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명희” 에 대한 검색결과 3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3)

사전(6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필집 ≪학창산화 學窓散話≫(조선도서, 1926)와 장편소설 <임꺽정>(을유문화사, 1948)이 있다. 自敍傳(, 삼천리, 1929.6.) 碧初論(李源朝, 신천지, 1946.4.) 벽초 의 임꺽정연구(한승옥, 숭실어문...
    이칭별칭 가인(可人), 벽초(碧初)
  • 신사상연구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3년 7월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사상단체. [설립목적] 같은 해 7월 7일 낙원동 173번지에서 (), 김찬(金燦), 구연흠(具然欽), 원우관(元友觀), 박일병(朴一秉) 등의 발기로 조직되었다.
    이칭별칭화요회(火曜會)
  • 박달학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예비교육을 위하여 프랑스 조계 안에 설립하였다. 강사는 박은식(朴殷植)‧신채호(申采浩)‧()‧문일평(文一平)‧조소앙(趙素昻) 등과 혁명의 선구자 농죽(農竹), 그리고 미국 화교인 모대위(毛大衛) 등이었으며, 교과목은 영어‧중국어‧지리‧역사‧수학 등이...
  • 민주독립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준비위원장에 선임되었고, 9월 18일에는 7인(안재홍‧김병로‧‧김호‧박용희‧이극로‧김원용) 간부회의가 열렸고, 21일 정례 준비위원회의에서는 당명을 민주독립당으로 결정하였다. 9월 23일에는 ‘선거권 만20세 이상’, ‘피선거권...
  • 백남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족개량주의노선이 대두되자, 1929년 9월백남훈(白南薰)‧백관수(白寬洙)‧김준연(金俊淵)‧() 등과 같이 조선사정연구회(朝鮮事情硏究會)를 조직하기도 하였다.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던 1938년에는 이순탁(李順鐸)‧노동규(盧東奎) 등...

고서·고문서(8)

  • 벽초 소설 임꺽정 우리말 용례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벽초 소설 임꺽정 우리말 용례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벽초 소설 임꺽정 우리말 용례사전 민충환 편저 집문당 ...
    대표표제어벽초 홍명희 소설 임꺽정 우리말 용례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 동경잡기(東京雜記)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경주의 역사지리지인 『동경잡기(東京雜記)』를 1913년에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신식 활자본으로 간행한 책이다. 권수(卷首)의 해제(解題)에, 본서는 () 소장본을 저본으로 활자화한 것이며, 『동경잡기』의 초간(初刊), 중간(重刊)과 수정 증보하여 간...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동경잡기(東京雜記)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경주의 역사지리지인 『동경잡기(東京雜記)』를 1913년에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신식 활자본으로 간행한 책이다. 권수(卷首)의 해제(解題)에, 본서는 () 소장본을 저본으로 활자화한 것이며, 『동경잡기』의 초간(初刊), 중간(重刊)과 수정 증보하여 간행...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牛德頌[頌] 李春園[一一九] 白頭山 갓든 길에[時調] 卞榮魯[一二五] 史話三則[史話] [一二八] 大舞臺의 崩壞[戱曲] 金振九[一三二] 조선의 脈搏[新詩] 梁柱東[一五◯] 月南先生의 逸話[逸話] 閔泰瑗[一五二] [附錄]한글 綴字法 一覽表
    서명文藝讀本 | 자료명文藝讀本上卷目次
  • 文藝讀本 卷一 文藝讀本_卷一 史話三則 이윤재 1931 한성도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제강점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溫突 ◇우리 朝鮮 家庭의 溫突 制度는 仁祖朝 以後로 全國에 普遍되엇다. 그전에는 寒節이라...
    서명文藝讀本 | 자료명史話三則 洪命熹

구술자료(3)

  • 신인섭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 육지수, 이갑, 이강, 이근상, 이명재, 이범석, 이숭녕, 이승만, 이영덕, 이응준, 이재항, 이후락, 장도영, 최봉진, 한수암, 한제영, , John C. Stickler, 개천인민학교, 관동국민학교, 광고, 광고대행사(광고대행업), 교원대학, 교육성 편찬관
    구술자신인섭 | 직업제1차 부산국제광고제 상임고문 | 지역불명
  • 강인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 지명관, 차창렬, 한경직, 한심석, 한재덕, 허우성, 허정숙, 현석호, , 홍성철, 흐루시초프, 강동정치학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공안조사정우회, 국가재건최고회의, 국민당, 국방대학교, 국방대학원, 국방부 방송, 국제상사, 극동문제연구소, 남북제정당사
    구술자강인덕 | 직업장관 | 지역평안도
  • 정원봉, 김원희, 김화성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중국, 중앙대학 상과, 천도교, 철의국민학교, 철의면, 청계천, 춘천, 캘리포니아, 타임스(TIMES), 토지개혁, 평안남도, 평안남도 도민회, 평안남도 도청, 평양, 평양사범학교, 평양 신궁, 평양역, 평원군, 평의중, 풍안산업, 필라델피아, 학도호국단, , 화
    구술자정원봉, 김원희, 김화성 | 직업무직 | 지역평안도

