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석” 에 대한 검색결과 1,4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90)

사전(307)

  • 현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洪0x9A61)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신활자본. 1930년 5대손 재관(在寬)‧재규(在圭)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기호(李琦浩)의 서문이, 권말에 재관‧재규의 후서(後敍)가 있다. 국립중앙도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04(선조 37)∼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내용]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공서(公敍), 호는 손우(遜愚) 또는 만오(晩悟).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경소(敬昭)이며, 어머니는 청주한씨(淸州韓氏)로 도사 완(浣)...
    이칭별칭 공서(公敍)| 손우(遜愚), 만오(晩悟)| 정민(貞敏)|태백산오현(太白山五賢)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6(영조 12)∼1805(순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청중(淸仲), 호는 현암(玄巖). 현(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처관(處寬)이고, 아버지는 유규(有圭)이며, 어머니는 순천김씨(順天金氏)로...
    이칭별칭 청중(淸仲)| 현암(玄巖)
  • 벽송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규(圭)의 시문집. [내용] 1책. 필사본. 저자에 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으며, 다만 『헌종실록』 원년 8월 기유조에 왕이 인정전(仁政殿)에 거둥하여 추도기(秋到記)를 마련하였을 때, 강(講)에서 으뜸을 차지...
  • 홍씨독서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주(周)의 독서록. [내용] 4권 2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저자는 당대의 대학자로 『독서역잡기(讀書易雜記)』‧『춘추비고(春秋備考)』‧『상서보전(尙書補傳)』‧『삼한명신록(三漢名臣錄)』‧『원사략(...

단행본(3)

  • 말레이시아: 이민전략을 통해 본 한인 사회 형성과 그 미래 [동남아시아의 한인과 한인사회: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 한국동남아연구소]
    저자 : 홍석준 ... | 출판사 : 도서출판 눌민 | 출판일 : 20220531
    이 책은 은퇴이민, 조기유학, 부동산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는 말레이시아의 이민정책과 교육정책, 그리고 이러한 정책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를 분석한다. 말레이시아가 한국인들의 새로운 조기유학 대상지로 부상하게 된 주요 원인과 은퇴이민을 위한 M...
  • 4. 한국­말레이시아 문화교류: 교육교류를 중심으로(한글본)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연구 및 출판 | 성균관대학교]
    저자 : 홍석준, 리우친통... | 출판사 : 이매진 출판사 | 출판일 : 2013.04.19
    분야국제 | 유형단행본
    1장 머리말 2장 한국‧말레이시아 관계의 역사 개관 1. 과거 50년의 역사 2. 경제협력 3. 관광 3장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교육 교류 1
  • 동남아시아 한인: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동남아시아의 한인과 한인사회: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 한국동남아연구소]
    저자 : 김홍구, 김지훈, 채수홍, 홍석준, 엄은희, 김동엽, 이요한, 김희숙 ... | 출판사 : 도서출판 눌민 | 출판일 : 20220520
    오늘날 동남아 지역은 한국 사회에 밀접하게 다가와 있다. 동남아는 한국에 무역 규모로는 중국에 이어 2위, 투자처로는 미국에 이어 2위, 해외 건설 공사처로는 1위, 노동 인력 교류처로는 중국에 이어 2위, 관광지로는 1위, 그리고 한류 파급력으로는 일본과 중국에 이어...

고서·고문서(696)

  • 4 第四統統首乙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2년_대현면(大峴面) 1792년 대현면(大峴面) 第十二串旨里 4 第四統統首乙男 第一戶 良水軍乙男年伍拾癸亥本南陽父萬世祖太奉二祖不知妻韓姓年參拾壹壬午本淸州父聖文祖致 巾曾祖承先外祖金於叱金本金海等己酉戶口相准 第二戶 束伍軍文千石年肆拾陸丁卯本南...
    연도_면이름1792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二串旨里
  • 5 第五統統首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85년_상부면(上府面) 1885년 상부면(上府面) 第一吉村里 5 第五統統首김 第一戶幼學김年參拾參癸丑本김海父學生文鎰祖學生振禹曾祖 學生昌儀外祖學生宋致坤本恩津妻申氏年參拾肆壬子本平山父學 生泰悅祖學生錫幹曾祖學生國宗外祖學生李宗喆本慶州等 壬午戶口相准 ...
    연도_면이름1885년_상부면(上府面) | 면이름상부면(上府面) | 마을이름第一吉村里
  • 9 第九統統首乙寶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59년_유포면(柳浦面) 1759년 유포면(柳浦面) 第六於勿洞 9 第九統統首乙寶 第一戶 洪世益故代子烽軍乙寶年貳拾陸甲寅本南陽父世益祖正兵進昌曾祖克明外祖李弼主本慶州率 母李召史年肆拾柒癸巳妻朴召史年貳拾伍乙卯本密陽父朴有堤祖愛南二祖不之等丙子戶口相准 第...
    연도_면이름1759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六於勿洞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청양면(靑良面) 1765년 청양면(靑良面) 第二十達浦里 4 第四統統首乙 第一戶 水營能櫓軍良人乙伊年伍拾柒己丑本南陽父洪善伊祖男伊曾祖不知外祖趙千生本咸安妻良女鄭召史 年伍拾參癸巳本延日父天連祖福良曾祖南得外祖朴成龍本密陽率子水營能櫓軍太貴年參拾壹乙...
    연도_면이름1765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二十達浦里
  • 1789년 주(疇) 입안(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구술자료(2)

