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경모” 에 대한 검색결과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8)

사전(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순조실록(純祖實錄)』 『헌종실록(憲宗實錄)』 (1774-1851) 1774(영조 50)∼1851(철종 2). 조선 후기의...
    이칭별칭 경수(敬修)| 관암(冠巖), 운석일민(耘石逸民)| 문정(文貞)
  • 운석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저서. [내용] 전편 20권 10책, 후편 50권 25책, 속편 16권 8책, 합 86권 43책. 필사본. 전편과 후편은 자필본이며 속편은 손자 우명(祐命)‧우경(祐慶) 등이 교정하여 편집하였다....
  • 추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집. [내용] 6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언제, 누가 편집한 것인지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책은 관암추사(冠巖秋史) 제1규(第一0x9350)라 해 이계청상편(耳溪淸...
  • 총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가 저술한 책. [개설] 12책. 필사본. 시문집 외에 종묘악(宗廟樂)ㆍ국조아송(國朝雅頌) 등 전래 가악(歌樂)이 수록되어 국악 연구에 필요한 자료가 많이 들어 있는 총서(叢書)이다. 저자가 직접 쓰고 편...
  • 유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5월. 卽伏承下翰 謹審榴夏 旬宣動止 以時萬衛 區區欣慰, (), 21(智)-24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9)

신문·잡지(6)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74∼1851). 홍낙원 아들이다. 정조 때 동몽교관으로 경연에서《효경》을 강론, 오언시를 지어 서책을 하사받았다. 1816년 시독관으로서 홍문관에 장서가 없음을 개탄하고 《예기》·《주역》·《퇴계집》 등을 간행할 것을 상소하였다. 헌종 때

  • 관암존고 / 冠巖存藁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가 우리나라와 청나라의 명승지에 대한 견문록. (, 1774∼1851)의 자는 경수(敬修), 호는 관암(冠巖)이고, 본관은 풍산(豊山)이다. 시호는 문정공(文貞公)이다. 이조판서를 지낸 홍양호(洪良浩)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홍낙원(

  • 관포집 / 灌圃集 [종교·철학/유학]

    漢)·()의 서문과 권말에 민병승(閔丙承)의 발문이 있다. 고활자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필사본은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에 부(賦) 1편, 시 164수, 권2에 소 1편, 계(啓) 1편, 응제문(應製文) 4편, 제문 2편, 비문 1편, 권3에 잡저 7편, 습

  • 국조악가 / 國朝樂歌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가 종묘·문묘·교사·사직 등에 제사지낼 때 쓴 찬양가를 편집한 악서(樂書).예술서. 5권 5책. 필사본. 종묘·문묘·교사·사직 등에 제사지낼 때 쓴 찬양가를 편집한 것으로 권두에 편집자 자서가 있다. 권1은 종묘대향악가(宗廟大享樂歌)로서

  • 관암전서 / 冠巖全書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의 시·소·기·발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2책. 필사본. 간행여부와 편집자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분류별로 편제하고 군데군데 교감(校勘)의 여적을 남겼다. 그러나 권별의 구별이 없고, 1책과 2책의 순서도 정해지지 않았으며, 필사서체도 다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