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경래의 난” 에 대한 검색결과 1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6)

사전(90)

  • 임성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감을 지냈다. 1811년 홍경래(洪景來)의 이 일어났을 때 박천군수로 재임중 박천을 점령당하여 인부(印符)를 가지고 안주로 가려다가 노모가 적에게 잡히자 돌아와 포박당하였다. 끝까지 항복하기를 거부하고 세록지신(世祿之臣 : 여러 대를 거쳐 국가의 녹을...
    이칭별칭 중안(仲岸)| 우연옹(偶然翁)| 무의(武毅), 충정(忠貞)
  • 김창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2(순조 12). 1811년에 일어 홍경래(洪景來)의 주모자. [내용] 평안도 곽산 출신. 진사로 홍경래 등과는 10년 전부터 거사를 모의하여왔다. 부호이던 그는 군량의 준비와 운산 촉대봉금점(燭臺峰金店)의 광...
  • 김사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2(순조 12).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일명 사룡(士龍). 평안북도 태천 출신. 어려서부터 지략이 뛰어나 이목을 끌었다. 북부지방의 인사를 차별하는 조정의 처사에 불만을 품고 있던 중, 홍경래(洪景來)를 만나 그의 반란계획...
    이칭별칭사룡(士龍)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1년(순조 11) 홍경래‧우군칙(禹君則) 등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대규모 농민반란. 1811년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약 5개월간에 걸쳐 일어 반란이다. [역사적 배경] 조선 후기 봉건사회는 17, 18세기에 이르러 커다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세기 초 홍경래(洪景來, 1771-1812)‧우군칙(禹君則, 1776-1812) 등의 주도로 평안도에서 일어난 농민항쟁.
    정의19세기 초 홍경래(洪景來, 1771-1812)‧우군칙(禹君則, 1776-1812) 등의 주도로 평안도에서 일어난 농민항쟁.[두산백과] | 문광부표기Hong Gyeong-rae ui Nan | MR표기Hong Kyŏng-rae ŭi N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논문(2)

고서·고문서(10)

  • 1812년 류이좌(柳台佐)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12년 2월 24일, 류이좌가 친족들의 안부를 전하기 위해 류상조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와 은 어떻게 되었는지를 묻고 있다. 이어서 종질부가 22일에 순산을 하였으며 학이의 혼례는 4월 쯤에 용이의 혼례는 3월 쯤에 있을 것이라고 하였...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12년 류이좌(柳台佐)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12년 3월 18일, 류이좌가 집안의 여러 가지 사정을 從兄 류상조에게 알리는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에 가담했던 박종일을 추국한다는 사실을 전했다. 이어서 고향에 있었던 여러 가지 일들을 전하고 학이의 혼례는 24일로 늦추어졌고 당신의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12년 류이좌(柳台佐)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종도 전염병 때문에 여러 날 걸려 왔다가 결국 병막으로 나가게 되어 매우 큰 근심거리라고 했다. 류이좌는 1811년 평안도에서 발생한 으로 조정이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었기 때문에 ‘사판행차’ 문제를 바로 해결해 줄 수 없다고 했다. 다만 사판과 내행은 1월...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순조대왕묘호등록(純祖大王廟號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는 서학의 유포를 막고 등을 진압하는 등 큰 공을 세웠으므로 그 공렬을 찬양하여 칭조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학수의 주장 이래 순조의 묘호개상(廟號改上)은 빠르게 진행되었다. 개상의 결정과 더불어 묘호도감과 존호도감을 합설하기로 하고,...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다. 贈執義 魯의 아들로 1799년(정조23) 武科에 급제하여 宣傳官이 되고, 訓鍊院主簿‧都摠府經歷 등을 지냈다. 1811년(순조11) 때 嘉山郡守로 적과 싸우다 잡혀 부친과 함께 끝까지 절의를 지키다가 살해되었으며, 뒤에 兵曹判書로 추증되었다. 定州의 表...
    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1)

  • 과 김삿갓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영변 조진사 얘기 끝에, 제보자가 이조시대에는 평안도ㆍ함경도 사람에게 벼슬을 주지 않았는데, 영변 출신인 길인후 이후부터는 당하관 벼슬은 내렸다고 하는 말을 했다. 그러다가 그러한 차별대우에 불만이 많았다는 말도 나왔다. 조사자가 그러한 대표적인 경우인 홍경래난에...
    조사일시1983-07-20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 제보자오정섭

기초학문(1)

  • 19세기 초 중국 八卦敎과 비교한 洪景來의 정치적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수창, 게재일 : 2006
    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3600&local_id=10010918 18-19세기 동아시아 역사에 비추어본 ' '의 성격 https://www.krm.or.kr/krmts/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2)

  • 조선출판경찰월보 035호 동아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래 전(洪景來傳)(2) 기병(起兵) 동기·목적은 군왕 되려는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이것은 홍을 역적으로서 보았던 우론으로 답할 가치도 없다. 왜냐하면, 홍은 한 번도 군주를 칭하였던 일 없이 스스로 평서대원사(平西大元師)라고 칭해왔던 것으로도 알 수...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35호 동아일보 | 출판물명동아일보(東亞日報) 1931년 7월 15일
  • 조선출판경찰월보 095호 조선중앙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선민란사화(朝鮮民史話) (33)」 반란에 대해서는 당시 경성에서도 견식이 있는 사람들은 그 반란의 원인을 긍정하고 있었다. “근년 래 계속 부역이 빈번하고 또 무거워져서, 관리는 방사음학(放肆淫虐)하여 인민에게 안정이 없고 누구 할 것 없이 ()을 생...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95호 조선중앙일보 | 출판물명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 1936년 7월 5일

주제어사전(11)

  • / [역사/조선시대사]

    1811년(순조 11) 홍경래·우군칙 등이 일으킨 대규모 농민반란사건. 1811년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약 5개월간에 걸쳐 일어 반란이다. 이듬해 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 정로 / 鄭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순절신(1751∼1811). 때 적에 의하여 군아가 함락되자 군에 합세하기를 거부하다가 피살되었다. 이때의 순절로 이 평정된 뒤 집의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이조참판·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에 가증되었다. 가산의 충렬사에 제향되었다.

  • 순무영 / 巡撫營 [정치·법제/국방]

    하였다. 1812년(순조 12) 이 일어났을 때에도 파견되었다.

  • 심상규 / 沈象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66∼1838). 병조판서로 을 진압하였다. 우의정을 지냈다. 《순조실록》 편찬총재관을 지내고 정조·순조·익종의 어제를 찬진하였다.《건릉지장속편》,《만기요람》을 등을 편찬하였다. 저서로는《두실존고》 16권이 전한다.

  • 이만수 / 李晩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2∼1820). 때 평안도관찰사로서 치안관리를 제대로 못한 죄를 물어 파직, 경주에 유배되었다. 후에 빈객·예조판서·수원유수 등을 지냈다. 글씨에 능해 〈양성기적비〉·〈서명선사제비〉 등을 남겼다. 저서로는《극옹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