기초학문(12)

  • 碧初 의 漢詩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진균, 게재일 : 2011
    42359 김진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11 碧初 의 漢詩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번역 계보’ 조사의 난점과 의의 - 벽초(碧初) ()의 경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준현, 게재일 : 2012
    42965 김준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2 ‘번역 계보’ 조사의 난점과 의의 - 벽초(碧初) ()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와 〈임꺽정〉 : 민중적 언어공동체와 주체적 근대의 모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정숙, 게재일 : 2006
    23399 김정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6 와 〈임꺽정〉 : 민중적 언어공동체와 주체적 근대의 모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자료 정선 : , 『학창산화 (學窓散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67698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4 자료 정선 : , 『학창산화 (學窓散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동경삼재'(, 최남선, 이광수)를 통해 본 1920년대 '문화정치'의 시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60063 한국연구재단 한국인물사연구소 2009 동경삼재'(, 최남선, 이광수)를 통해 본 1920년대 '문화정치'의 시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242)

  • 민세안재홍전집 : 統一路線을指向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736 1948 9 24 1 1 統一路線을指向 民獨黨幹部三百七十餘名脫黨 신문 한성일보 1면5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統一路線, 民主獨立黨, A19480924한성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五社長모인朝鮮日報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44 1935 7 15 1 1 機密室內容 五社長모인朝鮮日報 잡지 삼천리 64호, 7권 7`8호 28쪽 동정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李光洙, 曺晩植, , 方應謨, 安在鴻 B19350715삼천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民衆大會事件에 兩氏 宋鎭禹 安在鴻을 證人審問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612 1930 8 15 1 1 民衆大會事件에 兩氏 宋鎭禹 安在鴻을 證人審問 사건진행에어떤관계가잇슬가 押收한書類는還付 신문 조선일보 2면6단 석간 기사 동정 간접자료 선집외 光州學生事件, 許憲, , 新...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尙州新幹支會 大盛况裡에發會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339 1927 9 7 1 1 尙州新幹支會 大盛况裡에發會 정사북경관엄계리에◇尙州初有의壯擧 신문 조선일보 5면1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新幹會尙州支會, 安在鴻, , 新幹會東京支會, 金億周 A1927...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月南紀念集 編輯委員决定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277 1927 4 14 1 1 月南紀念集 編輯委員决定 십오인을결뎡하얏다고 신문 조선일보 2면7단석간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月南紀念集, 朝鮮敎育協會, 社會葬, 安在鴻, 尹致昊, 崔南善, A1927...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14)

  • ;;(舊名)홍청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8781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59면 (학과)본과신제도 ;;(舊名)홍청점 6회 192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舊名)홍청점;(舊名)洪靑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5058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59면 (학과)본과신제도 ;;(舊名)홍청점;(舊名)洪靑点 6회 192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수상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수상 평정서 정치 문서 현대 북한 타이핑 , 동아일보, 시대일보, 신간회, 부수상 레베데프 ...
    키워드홍명희, 동아일보, 시대일보, 신간회, 부수상 | 대표주제어홍명희 | 발신자레베데프
  • (이 달의 선생님) 무지갯빛 동심 가꾸는 교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이 달의 선생님) 무지갯빛 동심 가꾸는 교사 (이 달의 선생님) 무지갯빛 동심 가꾸는 교사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남기수 | 사료철명교육월보
  • (장관과 대화) 신한국 창조를 위한 교육의 과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고학용, 노종희, 이경자, 최명환, 1993 4 교육월보 136호 교육부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고학용, 노종희, 이경자, 최명환, 홍명희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3)

  • / [문학/현대문학]

    1888-?. 항일기의 소설가·언론인·사회운동가·정치가. 일본에 유학하여 다이세이중학을 졸업하고, 경술국치 직후에 귀국하여 오산학교·휘문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1927년 시대일보사 사장으로 재직하면서 신간회 창립에 관여하여 그 부회장으로 선임되었고, 1930년

  • 남조선 인민대표자대회 / 南朝鮮人民代表者大會 [정치·법제/정치]

    60명을 대의원으로 선출하게 되었다. 북한지역 212명, 남한지역 360명의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이 선출되어 9월 2일부터 평양에서 제1차 최고인민회의가 열렸다. 9월 9일 수상 김일성, 부수상 박헌영, , 김책으로 하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정치·법제/정치]

    , 내무상 박일우, 외상 박헌영, 민족보위상 최용건, 국가계획위원장 정준택 등이 선임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소련을 비롯한 공산권국가들의 승인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