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홍산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7)
- 홍산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묻힌 것은 붉은색의 홍산자(紅散子)이다. 오늘날의 강정과 같은 것으로 지방에 따라서 크기는 차이가 있다. 一行中朴桂四器式八器每器高一尺二行紅散子二器式四器每器高八寸白散子三器式六器每器高八寸, (가례1744/213ㄱ05~07)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밀병자(蜜餠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355 물품도구 밀병자(蜜餠子) 밀병자 蜜餠子 약과(藥果) ‧ 중배끼[中桂果] ‧ 홍산자(紅饊子) ‧ 백산자(白饊子) ‧ 빙과(氷果) ‧ 과과(瓜果) ‧ 봉접과(蜂蝶果) ‧ 만두과(饅頭果) 등의 총칭. 조선 전통과자로, 제사나 손...유형분류물품도구
- 백산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묻혀 붉은 빛을 띠는 홍산자(紅散子)가 있다. 五色餠作末時所用鐵公伊二紅白散子取油所用炙金火著各一等物依例進排事催促於別工作則謂以無前例不爲進排爲臥乎所, (빈전1600/052ㄴ10~12)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백산자(紅白散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홍백산자 홍백산자 紅白散子 한과(漢菓) 박산(薄散), 백산자(白散子), 홍산자(紅散子)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음식 대한민국 조선 차경희 찹쌀, 튀김용 기름(참기름이나 콩기름), 꿀, 조청 연희(...상위어한과(漢菓) | 관련어박산(薄散), 백산자(白散子), 홍산자(紅散子)
- 중박계(中朴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같이 지져서 쓰기도 하였다. [연원 및 용도] 중박계는 조선시대에 궁중과 일반 사대부가에서 잔치나 제사에 주로 사용하였다. 『도문대작(屠門大嚼)』의 마지막 부분에 밀병(蜜餠)은 약과·대계(大桂)·중박계·홍산자·백산자·빙과(氷果)·과과(瓜果)·봉접과(蜂蝶果)·만두...동의어중계(中桂) | 관련어대계(大桂), 대박계(大朴桂), 유밀과(油密果), 소박계(小朴桂)
고서·고문서(3)
- 詠紅葉絶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k?DCI=ITKC_MP_0597A_0020_010_0480_2014_001_XML 001 側壁欹嵒到半天,蒼鼯欲度絶攀緣。誰將颯沓臙脂筆,細點西施翠黛邊? 盤陀老石飽陰霏,風蔓幽幽土蘚肥。坐愛一張紅傘子,夕陽輝映滿人衣。 上枝紅豔下枝黃,黃暈蕭條病裏妝。不是天心慳雨露,無緣弱質冒風...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故大勲位李王国葬書類 巻二・大正十五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의 예찬에 사용되는 음식은 약과 5 그릇, 中桂 4 그릇, 紅散子 2 그릇 등으로 기록하였다. 장신 2015. 04. 06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04.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瘧發作無時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治瘧病 乾薑炒令黑色擣爲末臨發時以溫酒調三錢服已發再服 【經驗良方】治瘧 靑蒿用葉端午日採陰乾 香薷等分○右爲細末如先寒用熱酒服先熱用冷酒服遇發日五更早服宜至誠齋戒忌鷄魚麪生冷物 三因方【紅散子】治瘧須當發日早晨服 黃丹炒色變入好茶合和二錢白湯調下或溫酒調不入茶【又方】黃丹不以多少五月五日用獨...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