  • 06_154 경남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남도 산청군_노랑모야 노랑모야 모노래 경상남도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 오휴마을, 오부면 오전리 신기마을. 2004.9.18 素 MD 04-9-18 n.3 (素04-9-18①A) 구(1940년 오휴 출생.남. 1975년이
    녹음지역경상남도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 오휴마을, 오부면 오전리 신기마을. | 녹음날짜2004.9.18 | 가창방식독창 또는 교창, 선입후제창
  • 06_155 경남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남도 산청군_친나 칭칭 친나 칭칭 파연곡 경상남도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 오휴마을, 오부면 오전리 신기마을. 2004.9.18 素 MD 04-9-18 n.7 (素04-9-18①B) 구(1940년 오휴 출생.남. 1975
    녹음지역경상남도 산청군 오부면 중촌리 오휴마을, 오부면 오전리 신기마을. | 녹음날짜2004.9.18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61)

  • 외당 유의 항일투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7764 한국연구재단 의암학회 2011 외당 유의 항일투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주(周)의 『학강산필(鶴岡散筆)』에 나타난 문학관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석중, 게재일 : 2003
    12370 강석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3 주(周)의 『학강산필(鶴岡散筆)』에 나타난 문학관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周 原體散文의 담론생산자적 의미와 수사적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동주, 게재일 : 2013
    43585 박동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周 原體散文의 담론생산자적 의미와 수사적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성소수자에 대한 미디어의 시선:텔레비전에 나타난 천과 하리수의 이미지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지훈, 게재일 : 2013
    49369 박지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성소수자에 대한 미디어의 시선:텔레비전에 나타난 천과 하리수의 이미지 유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박정희 정권기의 국가폭력과 인권침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석률, 게재일 : 2003
    00154 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3 박정희 정권기의 국가폭력과 인권침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6be27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05)

  • 金俊童(厚診察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俊童(厚診察所) 서울 金俊童 厚診察所 鍾路 2-9 복장품 - 안경 소매 34.5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俊童(洪錫厚診察所)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안경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出獄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69 1935 8 15 1 1 第六官 安在出獄 잡지 동광 36호,4권8호 20쪽 동정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安在鴻 保釋出獄, 救濟金流用事件 B19350815동광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李別提鍾祐氏子氏年十七이라 남셔(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李別提鍾祐氏子氏年十七이라 남셔(石中洞)돌즁방골근쳐에셔은귀 를 엇어가지고 본샤에와셔 그견실 물쥬게신젼라고 긴탁얏스니 귀이일으신이 본샤로문홈 뎨국신문샤 고
    게재일1906년 6월 16일 | 기사분류광고
  • 李別提鍾祐氏子氏年十七이라 남셔(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李別提鍾祐氏子氏年十七이라 남셔(石中洞)돌즁방골근쳐에셔은귀 를 엇어가지고 본샤에와셔 그견실 물쥬게신젼라고 긴탁얏스니 귀이일으신이 본샤로문홈 뎨국신문샤 고
    게재일1906년 6월 15일 | 기사분류광고
  • 李別提鍾祐氏子氏年十七이라 남셔(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李別提鍾祐氏子氏年十七이라 남셔(石中洞)돌즁방골근쳐에셔은귀 를 엇어가지고 본샤에와셔 그견실 물쥬게신젼라고 긴탁얏스니 귀이일으신이 본샤로문홈 뎨국신문샤 고
    게재일1906년 6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80)

  • 서명응_ 주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서명응_ 주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서명응_ 주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서명응_ 주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서명응_ 주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기타자료(136)

  • 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8163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19면 후;厚 경기 190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255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106면 양;梁 충남 제12회 1919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498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53면 영;榮 경기 -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857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7면 양;梁 충남 본과제12회 1919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8035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76면 양;梁 충남 제3회 1930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45)

  • / [종교·철학/유학]

    1604(선조 37)∼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경소, 어머니는 한완의 딸이다. 김상헌의 문인이다. 1637년(인조 15) 병자호란이 굴욕적인 화의로 끝을 맺자 태백산 춘양에 은거하며 학문을 닦았다. 김수항·송시열의 추천으로 참봉이 되어 세

  • 기 / [종교·철학/유학]

    1606(선조 39)∼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해 증손, 할아버지는 순각, 아버지는 이중, 어머니는 남충원의 딸이다. 구서봉의 문인이다. 1641년 호조좌랑으로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합격했고, 병조좌랑을 거쳐 정언이 되었다. 해주목사, 서천군수, 남원목

  • 운 / [역사/근대사]

    1876-1926.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평안남도 중화(中和)이다. 1920년 평양에 위치한 기홀병원(紀笏病院)에서 임시 정부에서 파견한 김석황(金錫璜)과 접선한 후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치기로 맹세하고 지령에 따라 결사의용단(決死義勇團)을 조직하였다. 김

  • 정 / [역사/근대사]

    미상-1919.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정(貞)이다. 1919년 3월 1일 이경섭(李景燮)으로부터 안봉하(安鳳河)에게 전달된 독립선언서를 김영만(金永萬)·나찬홍(羅燦洪)·이영철(李永喆)·안봉하·최용식(崔鎔植)·한청일(韓淸一) 등과 함께 각 지역

  • 주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4∼1842). 1795년(정조 19) 춘당대문과에갑과로 급제하여 사옹원직장을 제수받았다. 1797년 승정원주서, 1802년(순조 2) 정언, 1808년 가선대부에 올라 병조참판, 1834년 이조판서, 좌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를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