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경래” 에 대한 검색결과 3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8)

사전(222)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용강 사람으로, 평안도 이북 땅에 여러 해 흉년이 들어 살기가 힘들어지자 이희저, 우군칙과 가산 다복동을 근거지로 해 사람들을 모으고 반역의 뜻을 품는다. 군사가 모이자 대원수가 되어 장수들을 지휘한다. 신미년 섣달에 병사를 이끌고 가산을 공격한다. 가산을 김대량과 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흉년으로 인심이 흉흉해진 틈을 타 난을 일으켰다. 난 초기에는 각지의 내통 세력의 도움으로 민폐를 끼치지 않고 엄한 군율에 따라 쉽사리 가산‧곽산 등 7개읍을 점령하였다. 그러나 안주‧연변의 진공을 앞두고 내분이 일어나는가 하면, 마저 부상을 당하자 사태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박종화(朴鍾和)가 지은 장편 역사소설. [개설] 1946년부터 1949년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었고, 1954년 정음사(正音社)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의 난을 소재로 해서 우리 근대사의 영웅 의 일생을 그렸...
  • 임성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감을 지냈다. 1811년 ()의 난이 일어났을 때 박천군수로 재임중 박천을 점령당하여 인부(印符)를 가지고 안주로 가려다가 노모가 적에게 잡히자 돌아와 포박당하였다. 끝까지 항복하기를 거부하고 세록지신(世祿之臣 : 여러 대를 거쳐 국가의 녹을...
    이칭별칭 중안(仲岸)| 우연옹(偶然翁)| 무의(武毅), 충정(忠貞)
  • 김창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2(순조 12). 1811년에 일어난 난(亂)의 주모자. [내용] 평안도 곽산 출신. 진사로 등과는 10년 전부터 거사를 모의하여왔다. 부호이던 그는 군량의 준비와 운산 촉대봉금점(燭臺峰金店)의 광...

논문(2)

고서·고문서(32)

  • 서정일기초(西征日記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순무중군(巡撫中軍) 유효원(柳孝源)이 1811(순조 11)년 12월부터 1812(순조 12)년 4월 19일까지 ()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을 기록한 일기이다. ()가 민란을 일으키자 박기풍(朴基豊)을 대신하여 양서순무사중군(兩...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12년 류이좌(柳台佐)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12년 2월 24일, 류이좌가 친족들의 안부를 전하기 위해 류상조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와 의 난은 어떻게 되었는지를 묻고 있다. 이어서 종질부가 22일에 순산을 하였으며 학이의 혼례는 4월 쯤에 용이의 혼례는 3월 쯤에 있을 것이라고 하였...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12년 류이좌(柳台佐)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12년 3월 18일, 류이좌가 집안의 여러 가지 사정을 從兄 류상조에게 알리는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의 난에 가담했던 박종일을 추국한다는 사실을 전했다. 이어서 고향에 있었던 여러 가지 일들을 전하고 학이의 혼례는 24일로 늦추어졌고 당신의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제풀이해답 박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건공가(建工街) 장영거 11조 2 1 문제풀이해답, , 1...
    대표표제어문제풀이해답 | 성씨
  • 死之漢人千餘騎聚於高峯上決死戰終不降盡爲䧟沒漢人前後死者四五萬按文龍初設鎭椴島故雖移在身彌島而因以椴島冒稱 純宗十一年十二月土賊等使其黨劫略宣川府使金益淳降後被誅
    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의 난과 김삿갓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영변 조진사 얘기 끝에, 제보자가 이조시대에는 평안도ㆍ함경도 사람에게 벼슬을 주지 않았는데, 영변 출신인 길인후 이후부터는 당하관 벼슬은 내렸다고 하는 말을 했다. 그러다가 그러한 차별대우에 불만이 많았다는 말도 나왔다. 조사자가 그러한 대표적인 경우인 홍경래난에...
    조사일시1983-07-20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 제보자오정섭

기초학문(3)

  • 난을 통해서 본 19세기 조선정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현모, 게재일 : 2005
    12379 박현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5 난을 통해서 본 19세기 조선정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9세기 초 중국 八卦敎亂과 비교한 亂의 정치적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수창, 게재일 : 2006
    35313 오수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6 19세기 초 중국 八卦敎亂과 비교한 亂의 정치적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 소재(素材) 남‧북한 역사소설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30905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회 2002 '' 소재(素材) 남‧북한 역사소설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28)

