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혼천의” 에 대한 검색결과 1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3)

사전(7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實) 등이 1433년 6월에 최초로 제작하였다. 처음에는 재료로 목재를 사용하였으나 뒤에 구리로 제작하였다. 1657년(효종 8)에는 최유지(崔攸之), 1669년(현종 10)에는 이민철(李敏哲)과 송이영(宋以穎)이 각각 제작하였다. 효종 때의 는 시...
    이칭별칭선기옥형 | 연계항목혼천의(渾天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대 중국에서 천체의 운행과 위치를 관측하던 장치.
    정의고대 중국에서 천체의 운행과 위치를 관측하던 장치.[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honcheonui | MR표기honch’ŏnŭ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기(儀器) 혼의(渾儀) 기형(璣衡), 선기옥형(璇璣玉衡), 혼의(渾儀), 혼의기(渾儀器) 관상수시(觀象授時), 규관(窺管), 극축(極軸), 백도환(白道環), 삼진의(三辰儀), 육합의(六合儀), 자오환(子午環), 적...
    상위어의기(儀器) | 하위어혼의(渾儀) | 동의어기형(璣衡), 선기옥형(璇璣玉衡), 혼의(渾儀), 혼의기(渾儀器) | 관련어관상수시(觀象授時), 규관(窺管), 극축(極軸), 백도환(白道環), 삼진의(三辰儀), 육합의(六合儀), 자오환(子午環), 적경쌍환(赤經雙環), 적도환(赤道環), 지평환(地平環), 혼천설(渾天說), 황도환(黃道環)
  • 및 혼천시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보 제230호. 1669년에 송이영(宋以穎, ?-?)이 서양식 자명종원리를 이용하여 제작한 천문시계.
    정의국보 제230호. 1669년에 송이영(宋以穎, ?-?)이 서양식 자명종원리를 이용하여 제작한 천문시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Honcheonui mit Honcheon Sigye | MR표기Honch’ŏnŭi mit Honch’ŏn Sig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송이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과학자. [내용] 현종 때 관상감원(觀象監員)‧현감 등을 지냈으며, 왕명을 받아 자명종(自鳴鐘)과 기계식 ()를 처음으로 제작한 것으로 유명하다. 기록에 의하면 1661년(현종 2) 객성(客星...

고서·고문서(25)

  • 下乙十 璿璣玉衡 【梅云:“璣ㆍ衡,玉者,正天文之器,可運轉者。” ○蔡云:“璣,機也,以璿飾璣,所以象天體之轉運也。衡,橫也,謂衡簫也,所以窺璣,猶今之也。”】 以齊七政 【梅云:“日月五星各異政,舜察天文,以審己當天心與否。” ○蔡云:“七政,日月五星也。七者運行於天,猶人君之有政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猶今之也。”】 以齊七政 【梅云:“日月五星各異政,舜察天文,以審己當天心與否。” ○蔡云:“七政,日月五星也。七者運行於天,猶人君之有政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8985 B008985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4年 5月 12日_057 , 置於江都, 如書傳圖, 而極爲詳備, 第唐本易傷, 頗有破落處, 若不趁卽模出, 則恐遂不傳, 甚可惜也。 頃因大臣陳達, 湯若望大天文圖, 付諸觀象監, 今方模寫, 此與天文圖相類, 使本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09 B00740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4年 5月 12日_057 , 置於江都, 如書傳圖, 而極爲詳備, 第唐本易傷, 頗有破落處, 若不趁卽模出, 則恐遂不傳, 甚可惜也。 頃因大臣陳達, 湯若望大天文圖, 付諸觀象監, 今方模寫, 此與天文圖相類, 使本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8973 B008973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4年 5月 12日_057 ○濡曰, 尹會請推尹世紀, 事體則好矣, 而此非世紀之本意也, 朝廷議論皆然, 故率爾仰達矣, 上曰, 禮判進來坤輿萬國全圖, 卽唐本, 而萬曆·天啓間出來, 置於江都, 如書傳圖, 而極爲詳備,...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396 B00739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4年 5月 12日_057 ○濡曰, 尹會請推尹世紀, 事體則好矣, 而此非世紀之本意也, 朝廷議論皆然, 故率爾仰達矣, 上曰, 禮判進來坤輿萬國全圖, 卽唐本, 而萬曆·天啓間出來, 置於江都, 如書傳圖, 而極爲詳備,...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남병철의 연구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용삼, 게재일 : 2001
    04820 이용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천문학회 2001 남병철의 연구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주제어사전(4)

  • / [과학기술/과학기술]

    최초로 제작하였다. 는 아침·저녁 및 밤중의 남중성, 천체의 적도좌표·황도경도 및 지평좌표를 관측하고 일월성신의 운행을 추적하는 데 쓰였다.

  • 황곡 / 黃斛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1∼?). 1765년(영조 41) 식년사마시 생원 3등으로 합격했다. 관학에 있을 때《소학》교육의 진흥책을 청하는 글을 올렸다. 이학의 깨달음이 깊어〈태극이기〉를 짓고, 를 만들었다.

  • 간의 / 簡儀 [과학/과학기술]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천문관측기구. 원나라의 곽수경(郭守敬)이 의 결함을 보충하기 위하여 1276년 설계, 제작하여 1279년에 완성하였다. 이 무렵 원나라는 이슬람 천문학과 교류가 활발하여 이슬람지역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던 토키텀(Torquetum)의 영향을

  • 규재유고 / 圭齋遺稿 [종교·철학/유학]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삼정구폐의(三政捄弊議)」에서는 당시에 군적(軍籍)·환상(還上)·전결(田結)의 폐단이 막심함을 지적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관리가 청렴하게 정사를 시행해야 한다는 등 그 대책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설 가운데 「설(說)」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