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만선” 에 대한 검색결과 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

사전(5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43(인조 21)∼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 [내용]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중(士中), 호는 유암(流巖). 아버지는 예조참의 주국(柱國)이다. 1666년(현종 7) 진사시에 합격하고, ...
    이칭별칭 사중(士中)| 유암(流巖)
  • 홍주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23(인조 1)∼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국경(國卿), 호는 범옹(泛翁)‧죽리(竹里). 부사직(副司直) 수(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이상(履祥)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 영(...
    이칭별칭 국경(國卿)| 범옹(泛翁), 죽리(竹里)
  • 서등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책이 잘 보이도록 만든 등촉. ()이 편찬한 『산림경제(山林經濟)』권3에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다. “서등은 얇은 목판으로 함처럼 만들어 흑칠을 하는데 넓이는 6,7촌이라서 겨우 등잔 하나 들어간다. 높이는 8촌이며 위쪽에 둥근 구멍이 있는데 직경 3촌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증보산림경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6년(영조 42)에 유중림(柳重臨)이 『산림경제』를 증보하여 엮은 농서. [내용] 16권 12책. 필사본. ()의 『산림경제』가 판본으로 간행되지 못하여 권질이 드물어지고 또 내용이 백과사전식으로 되어 있어 농림방면에 이...
  • 산림경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숙종 때 실학자 ()이 엮은 농서 겸 가정생활서. [내용] 4권 4책. 필사본. 이 책은 간행을 보지 못하고 수사본으로만 전해 내려오고 있다. 내용은 복거(卜居:주택의 선정과 건축)‧섭생(攝生:건강)‧치농(治農:곡...

고서·고문서(11)

신문·잡지(2)

기타자료(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428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6면 ; 제20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6873 남한 경성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1-22 曉 제1호 1926―12―15 164면 본과생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三井健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1287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61면 ;;三井健次 부산부 대교통 조선기선주식회사 제20회 1933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원만선;松原萬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5523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94면 ;;송원만선;松原萬善 경기 수원군 송산면 송중리 본과제16회 1939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43(인조 21)∼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 아버지는 주국이다.1682년(숙종 8) 30세에 음보로 벼슬길에 올라 사옹원주부, 공조좌랑, 정랑, 익위, 사옹원부평부사, 상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연로할 때 지은『산림경제』4권은 대표적인 향촌경

  • 산림경제 / 山林經濟 [경제·산업]

    조선 숙종 때 실학자 이 엮은 농서 겸 가정생활서. 4권 4책. 필사본. 이 책은 간행을 보지 못하고 수사본으로만 전해 내려오고 있다. 내용은 복거·섭생·치농·치포·종수·양화·양잠·목양·치선·구급·구황·벽온·벽충법·치약·선택·잡방 등 16항목에 걸쳐서 논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