  • 민세안재홍전집 : 哭譜(六)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110 1925 8 26 9 6 民世學人 安在鴻 哭譜(六) 신문 조선일보 1면3단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桓雄天王, 金尙憲, 劉玄德, , 諸葛孔明, 杜少陵, 咸興差使, 金時習 A19250826조선...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조선출판경찰월보 035호 동아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35호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1931년 7월 15일 미기재 송진우(宋鎭禹) 미기재 조선_1931년 7월 13일 차압 미기재 한국어 , 루소, 손일선 ...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35호 동아일보 | 출판물명동아일보(東亞日報) 1931년 7월 15일
  • ·부듸낀 평양시성□리1번지 조선신문사 국립예술극장 쏘련영화 『무용가』 13일-15일 (주간) 국립예술극장 신춘공연 『전기』 1월 31일부터 장기 (야간)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213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쁘·아·부듸낀 국립예술극장 쏘련영화 『무도가』 13일-15일 (주간) 국립예술극장 신춘공연 『전기』 1월 31일부터 장기 (야간)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213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부듸낀 평양시성□리1번지 조선신문사 국립예술극장 쏘련영화 『무용가』 13일-15일 (주간) 국립예술극장 신춘공연 『전기』 1월 31일부터 장기 (야간)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214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멀티미디어(60)

  • 조선시대의 규장각과 규장각 도서_1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33. 황재문 (2020), 「초기 재미 한인 문학과 변혁의 구상? 전낙청의 《전》, 《홍중래전》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58, 43-79. 황재문 (2018), 「『萬國事物紀原歷史』의 성립 과정에 대한 재검토」, 『대동문화연구』104, 195-228.
    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조선시대의 규장각과 규장각 도서_1주차_2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33. 황재문 (2020), 「초기 재미 한인 문학과 변혁의 구상? 전낙청의 《전》, 《홍중래전》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58, 43-79. 황재문 (2018), 「『萬國事物紀原歷史』의 성립 과정에 대한 재검토」, 『대동문화연구』104, 195-229.
    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조선시대의 규장각과 규장각 도서_1주차_3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33. 황재문 (2020), 「초기 재미 한인 문학과 변혁의 구상? 전낙청의 《전》, 《홍중래전》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58, 43-79. 황재문 (2018), 「『萬國事物紀原歷史』의 성립 과정에 대한 재검토」, 『대동문화연구』104, 195-230.
    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조선시대의 규장각과 규장각 도서_1주차_4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33. 황재문 (2020), 「초기 재미 한인 문학과 변혁의 구상? 전낙청의 《전》, 《홍중래전》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58, 43-79. 황재문 (2018), 「『萬國事物紀原歷史』의 성립 과정에 대한 재검토」, 『대동문화연구』104, 195-231.
    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 조선시대의 규장각과 규장각 도서_1주차_5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33. 황재문 (2020), 「초기 재미 한인 문학과 변혁의 구상? 전낙청의 《전》, 《홍중래전》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58, 43-79. 황재문 (2018), 「『萬國事物紀原歷史』의 성립 과정에 대한 재검토」, 『대동문화연구』104, 195-232.
    강좌제목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 강의자황재문 (대표) 교수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반란 수괴(1771∼1812). 경서·병서·술서와《정감록》등에 통달했으나 사마시에 실패하자, 과거제도의 부패·안동김씨의 세도정치·삼정의 문란 등의 사회 모순을 깊이 인식한 뒤, 10여년간 동지들을 모아 1811년(순조 11)에 거병하여 사회변혁을 시도했으

  • 의 난 / 의 亂 [역사/조선시대사]

    1811년(순조 11) ·우군칙 등이 일으킨 대규모 농민반란사건. 1811년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약 5개월간에 걸쳐 일어난 반란이다. 이듬해 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 신미록 / 辛未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목판본. 1861년(철종 12)에 출판된 것으로 추정된다. 1811년(순조 11)에 일어난 ()의 난을 소설화한 것으로, 사실(史實)에 충실한 역사소설이다. 이본인 「실긔(實記)」가 구활

  • 서구도올 / 西寇禱杌 [문학/한문학]

    1812년(순조 12) 조수삼(趙秀三)이 지은 한시. 1811년에 일어났던 ()의 난을 소재로 하여 1812년 7월에 쓴 것이다. 『추재집 秋齋集』 권2에 실려 있다. 『풍요삼선 風謠三選』의 권3에도 실려 있다. 모두 1,860언 372구의 장편 오언고시이

  • 정주승전가 / 定州勝戰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두루마리 한글본. ()의 난을 소재로 읊은 전쟁가사이며, 작품 시기도 그때로 추정된다. 전체 122구이며, 4·4조의 정격 양반가사이다. 작품의 출처는 서울 지방이며, 작자는 내용으로 보아 16세 남짓한 한양의 양반집 출신으로 당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