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혼서” 에 대한 검색결과 7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6)

사전(2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납채(納采, 納幣)할 때 보내는 서간. [내용] 예서(禮書)‧예장(禮狀)이라고도 하며, 장지(壯紙)를 간지(簡紙) 모양으로 접어서 썼다. 넓은 의미의 에는 사주단자(四柱單子)와 혼인택일에 관한 서장(書狀)까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혼인할 때 신랑 집에서 예단과 함께 신부 집에 보내는 편지
    정의혼인할 때 신랑 집에서 예단과 함께 신부 집에 보내는 편지 | 문광부표기honseo | MR표기hon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납채할 때 보내는 서간
    정의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납채할 때 보내는 서간 | 문광부표기cheonghonseo | MR표기ch’ŏnghon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부 집에서 신랑 집으로 혼인할 것을 동의하여 보내던 편지
    정의신부 집에서 신랑 집으로 혼인할 것을 동의하여 보내던 편지 | 문광부표기heohonseo | MR표기hŏhon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부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36년(중종 31) 7월에 성균진사 조치당(曺致唐)이 외손 김부필(金富弼)을 장가보내기 위하여 신부집에 납채할 때 보낸 . [내용] 원래 는 예서(禮書)‧예장(禮狀)이라고도 하며, 장지(狀紙)를 간지 모양으로 접어서 썼다. 넓...

고서·고문서(532)

기초학문(2)

  • 조선시대 의 書式 변화를 통해서 본 婚禮의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혁, 게재일 : 2008
    25749 김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조선시대 의 書式 변화를 통해서 본 婚禮의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손창섭의 신문연재 소설에 나타난 남녀관계와 결사-「세월이 가면」과 「결혼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유진, 게재일 : 2014
    45572 강유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어문학회 2014 손창섭의 신문연재 소설에 나타난 남녀관계와 결사-「세월이 가면」과 「결혼의 의미」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32)

  • / [생활]

    서간통고류(書簡通告類). 1904년(광무 8)작성. 발급자는 안변원(安變遠), 수급자는 미상이다. 크기는 49.8 × 56.8cm이다. 내용은 9월 16일에 안변원(安變遠)이 재종손인 안붕수(安朋洙)의 훈례에 납폐(納幣)의 의식을 행한다는 것이다.

  • 김부필 / 金富弼 [사회/가족]

    1536년 7월 성균진사 조치당이 외손 김부필을 장가보내기 위하여 납채로 보낸 문서.. 원래 는 예서(禮書)·예장(禮狀)이라고도 하며, 장지(狀紙)를 간지 모양으로 접어서 썼다. 넓은 의미의 에는 사주단자와 택일에 관한 서장까지도 포함되나, 김부필의

  • 김정희선생유물 / 金正喜先生遺物 [언론·출판/출판]

    충청남도 예산군 신안면 용궁리에 소장된 문서. 유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 지(紙)·생원시권(生員試券)·농상지실(農祥之室)의 3점이 지정되어 있다. 지는 김정희가 67세 때인 1852년(철종 3) 11월 21일에 쓴 것으로, 아들 상무(商懋)가

  • 납폐 / 納幣 [생활/의생활]

    혼인 절차의 하나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의례. 중국 주대 혼례의 육례 중에 납징에 해당한다. 혼인식 전날밤 또는 며칠 전날 밤에 신랑집에서 지, 채단, 폐물 등을 넣은 혼수함을 함진아비를 시켜 신부집으로 가져간다. 혼수함에서 백지를 깔고 지,

  • 노포미정고 / 盧浦未定稿 [종교·철학/유학]

    편, 논 5편, 장(狀) 2편, () 1편, 묘갈명 1편, 제문 11편, 행록(行錄) 1편, 전(傳) 1편, 격(檄) 1편, 의상제조(擬上諸條) 2편, 애사 1편, 고유문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