾, 事出無...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3007 B07300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0年 4月 26日_021 ... 曰, 冊禮都監篆文書寫官, 以啓下矣。 今聞受疇, 方在下考中, 不得行公云, 似合有變通之道矣。 上曰, 下考, 蕩滌, 可也。 出擧行條 又啓曰, 頃者譯官等, 自對馬島回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 처윤 아들이다. 1682년(숙종 8) 문과에 급제, 벼슬은 승지·충청도관찰사·대사간 등을 거쳐 예조참의에 이르렀다. 1695년 동지사행의 부사로 중국에 다녀왔다. 유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묵매

  • 호은집 / 壺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화가 의 시문집. 6권 2책. 목판본. 아들 우철이 편집, 종질 우부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1721년(경종 1)에 쓴 최석항의 서문, 권말에 1722년에 쓴 우부의 발문이 있다. 권1∼3은 시 294수, 권4는 소 8편, 불윤비답 4편, 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